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권소현(Kwon Sohyun) 국립광주박물관 2018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Vol.- No.1

        고려말기 상감청자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되기 시작한 분청사기는 전국 각지의 가마들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제작되는데,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인화 분청사기, 충청도에서는 철화 분청사기, 전라도에서는 조화박지 분청사기가 유행하는 지역적인 특색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청사기의 특징으로 얘기되는 지역적 특색에 대해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알려진 전라도 지역 가마터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성격에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통해 운영시기, 지역에 따른 제작 양상 등 지역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1980년대를 시작으로 지표조사와 발굴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본 글에서는 전남지역 광주 충효동, 고흥 운대리, 보성 도촌리, 영암 상월리, 곡성 구성리, 장성 추암리 등과 전북지역 부안 우동리, 완주 화심리, 고창 수동리, 고창 용계리, 고창 용산리, 김제 청도리 등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가마터를 대상으로 발굴 개요 및 출토 유물의 특징을 살펴보고, 기형, 시문 장식기법, 명문을 중심으로 그 성격과 제작시기 등을 살펴보았다.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특징은 첫째 제기의 제작, 둘째 시문장식기법 중 조화박지 기법과 분장기법에서 그 특징을 크게 꼽을 수 있는데, 반상기와 저장운반용기의 구분에 따른 시문기법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청자, 백자, 흑유와 동반 생산되고 있다. 넷째, 출토되는 명문 중 관사명으로는 ‘내섬’, ‘예빈’, ‘인수’, ‘장흥’, ‘사(선)’ 이 있다. 이 외에도 지명, 용도, 사기장 이름, 품질표시, 지방관아명 등의 명문도 일부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고려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이은 상감 분청사기의 제작에서부터 백자로 이행해가는 과정, 분청사기의 마지막 단계인 덤벙분장 분청사기의 제작까지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제작시기는 14세기 말~16세기 전반까지라고 말할 수 있다. 향후 다른 지역 분청사기와 비교한다면 전라지역 분청사기의 특징과 성격이 보다 명확해지리라 생각된다. Taking the baton from the sanggam (inlaid) celadon tradit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uncheong ware began to be produced in a variety of forms at kilns across the country. Gyeongsang-do Province mainly produced buncheong ware with stamped designs. In Chungcheong-do Province, buncheong with designs in iron underglaze prevailed Jeolla-do Province specialized in buncheong with incised and sgraffito designs.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ncheong ware by scrutinizing buncheong kiln sites in Jeolla-do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excavation surveys. This survey data will also aid i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tion periods of kilns and aspects of buncheong production. Buncheong kiln sites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excavations and ground surveys conducted since the 1980s. This paper analyzes excavations and excavated relics from surveyed kiln sites in Chunghyo-dong, Gwangju; Undae-ri, Goheung; Dochon-ri, Boseong; Sangwol-ri, Yeongam; Guseong-ri, Gokseong; and Chuam-ri, Jangseong in South Jeolla-do Province as well as Udong-ri, Buan; Hwasim-ri, Wanju; Sudong-ri, Gochang; Yonggye-ri, Gochang; Yongsan-ri, Gochang; and Cheongdo-ri, Gimje in North Jeolla-do Province. It further explore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dates of buncheong wares by inspecting forms, decoration methods, and inscriptions. The four distinctive features of the buncheong ware produced in Jeolla-do Province a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ritual vessels; (2) the wide use of incising, sgraffito, and slipping methods, which were employed differently in tableware and containers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3) the production of Joseon celadon, white porcelain, and black-glazed stoneware alongside buncheong ware; (4) inscriptions of office names, such as “Naeseom” (Procurement Office), “Yebin” (Dignitary Reception Agency), “Insu” (Office of Abdicated Kings), “Jangheung” Office, and “Sa (seon)” (Office of Royal Cuisine), as well as place names, intended uses, names of master ceramicists, quality marks, and names of regional offices.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include the sanggam buncheong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sanggam celadon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evolved into white porcelain and the buncheong dipped in white slip, the type that emerged in the final stage of buncheong’s development.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appear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fourteenth to early sixteenth centuries. Further comparison between buncheong wares from Jeolla-do and those from other regions will help to more clearly characterize Jeolla-do buncheong wares.

      • KCI등재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형성을 이용한 향상된 기능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개발

        원미희,권소현,김태현,Won, Mihee,Kwon, Sohyun,Kim, Tae-Hyun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5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연료로 하여 전기를 생산해 내는 장치로, 전기분해에 의해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이온을 양극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해질을 필요로 한다. 전해질로써 Nafion과 같은 불소계 고체 고분자 막이 개발되어 왔으나, 고온에서의 수소이온 전도도 감소 및 높은 함수율에 따른 안정성 감소 등의 문제로 인해 새로운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개발을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술폰산기가 밀집된 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확보하고 이에 따른 고분자 막의 높은 함수율은 고분자 사슬 내에 나이트릴(CN) 작용기를 친수성 올리고머에 함께 도입함으로써 고분자 사슬간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을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가교가 형성된 고분자 막들은 높은 함수율 대비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성에서 Nafion-117 고분자막에 비해 낮은 IEC값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보다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which transfers proton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is the key component of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Nafion is widely used as PEM due to its high proton conductivity as well as excellent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ies. However, its high cost and the environmental hazards limit the commercial application in PEMFC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various alternative polymer electrolyt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fuel cell applications. We used densely sulfonated polymers to maximize the ion conductivity of the corresponding membrane. To overcome high swelling, dipole-dipole interaction was used by introducing nitrile groups into the polymer backbone. As a result, physically-crosslinked membranes showed improved swelling ratio despite of high water uptake. All the membranes with different hydrophilic-hydrophobic compositions showed higher conductivity, despite their lower IEC, than that of Nafion-117.

