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렁쉥이의 주요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효과

        권예지,박사무엘,박명빈,김소정,하지원,성지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한국의 해양 생물 중 하나인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를 식품산업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의 껍질과 살을 분리하고 건조 방식을 달리한 후 메탄올(ME), 부탄올(BnOH), 물(WE), 메틸 클로라이드(MC), 에틸 아세테이트(EA) 분획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평가 및 성분 분석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렁쉥이의 껍질보다 살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냉풍 건조물이 동결 건조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nOH 분획물이 89.97 mg/g of residue로 가장 높았으며 WE 분획물은 41.87 mg/g of residue로 가장 낮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ME 분획물이 64.87 mg TEAC/g of residue, BnOH 분획물이 58.60 mg TEAC/g of residue로 측정되었다. 냉풍 건조한 우렁쉥이 껍질에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며 astaxanthin 8.11 mg/100 g, zeaxanthin 1.62 mg/100 g, lutein 6.72 mg/100 g으로 분석되었다. HS-SPME/GC-MS를 이용한 분석에서 우렁쉥이의 휘발성분은 1-octanol, trans-2-decenal, 1-decanol 등이 검출되었다. 염증을 유도하는 대식세포에서 우렁쉥이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MC, EA 분획물에서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렁쉥이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초등영어 학습도구로서 자기평가의 제작 방향 : 평가 문항 형태를 중심으로

        권예지,이완기 한국영어평가학회 2016 영어평가 Vol.11 No.1

        Self-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line with growing interest in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and Assessment as Learning. Despite the widespread adoption in textbooks, self-assessment item format seems to have limited context and information for students to diagnose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on self-assessment in terms of item format construction. Two item formats(specific / abstract) were administered to 4th grad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mprised of 11 studen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represent the validity of self-diagnosis compared with teacher's. Levels of reflection were also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responses. Findings suggest that specific form provided students of all levels clear standard for objective diagnosis. Abstract form, however, led to subjective grading with intervention of learner variables. As for reflection, specific format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low level learners' reflection who lack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results, reexamination and further revision of item formats are required to promote self-assessment as learning.

      • KCI등재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권예지,김민선,김충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2

        Efforts are being made internationally to pay attention to the landscape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and to pass it on. However, in Korea, the registr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s insignificant. There has also been little discussion on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ways to improve the registra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so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ing heritage could be protected. Currently, the registration criteria for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re not stipulated for each type of heritage, but are stipulated as a single comprehensive standard. Registration criteria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so that the landscape value of the heritage can be reviewed. First, the registration criteria have an important value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culture. Second, well-preserved landscaping reflects or characterizes the times. Lastly, it should be defined as related to the works of major artists or important figures or historical events. The classification system must match the studied building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detailed typ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should be specified. The major classification follows the building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but parks and green spaces, squares, and gardens, which can be called a single landscape heritage, should be added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Landscaping heritage, such as gardens combined with building heritage, shall be specified in the subcategory based on building use.

      • KCI등재

        학습 무동기 변화 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관계 및 또래관계의 변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를 중심으로

