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습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관계 및 또래관계의 변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를 중심으로
권예지,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from 6th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s increased. This study used 3rd (6th grade) and 4th (7th grad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 (51%) and 1,439 females (49%). After analyzing the profile of each grade, 3 groups were found based on their changes of amotivation: “Amotivation In” group(n=202), “Amotivation Stay” group(n=109), “Amotivation Out” group(n=6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changes 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changes in “Amotiv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motivation changing patterns and changes in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he “Amotivaton Stay”group, the “Amotivation In” group’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Amotivation Out” group’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ma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3차(초6)와 4차(중1)년도에 참여한 2,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무동기의 변화양상을 구분하기 위해 초6과 중1 시점 각각의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무동기를 제외한 다른 동기유형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프로파일 집단을 무동기 집단으로, 무동기는 낮고 다른 동기유형은 낮지 않은 프로파일 집단을 동기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무동기 진입’, ‘무동기 유지’, ‘무동기 이탈’의 3개 집단으로 무동기 변화유형을 구분하였다. 무동기 변화유형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학생 관계, 및 또래 관계에서 두 시점 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무동기 유지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무동기 이탈집단은 초6에 비해 중1시기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무동기 진입집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나타났다. 두 시점 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무동기 유지집단에 비해, 무동기 이탈집단의증가는 유의미하게 컸으며 무동기 진입집단의 감소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무동기 학생의 탈무동기 및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되는 지도방향을 제안하였다.
권예지,박사무엘,박명빈,김소정,하지원,성지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한국의 해양 생물 중 하나인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를 식품산업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의 껍질과 살을 분리하고 건조 방식을 달리한 후 메탄올(ME), 부탄올(BnOH), 물(WE), 메틸 클로라이드(MC), 에틸 아세테이트(EA) 분획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평가 및 성분 분석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렁쉥이의 껍질보다 살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냉풍 건조물이 동결 건조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nOH 분획물이 89.97 mg/g of residue로 가장 높았으며 WE 분획물은 41.87 mg/g of residue로 가장 낮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ME 분획물이 64.87 mg TEAC/g of residue, BnOH 분획물이 58.60 mg TEAC/g of residue로 측정되었다. 냉풍 건조한 우렁쉥이 껍질에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며 astaxanthin 8.11 mg/100 g, zeaxanthin 1.62 mg/100 g, lutein 6.72 mg/100 g으로 분석되었다. HS-SPME/GC-MS를 이용한 분석에서 우렁쉥이의 휘발성분은 1-octanol, trans-2-decenal, 1-decanol 등이 검출되었다. 염증을 유도하는 대식세포에서 우렁쉥이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MC, EA 분획물에서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렁쉥이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개선 방안 탐색: 영국의 정부소통청(GCS)과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권예지,조아라,이지영,최지선,편미란,윤성인 한국방송학회 2024 한국방송학보 Vol.38 No.2
이 연구는 한국 및 영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살펴본 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발전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와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서면 및 대면 인터뷰를 실시했다. 영국의 정부소통청(GCS)은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조직 구축, 프로세스 정교화 등을 통해 사회 다양성을 존중하되,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일관되게 하려는 노력을 하고있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은 지속성보다는 기관의 소속 변경, 폐지, 신설, 업무 축소 및 확대가 정권교체 등에 따라 반복됐다. 공익광고는 주로 메시지 연구 및 효과 중심, 정부광고는 제도의개선 방향, 국가브랜드는 2002년 월드컵이나 2010년 이후 한류 급부상 시기 등 시기별로 연구관심이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은 현재의 공공 커뮤니케이션의현황을 진단하며, 일관된 방향성 필요, 충분한 예산과 우수전문인력 배치 노력, 프로세스 차원에서의 매뉴얼 구축, 컨설팅 역할 수행, 데이터 기반 운영 필요, 공공 커뮤니케이션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분석 필수, 공공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 마련,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aiming to offer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ublication communication. We analysed local policies and initiatives in both countri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18 public communication experts in South Korea. Our findings reveal a stark contrast in approach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UK’s Government Communications Service (GCS) focuses on social diversity and maintaining consistent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pertinent organizations and refin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public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isrupted by government turnover, leading to frequent changes in institutional affiliation, establishments, and shifts in work scope, thereby hindering consistent public communications. The interviews highlight the need for a unified direction in public communication, adequate fu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rt resources in South Korea. Recommendations to enhance South Korea’s public communications include the creation of a detailed manual, adopting a consulting role, implementing data-driven operation, and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viding related training, and establishing a centralized overseeing body.
권예지,유승민,최광수,김장환,백무열,서승태,김우기 한국식품과학회 2019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8 No.4
The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RG) havebeen widely used for medicinal purposes in Asia. Thetraditional processing of RG involves repetitive steamingand drying, and 9-time-steamed RG (NSRG) is the mostcommonly consumed form. For a development of a convenientprocessing method, RG was puffed at variouspressures resulting in significantly increased solid extractionyield by up to 14%. The amount of the Maillardreaction product 5-hydroxymethylfurfural and the antioxidantcapacities determined by the ABTS and DPPH radicalscavenging assays were enhanced at increasing puffingpressure. Treatment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RAW 264.7 macrophages with RG extracts revealed thatpuffing of RG enhanced its sup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cytokine IL-6 by up to 37%. The 5-hydroxymethylfurfuralcontents, ABTS/DPPH radical scavengingcapacities, and IL-6 regulatory effects of puffed RG samples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NSRG control, indicatingthat puffing is a desirable processing technique fordevelopment of nutraceuticals using RG.
미디어 및 프로그램 장르별 이용량,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권예지,차유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sage by media and programme types on discrimination attitudes as ambivalent sexism which is more likely to be overlooked than hostile sexism, and how the attitudes affect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by considering gender effec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to 29 (N = 330) in Seoul.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media usage on these factors(benevolent sexism, competitive differentiation, hostile heterosexuality) varied according to media typ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usage of programme by genres, the more the amount of usage of reality TV competition or music performances or comedy programme was, the stronger ambivalent sexism attitudes was strongly suggested. Howev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cultivation effects even in the same media and programme by genr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gender influence of ambivalent sexism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only the positive effect of benevolent sexis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at help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aintaining sex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