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평탄도 검사를 위한 센싱 기반 측정방법 적합도 비교

        권순호,김정섭,심성한,김민구,Kwon, Soon-Ho,Kim, Jeong Seop,Sim, Sung-Han,Kim, Mink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4 No.4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is normally conducted manually by inspectors at manufacturing sites. However, the manual inspection is error-prone and subjectiv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obust and efficient flatness measurement method. Recently, a few studies of laser scanner-based flatness inspection have been conducted. However, little attention on field applicability in terms of accuracy, time and cost has been paid. To tackle the limitation,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ree sensing method including floor profiler,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total station for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A series of experiments on two full-scale PC slab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laser scanning method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PC elements flatness inspection in the aspects of accuracy, time and cost.

      • KCI등재

        한국어 자모 Viable Prefix를 이용한 외래어 표기 교정 기법

        권순호,권혁철,Kwon, Soon-Ho,Kwon, Hyuk-Chul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8 No.2

        한국어 문서에서 외래어 표기는 한 단어에 대해 한 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다른 표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기상 불일치는 하나의 단어가 다른 개념으로 인식되어 정보 검색 시스템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외래어 표기에 대해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외래어 표기로 교정하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어로 외래어가 입력되면, 이를 근거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외래어 표기로 교정해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한국어 자모의 viable prefix를 이용하여 후보 외래어 표기를 생성하는 가상 트리를 작성하고 불필요한 외래어를 가지치기함으로써 검색 정확도를 높이고 속도를 개선한다. In Korean documents, there are diverse spellings of transliterated foreign loanwords. This fact diminishes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in that a foreign word can be recognized differently, which is to say, as two or several different words. Thu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require preprocessing to correct nonstandard loanword spellings prior to searching and recognizing corresponding equivalent word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improves precision and processing efficiency using the Korean alphabet's viable prefix, which prunes a virtual tree from which candidate loanwords are created.

      • 철탑승탑자 추락예방을 위한 "철탑 암(Arm) 이동을 위한 통로용 안전발판" 개발

        권순호,Kwon, Soonho 한국전력공사 2021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7 No.2

        종래의 사용중인 송전철탑 암(Arm)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해서는 암주재를 발로 딛고 이동 하거나 작업하는데 발디딤 공간이 부족하여(7~15cm)안전사고 발생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철탑 암 이동 또는 작업 시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물리적 안전조건을 강화시키기 위해 발디딤 공간을 30cm 로 확대시킨 "철탑 암 이동을 위한 통로용 안전발판"(이하, 철탑 암 안전발판)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자 평가 기반 여행계획 모델링

        권순호(Sun-Ho Kwon),박승민(Seung-Min Park)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1 No.4

        최근 교통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세계 관광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자유여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여행계획을 추천해주는 시스템들이 존재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일정과 선호도를 반영하지 않고 추천을 하여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평가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정에 맞는 여행계획을 모델링 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여행계획 모델링 시스템과는 다르게 여행지간의 이동 시간, 여행지를 둘러보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적합도 함수에 반영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여행계획을 제공해주고 여행의 질과 만족도를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global tourism market is growi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free travel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is system is recommended to travel plans based on this trend, but existing systems are many cases that do not reflect the user’s schedule and preferences, the lower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ystem based on user evaluation to model a scheduled travel plan using genetic algorithms based on users’ preferences. Unlike typical travel planning modeling systems, we reflect the travel time between travel destinations, the time it takes to tour destinations, and so on in the goodness-of-fit function. We expect the proposed system to provide users with a variety of travel plans and improve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their trips.

      • KCI등재

        도심지 홍수저감과 교통량 분담을 위한 다기능 대심도 터널 설계 기준 방안 제시

        권순호(Kwon, Soon-Ho),김정환(Kim, Jeong-Hwan),정건희(Chung, Gun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5