        권예지,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students' academic amotivation in relation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ring the school year.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d changes in students’ patterns of amotivation from 6th to 7th as their academic burdens increased. This study used 3rd (6th grade) and 4th (7th grad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Participants were 1,495 males (51%) and 1,439 females (49%). After analyzing the profile of each grade, 3 groups were found based on their changes of amotivation: “Amotivation In” group(n=202), “Amotivation Stay” group(n=109), “Amotivation Out” group(n=60).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changes i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lated to changes in “Amotiv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motivation changing patterns and changes in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he “Amotivaton Stay”group, the “Amotivation In” group’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Amotivation Out” group’s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parents' explanation of rationa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may influence learners’ motiva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무동기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무동기 변화에 따른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3차(초6)와 4차(중1)년도에 참여한 2,9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무동기의 변화양상을 구분하기 위해 초6과 중1 시점 각각의자기결정성 동기유형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무동기를 제외한 다른 동기유형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프로파일 집단을 무동기 집단으로, 무동기는 낮고 다른 동기유형은 낮지 않은 프로파일 집단을 동기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무동기 진입’, ‘무동기 유지’, ‘무동기 이탈’의 3개 집단으로 무동기 변화유형을 구분하였다. 무동기 변화유형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설명, 교사-학생 관계, 및 또래 관계에서 두 시점 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무동기 유지집단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무동기 이탈집단은 초6에 비해 중1시기 모든 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무동기 진입집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나타났다. 두 시점 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무동기 유지집단에 비해, 무동기 이탈집단의증가는 유의미하게 컸으며 무동기 진입집단의 감소는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무동기 학생의 탈무동기 및 동기 증진에 도움이 되는 지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의 광고이용자의 권익향상 방안 : 소비자와 광고주의 권익, 직면한 문제, 권익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권예지,이경미,편미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dvertising industry.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14 experts were asked to defin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the difficulties consumers and advertisers currently face, and how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dvertising user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consumer rights: right not to discriminate, right to accept and demand accurate information, right to see sound advertisements, right to avoid excessive advertising exposur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right to claim damages, right to education as advertising consumers. The derived advertisers' rights and interests were as follows: the right to express, the right to know transparent data, the right to request incorrect information correction, and the right to produce participatory advertisement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summarized in terms of system, environment, and education to organize the difficulties of each consumer and advertiser and to improve rights and interests to solve the difficulties.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광고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광고이용자 권익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대상 구조화 및 반구조화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전문가 14명에게 광고이용자 권익 정의, 소비자와 광고주가 현재 직면한 문제, 광고이용자 권익향상 방안을 물었다. 연구결과, 소비자 권익에는 차별받지 않을 권리, 정확한 정보를 수용‧요구할 권리, 건전한 광고를 볼 권리, 과도한 광고 노출 회피권, 개인정보보호 자기결정권, 개인정보보호권, 손해배상청구권, 광고소비자로서의 교육청구권이, 광고주 권익에는 표현의 권리, 투명한 데이터를 알 권리, 잘못된 정보 수정요청 권리, 참여형 광고 제작권 등이 도출됐다. 인터뷰 결과는 소비자와 광고주 각각의 문제를 정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권익향상 방안에 대해 제도, 환경, 교육 차원으로 정리했다. 이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했다.

      • KCI등재

        우렁쉥이 분말 첨가에 의한 어포의 품질 개선

        권예지,박명빈,김태완,허희진,이준수,김소정,하지원,최대웅,성지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는 해양 생물인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를 소재로 하여 저장성과 기호성이 뛰어난 어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우렁쉥이 분말이 첨가된 어포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분석, 향미 분석, 항균 활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 살보다 우렁쉥이 껍질에서 생리활성 물질인 카로티노이드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MeOH, EA 및 BuOH 분획물의 우수한 항균 효과를 검증하였다. 냉풍 건조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모든 실험군 간에 당도,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렁쉥이의 주요 휘발 성분인 1-octanol이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 어포에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어포에 비해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어포 제조 시 우렁쉥이 분말을 첨가한다면 천연 보존료・감미료로서 우렁쉥이를 활용하여 천연 해양 생물의 활용성을 높이고 시제품의 안전성・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가적인 효과로 향미 증진 및 소비자 기호도 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한 긍정성 증진을 위한 단기 성격 강점 워크숍의 효과

        권예지,이지은,백경희,노재흥,채정호,Kwon, Ye-Ji,Lee, Ji-Eun,Beak, Kyung-Hee,Nho, Jae-Heung,Chae, Jeong-Ho 대한불안의학회 2015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1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single-session, positive psychology-based, strength-enhancing workshop for psychiatrists. The program is composed of lecture about positive psychology and workshop activities for identifying and utilizing character strengths. Methods : A total of 42 psychiatr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a lecture about positive psychology and workshop activities for identifying and utilizing character strengths. Results of a positive resources test, given before and after the session, were used to assess changes in the personal positive resources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program. Results : We noted significant increases in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gratitude, acceptance, positiv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rientation of life, growth, spirit, autonomy, social support, and care factor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On additional analysis, spirit and care scores of female participant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male participants's. Conclusion :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efficacy of a short-term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iatrists's positive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