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經量部의 見道(darśana-mārga)說

        권오민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This article discusses the darśana-mārga of Sthivira Śrīlāta who is, in the Abhidharmanyāyānusāraśāstra by Saṃghabhadra, also known as a patriarch of the Sautrāntika. Śrīlāta argues for the abhisamaya theory of the eight momentary minds, including the knowledges of the two sequential moments on the Four Noble Truths. This theory of darśana-mārga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Sarvāstivāda, that is, the abhisamaya theory of the sixteen momentary minds. The main ideas of Śrīlāta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age of ārya-kṣānti (聖忍位) is eliminated from the darśana-mārga. Second, a saint of the stage of ārya-kṣānti, the one entering into the niyāmāvakrānti, is capable of awakening (vyutthāna) because he/she is not in the stage of darśana-mārga. Third, the Dharma Knowledge of Suffering (duhkhe dharma-jñāna) arises with an immediate condition of kṣāntis at the first moment of the Stream-Enterer (srota-āpanna-phala). Śrīlāta literally reads the term, srota-āpanna in the sūtras, meaning 'the One who enters the Stream of the Undefiled Paths. The sudden termination (sakṛd-prahāṇa) of the pūrvānudhātu (舊隨界: a sobriquet of bīja) of three fetters (saṃyojana: satkāyadṛṣṭi, śīlavrataparāmarśa, vicikitsā) defilements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Śrīlāta because he argued for the theory of 'anuśaya (隨眠) = kleśa-anudhātu' and refused to admit the Sarvāstivādin's theory of 98 anuśaya, as the Teaching of Buddha (Buddhavacana). Four, unlike the theory of the Sarvāstivāda, anvaya-jñāna is not the Knowledge of abhisamaya that terminates the defilements of the upper dhātus (rūpārūpadhātus). Rather it should be literally interpreted as, arising immediately the dharma-jñāna, it is a definitive knowledge on the objects similar to the previous dharmas. It i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Sautrāntic epistemology that the previous dharmas are the cognitive objects of the phenomenal consciousness at present. According as what is desired in the stage of kṣānti, naturally and in order, the dharma-jñāna and the anvaya-jñāna of the Noble Truths of the Origin of Suffering, Cessation, and the Path arise after the Dharma-Knowledge of Suffering and the Anvaya-Knowledge of Suffering. Five, Sthavira Śrīlāta does not acknowledge the eight kṣāntis as abhisamaya but denies the Vaibhāṣika's theory of 'bhāvanā-mārga = Anvaya-Knowledge of the Path' for the abhisamaya is completely accomplished at the Anvaya-Knowledge of the Path. The darśana-mārga theory of Śrīlāta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Sarvāstivādins.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Sautrāntika is very unique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I assume that the Śrīlāta's theory should have some sort of connections with the nine citta-abhisamaya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Buddha's teaching or the theory of 16 citta-abhisamaya on the objects of grāhya (tathāgata) and grāhaka (saṃyag-jñāna) of the Yogācāra school. 본 논문은 衆賢의 순정리론 상에서 經量部의 조사로 일컬어진 上座 슈리라타(Śrīlāta)의 見道說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上座는 見道를 4성제에 대한 전후찰나의 결정적 판단(決斷: 智)인 法智와 類智로만 구성하여 이른바 八心現觀說을 주장하였다. 世第一法 이후 무루정에 근거한 忍位를 다만 말 그대로 세속지(가행위에서의 聖諦관찰)를 忍可하여 결정적으로 관찰 簡擇하기를 欲樂(희구)하는 법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상좌 자신이 말한 것처럼 설일체유부의 16心현관설과는 근본입장(宗趣, siddhānta)을 달리한 것으로, 그의 주요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聖忍位는 ‘正性決定에 들어가는 단계(入正性決定)’로, 이 단계의 성자가 隨信行과 隨法行이 이다. 둘째, 現觀 제1찰나인 苦法智가 預流果의 첫 찰나(初念)로, 이 때 3結의 舊隨界(種子의 이명)가 단박에 끊어진다. 셋째, 類智는 다만 말 그대로 ‘前法인 法智에 따라 일어나 그와 유사한 종류의 4제 行相을 결정적으로 아는 것’으로, 苦法智-苦類智 이후 集·滅·道諦의 法·類智는 聖忍位에서 欲樂한 바에 따라 순서대로 法爾로서 (저절로) 일어난다. 넷째, 現觀은 제8 道類智에서 완전하게 성취되기 때문에 (제1 苦法智는 최하품의 聖道) 상좌는 필시 유부 비바사사의 ‘도류지=修道’설도 인정하지 않았을 것이다.