        우리나라의 강수 특성은 지역 및 계절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하여, 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내리고 지역적인 차이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게릴라성 호우 등과 같이 강우강도가 큰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불투수지역이 넓은 도심지의 홍수방어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홍수저감을 위해 우수관의 설계빈도 상향조정이나 빗물펌프장이나 유수지 건설 등과 같은 구조적인 대책이 다수 수행되고 있으며, 극한 홍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첨두홍수량을 하류로 배제하거나 저류하기 위한 방수로나 저류조 건설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1년에 1~2회 정도 사용하는 방수로나 저류조 건설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 것에 대한 국민적인 반발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도심 지의 또 다른 문제인 교통량 분담을 위한 대심도 도로터널을 동시에 건설하여 교통문제와 자연재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대심도 터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과 수로터널의 설계기준을 살펴보고 국내에 적용 이 가능한 형태의 다기능 복층터널 형태를 제안하였으며 고려해야 할 설계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다수 건설될 다기능 대심도 복층터널의 설계기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Spatial and time variation of the precipitation in Korea is high, therefore, more than 2/3 of the annual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during the rainy season. Climate change also causes the intensive rainfall in the area of dense population, thu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heavy flood in the impervious area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e structural food mitigation measur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higher design frequency stormwater pipes, pumping stations, and/or detention ponds. The flood bypass tunnel or retention storage is also one of the efficient structures to mitigate flood damage in the urban area. However, the economic feasibility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the flood bypass tunnel might be used once or twice a year. To solve the problem, the multi-functional tunnel for the urban traffic and flooding bypass has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design criteria of the road and water tunnel has been analysed and the composite design criteria is proposed for the multi-functional tunnel which is expected to be constructed.

      • KCI등재

        지상수신국의 가상 TOA 및 AOA를 이용한 우주발사체 3차원 위치 추정 기법 성능분석

        권순호(Soonho Kwon),김대오(Daeoh Kim),문상미(Sangmi Moon),추명훈(Myeonghun Chu),이지혜(Jihye Lee),배사라(Sara Bae),김한종(Hanjong Kim),김대진(Daejin Kim),황인태(Intae Hwang),김철성(Cheolsung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9

        일반적으로 우주발사체 발사 임무에 있어서 지상의 원격측정신호 수신국의 안테나시스템은 자동추적기능만 갖고 있다. 따라서 발사체에 대한 위치정보 측정은 별도의 레이더 장비에 의존한다. 신호원의 도달시간(Time of Arrival, TOA) 및 도래각(Angle of Arrival, AOA)은 신호 발생원에 대한 전형적인 위치 추정기법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2개 지상 수신국을 이용하여 우주발사체에 대한 Combined TOA-AOA 위치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우주발사체와 지상 수신국간에는 시간 동기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TOA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가상의 온보드 타이머 생성이 필요하다. 이는 발사체가 송출하는 스트리밍 프레임에서 프레임 카운터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가상 온보드 타이머를 이용하여 송신시각과 수신시각 차이를 추정하여 레이더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거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두 지상국의 TOA 및 AOA를 결합하기 위해서 TOA를 통해 획득한 거리정보를 반지름으로 하는 구의 방정식과 AOA 방향의 평면 및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해를 구한다. 이렇게 얻어진 해는 발사체의 3차원 위치정보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발사 임무에서 우주발사체에 탑재된 GPS 측정정보를 레퍼런스로 하여 TOA, AOA 및 Combined TOA-AOA 위치 추정기법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Generally, a ground telemetry station for a launch vehicle (LV) only includes a tracking function only; therefore, position measurements depend on radar. Time of arrival (TOA) and angle of arrival (AOA) are typical location techniques for emitting targe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bined TOA-AOA localization method for a LV using two ground stations. When the transmitter (Tx) time is not known, the initial target position (for example, launch pad or radar-measured position) is necessary for TOA. By using the position, the initial range and time delay can be calculated. With this time delay and a frame counter in the streaming frame, a virtual on-board timer can be created, which generate time stamp for the streaming frame according to the data rate. By comparing the time stamps of the Tx and receiver (Rx) from the streaming frame, the range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radar. In ordet to combine TOA and AOA, we create sphere equations with the obtained range radius and vertical plane equations, to include unit vectors for the AOA direction. By solving these equations, a three-dimensional (3D) target point can be obtained. We confirm the localization performance by means of comparison with an on-board GPS of a real launch mission.

      • KCI등재

        불어 속담에 나타난 명사적 단어의 구조에 대한 연구

        권순호 ( Kwon Soon-ho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4 프랑스어문교육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중재이론(la théorie de la médiation)의 틀 속에서 불어 속담에 쓰이는 명사적 단어들의 구조를 밝혀보고자 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우선, 불어 속담에 쓰이는 명사적 단어들을 분석하여 불어의 명사적 단어를 구성하는 요소인 전치사, 한정사(déterminant du nom) 그리고 어휘소(lexème) 등을 추출해내 본 후에, 명사적 단어의 구성요소들을 크게 3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렇게 범주화된 명사적 단어의 구성요소들

