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 칫솔 패드에 대한 연구

        권지원(Ji Won Kwon),박소희(Park So Hee) 한국IT마케팅학회 2014 한국IT마케팅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

        Telecommunications and Internet of Thing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echnology is rapidly being made (IoT), smart phones, the use of multiple digital devic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But not only use these smart devices now can be seen that the time came to make this personal, not corporate. In this paper, we studied about the smart toothbrush pad that individuals can make a simple line with the flow of this era, research methods have been implemented mainly using the Arduino with touch sensor. Clientele of the smart toothbrush toothbrush pad smart pad is expected for children of dual-career couples will line manage these deulyimyeo smart teeth of children.

      • KCI등재

        요추부 협착에서의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의 초기 실패 사례에 대한 고찰

        권지원(Ji-Won Kwon),김진규(Jin-Gyu Kim),하중원(Joong-Won Ha),문성환(Seong-Hwan Moon),이환모(Hwan-Mo Lee),박융(Y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5

        목적: 퇴행성 요추부 척추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척추 경 나사못(pedicle screw) 삽입술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피질골 궤도 나사못(cortical-bone trajectory screw)은 덜 침습적인 후방 요추부 고정이 가능한 점과 몇몇의 생체 역학 연구에서 보고한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방 감압술 후 후방 고정술 및 유합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술의 초기 실패에 관한 사례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의 퇴행성 척추 협착 및 척추 전방 전위에 대한 전통적인 척추 경 나사못 고정을 대안하여 피질골 궤도 나사못을 사용하여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조기 고정 실패는 수술 후 6개월째, 외래 추시에서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및 방사선 사진상 나사못의 이완, 이탈 및 파손과 같은 고정 실패가 일어날 시로 정의하였다. 결과: 조기 고정 실패는 311예 중 46예(14.8%), 나사못 이완이 46예(14.8%), 이탈이 12예(3.9%), 파손이 4예(1.3%)에서 발생하였다. 해당 고정 실패가 일어난 부위 분석 시, L1이 7예(15.2%), L2가 3예(6.5%), L3가 4예(8.7%), L4가 4예(8.7%), L5가 4예(8.7%), 그리고 S1이 24예(52.2%)였다. 주로 말단 피질골 궤도 나사못 중에서도 S1 나사못에서 이완, 이탈 및 파손과 같은 고정 실패가 주로 발생하였다. 결론: 피질골 궤도 나사못 고정은 기존의 척추 경 나사못 고정과 비교했을 때 동등한 임상 결과 또는 적은 합병증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나 골다공증이 있거나 특히 L5-S1 유합부위에서 전방지지구조가 되지 않는 조건일 때, 이완, 이탈, 파손 등의 조기 고정 실패가 나타나는 결과가 있었다. Purpose: Pedicle screw insertion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surgical treatment for degenerative lumbar spine disease. As an alternative, the cortical-bone trajectory screw allows less invasive posterior lumbar fixation and excellent mechanical stability, as reported in several biomechanical studies.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case of early failure of cortical-bone screw fixation in posterior fixation and union after posterior de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311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2013 to 2018 using cortical orbital screw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pedicle screw fixation for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and anterior spine dislocation of the lumbar spine. Early fixation failure after surgery was defined as fixation failure, such as loosening, pull-out, and breakage of the screw on computed tomography (CT) and radiographs at a follow-up of six months. Results: Early fixation failure occurred in 46 out of 311 cases (14.8%), screw loosening in 46 cases (14.8%), pull-out in 12 cases (3.9%), and breakage in four cases (1.3%). An analysis of the site where the fixation failure occurred revealed the following, L1 in seven cases (15.2%), L2 in three cases (6.5%), L3 in four cases (8.7%), L4 in four cases (8.7%), L5 in four cases (8.7%), and S1 in 24 cases (52.2%). Among the distal cortical bone screws, fixation failures such as loosening, pull-out, and breakage occurred mainly in the S1 screws. Conclusion: Cortical-bone trajectory screw fixation may be an alternative with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or fewer complic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pedicle screw fixa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with osteoporosis and no anterior support structure particularly at L5-S1 fusion sites were observed to have result of premature fixation failures such as relaxation, pull-out, and breakage.

