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權?映(번역자),金淑香(번역자),金熙敬(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池北偶談》은 淸代 문인 王士禛(1634~1711)이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필기작품이다. 본고에서는 《池北偶談》 卷1 〈談故 1〉 11-31편을 번역하고 주해를 달았다. 11-31편의 내용은 대부분이 명말청초의 과거 시험이나 급제자에 관한 것으로 여러 역사인물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원문에 입각한 번역을 통해서 왕사진이 《지북우담》에서 언급한 인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보충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이들 중 여러 인물들은 중국의 인물사전 등에서도 찾기 어렵거나, 사적을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아예 신원미상인 인물도 존재한다. 본고는 이에 대해 여러 사료와 기타 다른 필기 자료 등을 통해서 최대한 고증하고자 노력했고 이에 대한 내용을 주해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지북우담》에는 사회 제도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역사 사료의 보충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졌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지북우담》은 이렇듯 청대 필기를 연구하거나 관련 역사와 사회 문화 연구를 진행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Chibeioutan (지북우담) is the ‘biji (筆記)’ of Wang Shizhen (王士禛), who was a scholar and wordsmith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biji in the Qing Period, and its contents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scholarship, history, institution, and customs. This thesis was translated and included the 21 articles contained in Vol. 1 “Tanggu 1”. Most of the contents of the 11-31 articles are about imperial examination and persons who passed an imperial examination. The thesis also tried to explain about historical figures in detail through translation based on the original text. Some parts of the text are hard to find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difficult to organize, or even unidentified. The thesis tried to make the most of this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and this was reflected in the thesis. And in addition, Chibeioutan was a record of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ical facts that disprove the value of historical data as well as understanding social aspects of the time. As such, it is an important academic material for studying Qing Period writing and for conducting related historical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studies. Chibeiouta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and properly annotated into Korean and modern Chinese. So we ultimately aim to translate entire volumes of the Chibeioutan into Korean with detailed annotations on the basis of the 1982 edition published by Zhonghua Book Compan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of the project, which inclu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ook and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about the preface of Chibeioutan written by Wang Shizhen and 21 articles on “Tanggu 1”. Through this work we can provide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book, such as author’s purpose of writing, outline of the book, process of publication, amongst others.
지방자치단체간 공공서비스 시설 공동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권자경(權子卿),김익식(金益植)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1
도시네트워크 연계망 구축으로 광역생활권시대가 도래되어 인접한 지방자치단체들이 공공서비스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할 것에 대한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간 우수사례를 통해 그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대구경북연구원 공동이용사업’에서는 동일생활권에 거주한다는 지역주민의 오랜 인식이 동기로 작용하였고, 단체장간 긴밀한 유대와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가 성공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경제통합추진위원회, 지역혁신협의회의 두 축이 종합적 의사소통을 가능케 했고 예산의 공동분담이 공평성을 유지케했다.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사업’은 민간의 자본과 기술력을 결집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광역자치단체간 조합을 결성하여 조합방식에 입각하여 각종 의사결정과 사업추진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권운영,김숙향,김희경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Chibeioutan (지북우담) is the ‘biji (筆記)’ of Wang Shizhen (王士禛), who was a scholar and wordsmith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biji in the Qing Period, and its contents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scholarship, history, institution, and customs. This thesis was translated and included the 21 articles contained in Vol. 1 “Tanggu 1”. Most of the contents of the 11-31 articles are about imperial examination and persons who passed an imperial examination. The thesis also tried to explain about historical figures in detail through translation based on the original text. Some parts of the text are hard to find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difficult to organize, or even unidentified. The thesis tried to make the most of this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and this was reflected in the thesis. And in addition, Chibeioutan was a record of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ical facts that disprove the value of historical data as well as understanding social aspects of the time. As such, it is an important academic material for studying Qing Period writing and for conducting related historical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studies. Chibeiouta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and properly annotated into Korean and modern Chinese. So we ultimately aim to translate entire volumes of the Chibeioutan into Korean with detailed annotations on the basis of the 1982 edition published by Zhonghua Book Compan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of the project, which inclu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ook and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about the preface of Chibeioutan written by Wang Shizhen and 21 articles on “Tanggu 1”. Through this work we can provide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book, such as author’s purpose of writing, outline of the book, process of publication, amongst others. 《池北偶談》은 淸代 문인 王士禛(1634~1711)이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필기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池北偶談》 卷1 <談故 1> 11-31편을 번역하고 주해를 달았다. 11-31편의 내용은 대부분이 명말청초의 과거 시험이나 급제자에 관한 것으로 여러 역사 인물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원문에 입각한 번역을 통해서 왕사진이 《지북우담》에서 언급한 인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보충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이들 중 여러 인물들은 중국의 인물사전 등에서도 찾기 어렵거나, 사적을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아예 신원미상인 인물도 존재한다. 본고는 이에 대해 여러 사료와 기타 다른 필기 자료 등을 통해서 최대한 고증하고자 노력했고 이에 대한 내용을 주해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지북우담》에는 사회 제도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역사 사료의 보충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졌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지북우담》은 이렇듯 청대 필기를 연구하거나 관련 역사와 사회 문화 연구를 진행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권용기(權溶起) 전력전자학회 2011 전력전자학회지 Vol.16 No.2
전기자동차는 2차전지가 발달함으로 가능해지는 차량의 흐름인데 그 또한 높은 배터리 가격 때문에 딜레마에 빠져 있다. 이런 틈새의 시장을 만들기 위하여 이동 목적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차량이 근거리 전기자동차(neighborhood electric vehicle, NEV)이다. 또한 운전 형태의 변화와 더블어 초기 순수전기자동차의 시장 진입을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개발, 실증 및 보급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개발중인 ㈜지앤디윈텍의 NEV 개발 현황과 및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