      • 한국 현대음악에 나타난 전통음악적 요소에 대한 분류연구 및 현대적 음향군이론 정립

        권순호(Soon Ho Kwon),최승준(Seung Joon Choi),허방자(Bang Ja Hurh),여영환(Young Hwan Yoe),정지영(Ji young Jung),권오연(Oh Yeon Kwon),이혜영(Hye Young Lee),김지민(Ji Min Kim) 낭만음악사 2007 낭만음악 Vol.19 No.4

        한국의 현대음악은 서양음악의 수용 이래로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초기 수용의 단계에는 이론적인 수용과 철학적이고 정서적인 면이 강조 된 작품들이 성악곡들을 중심으로 발전 되었고 1950년대 이후에는 수용을 넘어 진정한 현대적 의미의 음악들이 적극적으로 창작 되어 왔다. 한국의 현대 음악은 조성의 부정과 전통적인 정서가 함께 공존하여 발전 하는 형태가 나타난 시기가 바로 1950년대라고 할 수 있다. 김동진의 ‘신창악 운동’을 시작으로 라운영의 ‘한국민족음악의 정립과 토착화,’ 이건용과 제3세대 작곡가들의 ‘민족음악론’ 등 작곡가들의 노력과 가치있는 결실로 오늘날 창작 음악계는 많은 발전을 가져 왔다. 특별히, 1980년대와 1990년대 이후 서양 음악적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음악관을 가지고 한국의 정체성을 창작 작품에 담아내는 많은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한국적 정체성을 담을 많은 창작 작품들은 한국의 전통 음악적 소재를 인용 또는 변화 발전 시켜 도입하는 경향을 가진다. 특히 본청-하청의 선율구조는 중심음-상대음의 구조로 발전 되어 한국적 색채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5음 음계 구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장2도와 완전4도의 화성 구조를 다양한 음악적 배경 속에 도입하고 있다. 리듬에 있어서도 고유한 장단의 사용과 함께 한국적 이미지를 담은 다채로운 리듬형태를 창조하였고 또한, 한국 특유의 즉흥적인 연주의 리듬 또한 창작 음악의 주요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공통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 창작 음악을 논리적으로 해석하고 분석하고자 현대음악이론에 입각한 실제적인 이론화를 시도하였다. 이런 이론화는 실제적으로 창작 활동을 하는 음악가들에게 일반적인 이론 체계로 접근하여 기법화를 실현 시킬 수 있다는 목적을 가지며 또한 많은 이론가들과 음악학자들에게는 창작 작품들이 가지는 예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음악이 가지는 새로운 학술적 측면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가치를 가진다. Korean contemporary music has been developed from variously musical points of views, since the acceptance of Western music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its early stages of the acceptance, music compositions in Korea took just the theory of Western music and are usually focused on vocal works which are emphasized on emotional and philosophical senses. In the 1950s, there are many compositions composed in the genuine and modern sense beyond simple uses of Western music theory. In the 1950s, it is the time to evolve and coexist both creative contemporary music which got into atonal music and original traditional Korean music. There are many composers and movements of music such as ‘Shin-Changak Movement’ by Dong-Jin Kim, ‘The establishment and nativization of Korean nationalism’ by Yun-Young La, ‘Nationalism Music’ by Gun-Yong Lee and the third generations.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to make Korean music developed. In particular, between 1980s and 1990s, although most of composers employed various of compositional techniques from Western music, their works based on creative and independent identity. At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applications and performances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at the concert hall, many works are performed at the public concerts and they are not limited to academic values any more. Performances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are getting increased through statistical researches of performances and programs of the major concerts in Seoul and five etropolitan cities between 2000 and 2005 even though a few metropolitan cities still have not enough concerts for contemporary music. The Korean identity of comtemporary music are very important to Korean composers in the 1980s and 1990s. Therefore they have been tried to quote and develop variously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ir works. Especially the melodic structure of the center tone-relative tone derived form the melodic structure of Bon-Chong and Ha-Chong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important intervals, the perfect 4th and the major 2nd in pentatonic scale which is a primary musical material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the main material to construct harmony structure. Jangdan is also very important materials from the rhythmic point of view and composers variated the Jangdan in many ways and besides that composers tried to create Korean traditional rhythms based on the improvisations of Korean music. These common facts in music can be established as a compositional theory. This kind of experiment produce a lot of possibilities for both composers and theorists. Practically, this theorization is to get a analytical tool for many kinds of music based on Koran contemporary music. In addition to this, it can be developed as a compositional techniques to express Korean traditional sense of music. Therefore, this kind of attempt has academic value as well as artistic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