      • 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효율적인 탈산소탈수(DODH) 반응: 갈락토스 유래 아디픽산의 합성

        신나라 ( Nara Shin ),권소현 ( Sohyun Kwon ),김영규 ( Young Gyu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7 공업화학 Vol.28 No.2

        나일론의 단량체인 아디픽산을 바이오매스인 갈락토스로부터 얻기 위한 효율적인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백금촉매를 이용한 갈락토스의 산화반응을 통해 얻어진 갈락타릭산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탈산소탈수(DODH)반응을 통하여 30 min의 매우 짧은 반응 시간 안에 97%의 높은 수율로 아디픽산의 주요 중간체인 뮤코네이트를 합성하였다. 생성된 뮤코네이트는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반응 및 가수분해 반응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나일론의 단량체인 고순도의 아디픽산으로 전환되었다. An efficient synthetic process for bio-based adipic acid, a monomer for nylon 66, was developed from galactose. Galactaric acid, prepared from a mild oxidation of galactose using a Pt catalyst, was successfully converted to muconate, a key intermediate for adipic acid, by an efficient microwave-assisted DODH (deoxydehydration) reaction. The high efficiency of the microwave-assisted reaction greatly reduced the overall reaction time to 30 min. and resulted in an excellent yield of 97% of muconate.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muconate followed by the acidic hydrolysis successfully produced the desired adipic acid in high purity after recrystallization.

      • 내수해역에서의 선박통항과 관련한 쯔나미 재난 경감을 위한 기초연구

        김규광(KyuKwang Kim),이중우(JoongWoo Lee),강석진(SugJ in Kang),권소현(SoHyun Kwon),이형하(HyungHa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추계

        최근 해저지진의 활동에 따른 극한 쯔나미 파랑이 해안도시와 항만에 어마어마한 손상을 가져오고 있다. 전세계에 걸쳐 특정 해역에서는 강한 정진형태의 부진동과 처오름이 관측되고 있다. 한반도에서는 그렇게 빈번한 발생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으나, 과거기록을 보면 동해에서 몇 개의 중요한 발생사례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만이나 내수해역에서 최근 해저지진의 발생 추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쯔나미 발생 메카니즘을 해석하여 새롭게 내수역에서의 수치모델에의 적용을 통해 공진을 통한 쯔나미 파랑의 변환을 다루어 통항선박에 대한 안정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내수역에서의 쯔나미 파랑에 대한 반응을 정합성 및 웨이블릿 해석으로 탁월 주기와 지속시간에 대한 분석으로 파악하였으며, 쯔나미파의 입사와 독립적인 공진모드의 도출은 쯔나미 재해의 경감을 위한 시설물 및 재난지역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는 장래 재난에 대한 적절한 대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과학기술 ODA 실태분석 및 전략적 추진방향

        김왕동(Wangdong Kim),이정원(Jung Won Lee),임덕순(Deok Soon Yim),김기국(Ki Kook Kim),선인경(Inkyoung Sun),강희종(Hee Jong Gang),김은주(Eunjoo Kim),권소현(Sohyun Kwon),전병우(Byung Woo Jeon),이선아(Seona Lee)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Korea"s ODA budget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domestic research community,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ODA has in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small scale and intermittent ways, and the systematic concept of ODA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insufficient. There is a limit to the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and activate evidence-based policies. In particular, as the ODA paradigm has shifted from MDGs to SDGs since 2015, a new approach to science and technology ODA is required. The Korean government"s ODA paradigm shifts from short-term, small-sized, and segmented projects to long-term, large-scale, and convergent commercialization, and R&D"s interest in strengthening ODA linkages increases, as well as the need to respond to government issues.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and responds to the government"s core issues quickly,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establishing evidence-based policies, and solving Korean government challeng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largely composed of 5 modules. First, the concept, features and typ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a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DA concept framework. Second, it is related to ODA budget stat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ritically examines measurement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nd then presents ODA measurement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that can be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US, Japan, China, EU, etc.). Third, in-depth analysis of the major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to derive success factors and policy implic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Fourth, the proposal of linking domestic R & D performance and science and technology ODA,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Fourth, the proposal of linking domestic R & D performance and science and technology ODA,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current government. Finally, as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government, the analysis and case studies on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convergence projec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establish the science and technology ODA concept framework,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other h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an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ere used for ODA and R & D linkage and ODA convergenc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