      • 서울 송파지역 초등학생에서 알레르기비염 유병률과 항원 감작과의 관련성

        권지원 ( Ji Won Kwon ),서주희 ( Ju Hee Seo ),유진호 ( Jin Ho Yu ),김병주 ( Byoung Ju Kim ),김효빈 ( Hyo Bin Kim ),이소연 ( So Yeon Lee ),김우경 ( Woo Kyung Kim ),김경원 ( Kyung Won Kim ),지혜미 ( Hye Mi Ji ),김규언 ( Kyu Earn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생 알레르기비염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송파지역 1개 초등학교 학생 1,376명 (남아 740명, 여아 636명) 이었고, 개량된 ISAAC설문지를 통해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 분석을 시행하였고, 알레르기 피부반응검사 및 혈액 내 총 IgE, 호산구 분율 검사를 시행하여 생체지표에 따른 현증 알레르기비염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지의 회수율은 98.3%였고, 대상군의 연령은 9.43±1.76세였고 남아가 746명, 여아가 636명으로 남녀의 비율은 53.8%, 46.2%였다. 최근 12개월 내 알레르기비염 증상 유병률은 39.0%, 알레르기비결막염 증상 유병률은 13.1%였으며, 평생 동안 의사에게 진단받은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은 38.5%, 최근 12개월 내에 알레르기비염 치료 유병률은 29.5% 였다. 현증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은 24.2%였다. 현증 알레르기비염의 위험인자로는 아토피피부염 진단 병력 (aOR=1.47, 95% CI 1.05-2.04), 천식 진단 병력 (aOR=3.48, 95% CI 2.15-5.61), 부모의 알레르기질환(aOR=3.78, 2.76-5.18), 어머니의 대졸이상 학력(aOR=1.42, 95% CI 1.02-1.99) 등이 있었다. 또한 호산구 분율이 높을수록(P value for trend =0.001), 혈청 IgE가 높을수록(P value for trend <0.001), 알레르겐 감작수가 많을수록(P value for trend <0.001)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집먼지진드기(1.54, 1.10-2.15), 개 항원(2.95, 1.38-6.28), 고양이 항원(1.85, 1.02-3.34), 오리나무 (2.71, 1.09-6.71), Alternaria 감작(2.37, 1.06-5.32)은 현증 알레르기비염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서울 초등학교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은 과거 자료와 비교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아토피피부염과 천식의 병력,부모의 알레르기질환력, 모의 높은 교육수준 등의 경우에 그위험도가 높았다. 혈액 내 호산구 분율, 혈청 IgE, 알레르겐 감작수는 현증알레르기비염과 용량반응관계의 위험도를 보였으며, 집먼지진드기, 개, 고양이 항원, 오리나무, Alterna-ria는 서울 송파지역 초등학생 알레르기비염의 주요 원인 항원이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rhinitis (AR) and allergen sensitization in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Methods: A modifi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376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Songpa area of Seoul. Serum total IgE, blood eosinophils, and skin prick tests for 18 common allergens were performed. Results: The prevalence of AR symptoms during the last 12 months and the current AR, defined as having AR symptoms during last 12 months with a history of AR diagnosis from the doctor, were 39.0% and 24.2%, respectively. Males were more likely to have current AR than females (26.6% vs. 21.5%, P=0.04).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urrent AR were parental allergic disease (adjusted odds ratio [aOR], 3.78, 95% CI, 2.76-5.18),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AD; aOR, 1.47; 95% CI, 1.05-2.04), history of asthma (aOR, 3.48; 95% CI, 2.15-5.61), and higher maternal education (aOR, 1.42; 95% CI, 1.02-1.99). The subjects with higher quartiles of serum total IgE (P value for trend <0.001), more than 4% of eosinophil fraction (aOR 1.76; 95% CI, 1.24-2.48), and allergen sensitization house dust mites [aOR, 1.54; 95% CI, 1.10-2.15], dog [aOR, 2.95; 95% CI, 1.38-6.28], cat [1.85; 95% CI, 1.02-3.34], Alternaria[aOR, 2.37; 95% CI, 1.06-5.32] and lateblooming tree pollen mixture [aOR 2.26; 95% CI, 1.12-4.57] were more likely to have current A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R in children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decade. The sensitization to common allergens and increased sensitiz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urrent AR. House dust mites, dog, cat, alder, and Alternaria were the important allergens for current AR.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47-55]

      • KCI등재
      • KCI등재

        산전 초음파에서 구강 내 종괴 소견을 보인 선천성 치은종

        지원 ( Ji Won Ryu ),자영 ( Ja Young Kwon ),남가현 ( Ka Hyun Nam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2

        Congenital epulis, a kind of hamartoma, is a very rare tumor, which appears in front of maxillary alveolar ridge in most cases, and accompanies no malformations. As the tumor protrudes from the oral cavity, it may lead to respiratory difficulties and feeding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pregnant women to receive comprehensive prenatal counseling with accurate diagnosis of the fetal oral tumor. We report a rare case of prenatal detection of oral tumor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which was confirmed to be a congenital epulis or granular cell tumor after birth.