      • KCI등재

        세친의 종자설 再考

        권오민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8 불교학 리뷰 Vol.23 No.-

        오늘날 세친(혹은 경량부)의 종자설이 그의 독창적 견해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중현은 그것을 상좌 슈리라타의 舊隨界설의 아류, 혹은 譬喩者의 종자설과 동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종자(bīja)’는 能生法인 因緣(hetupratyaya)의 비유로, 유가행파의 종자(알라야식)설이나 상좌의 舊隨界설에서 보듯이 인연론 즉 세계 혹은유정의 삶의 근원을 해명하는 핵심적 논의이다. 그렇지만 『구사론』 상의 그것은 因緣論이라는 독립된 場에서 설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만 一句의 단편으로 得(prāpti)이나 無表業 등 유부교학의 비판논리로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그 뜻을 온전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해서 이에 관한 온갖 가설이 제기되었다. 그렇지만 세친의 종자설과 함께 상좌의 구수계설과 비유자의 종자설을 널리 인용 비판하는 중현의 『순정리론』이나 역시 經量部나 上座部(*Sthavirapākṣika, 상좌일파)의 종자설을 다량으로 인용 비판하는 『유가론』 『섭대승론』 『성유식론』 등과 이들 문헌의 제 주석서, 혹은 경량부 일파로 생각되는 婆藪跋摩의 『四諦論』 등의 도움 없이 『구사론』과 주석서 상에 언급된 단편의 기사만으로 세친(혹은 경량부)의 종자설을 추측할 경우 오해와 독단에 빠질 공산이 크다. 본고에서는 ‘相續轉變差別’의 讀法과 세친의 종자설과 관련된 兵藤一夫, 加藤純章, 原田和宗, 佐古年穗 등의 일련의 추측성의 가설을 검토하였다. It is generally taken for granted that the theory of bīja has originated in the novel ideas of Vasubandhu. But Saṅghabhadra acknowledges the theory of Vasubandhu just as another version of the bīja theory equivalent to that of Dārṣṭāntika or an offshoot of the *pūrvānudhātu theory established by Sthavira Śrīlāta. The notion of bīja is a metaphorfor hetupratyaya, that is, the dharma capable of producing, and serves as the core concept in illustrating the origin of all sentient beings and their worlds, as demonstrated in the theories of *pūrvānudhātu (Śrīlāta) or of bīja (ālayavijñāna) by the Yogācāra. However, the full connotation of the concept has not been completely uncovered because the term bīja in Abhidharmakośabhaṣya is only brought up as a ground for the critical refutation of the terms such as prāpti or avijñaptikarma of the Sarvāstivāda philosophy.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o fall either into a bias or a dogmatic understanding if the evidential references are limited to the fragmentary remarks in AKBh, without being supplemented by such significant records as the Nyāyānusāra by Saṅghabhadra, the Catuḥsatyanirdeśa by Vasuvarman, known as an affiliate of the Sautrāntika, and the Yogācārabhūmi, the Mahāyānasaṅgraha, the Chengweishilun, and their commentaries in which frequent quotations of bīja theory presented by the Sautrāntika and its branch *Sthavirapākṣika are found.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viewed the hypothesis of Hyodo Kazuo, Kato Junsho, Harada Washo, and Sako Toshio etc in terms of their interpretations on the bīja theory of Vasubandhu and the concept of saṃtatipariṇāmaviśeṣ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