      • KCI등재

        세척공법을 이용한 광산주변 수은 함유 오염물질 처리 적용성 평가

        요셉,박소영,고일하,지원,이진수,고주인,Kwon, Yo Seb,Park, So Young,Koh, Il Ha,Ji, Won Hyun,Lee, Jin Soo,Ko, Ju 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4

        본 연구는 국내 휴·폐금속광산 주변의 수은이 함유된 광물찌꺼기 처리 또는 수은으로 오염된 고형물질(토양, 퇴적물 등)의 정화를 위한 세척공법 적용성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은을 함유한 광물찌꺼기에 대하여 입도분석과 단계별 추출시험을 실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세척공법 적용성 평가를 위해 염산(HCl), 질산(HNO<sub>3</sub>), 요오드화칼륨(KI) 및 티오황산나트륨(Na<sub>2</sub>S<sub>2</sub>O<sub>3</sub>) 세척액을 활용한 실험실 규모의 세척시험을 실시하였다. 광물찌꺼기 시료의 입도분포는 #40 이하로 집중되며, #200 이하의 입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단계별 추출시험 결과, 광물찌꺼기에는 원소 수은이 69.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강한 결합 형태가 15.25%, 유기결합 및 잔류 형태 형태가 11.97%의 비율을 각각 차지하고 있었다. 광물찌꺼기에 함유된 수은의 세척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질산(HNO<sub>3</sub>)과 티오황산나트륨(Na<sub>2</sub>S<sub>2</sub>O<sub>3</sub>)의 경우, 세척공법 적용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염산(HCl)의 경우 #200 이상의 입도에서 수은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물리적 선별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오드화칼륨(KI)은 모든 농도와 입도에서 우수한 화학적 세척효율 보였다. 특히, 미세입자에서도 우수한 수은 제거 효율이 확인되어 세척공법 적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oil washing process to remediation mercury-contaminated mine tailing or solid material (soil and sediments etc.) around abandoned mines. First,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ne tailing were analyzed through particle size analysis and sequential extraction. Secondly, laboratory scale wash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otassium iodide and sodium thiosulfate. As a results of particle size analysis, mine tailing particle were concentrated below 40 mesh and the particle size below 200 mesh was the most analyzed. As a result of sequential extraction, elemental mercury fraction was analyzed as the highest with 69.12%, with strongly bound fraction 15.25% and residual and HgS fractions 11.97%, respectively. Laboratory scale washing experiments showed low applicability for nitric acid and sodium thiosulfate solutions. In case of hydrochloric acid solution, it was analyzed that mercury removal was possible at particle size of 200 mesh or mo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physical sorting process. Potassium iodide solution was analyzed to have high washing efficiency at all concentrations and particle sizes. In particular, the mercury removal efficiency is high in the micro particles, and thus the applicability of the washing technology is the highest.

      • GAM 모델 기반의 미세먼지 취약계층 대상 새로운 위험지수 개발 및 활동 추천시스템을 통한 생활밀착형 스마트시티 연구

        재선 ( Jae-sun Kwon ),김지연 ( Ji-yeon Kim ),유현수 ( Hyun-su Yu ),지원 ( Ji-wo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최근 미세먼지는 중대한 건강위험요소로 고려되고 있고, 미세먼지 취약계층은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대기환경지수는 세분화 되어있지 않아 본 논문에서는 위해성 평가와 GAM 모형을 기반으로 건강취약계층 대상을 위한 미세먼지 위험지수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실내 및 실외활동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생활밀착형 스마트시티로 발돋움하도록 한다.

      • KCI등재

        현장 파일럿 실험을 통한 광산배수 내 Fe, As, Mn 자연정화처리 효율평가

        오훈,박현성,이진수,지원,Kwon, Oh-Hun,Park, Hyun-Sung,Lee, JinSoo,Ji, Won H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0 자원환경지질 Vol.53 No.6

        본 연구는 중성의 pH 조건에서 Fe, Mn, As이 포함된 복합오염수를 배출하는 광산배수의 수질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모래와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수직흐름반응조(VFR, Vertical Flow Reactor)와 제강슬래그와 석회석을 적용한 반응조(ZMR)로 구성된 현장파일럿 장치를 설치하여 약 6개월간 운영하였다. 광산배수 내 존재하는 Fe, Mn, As에 대한 현장파일럿 장치의 처리효율을 평가하였다. 중성의 알칼리 수질특성을 가진 D광산 침출수에 VFR와 ZMR 공정을 적용한 결과, pH와 알칼리도가 효과적으로 상승하여 Fe과 As가 99%이상 제거되었으며 Mn은 98%이상 제거하여 복합오염물질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Fe, As, Mn이 포함된 소규모 광산배수에 자연정화기반의 공법이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monitor a pilot-scale vertical flow reactor (VFR) system being operated in long-term for water quality control of pH-neutral mine drainage containing Fe, Mn and As, discharged in D mine site. The treatment systems of VFR and zero manganese reactor (ZMR) consisted of sand/limestone, and steel slag/limestone, respectively. The systems were operated during about six months in order to evaluate their long-term treatment efficiency It was observed that both pH and alkalinity of mine drainage were remarkably increased and more than 98% of Fe, As and Mn ions was continuously removed during the tested period of time. In conclusion, the field results of this work demonstrated that the vertical flow reactor system can effectively treat mine drainage contaminated by Fe, As and M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