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식 기내식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방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권나은,김해옥,현성협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lead to foreigners’ meal satisfaction of Korean food on airlines. Also,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discover the positive impact from such customer satisfaction that can lead to an increase of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cuisine and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image.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irical analysis of 201 foreigners visiting Korea who have tried Korean food in-flight meals at least once. Out of the five reasons for choosing a Korean food in-flight meal, deduced from similar experiments conducted in the past and field interviews, the highest incidence of responses was because of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meal, followed by aesthetics, and ease of digestion. Based on these rankings, the latest Korean –food positioning was suggested. Moreover, the fact that foreigners’ desire to try Korean cuisine in the future a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corresponded with their satisfaction of the Korean food in-flight meals, proves the impact Korean food in-flight meals have and indicated the need for an improvement in its quality. If the tourism, aviation, and restaurant industries can work together toward providing high-quality Korean meals through concerted efforts, not only will it benefit the companies involved, but it will be a new model for national promotion and economic growth. 본 연구는 방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식 기내식 만족도를 발생시키는 선택요인을 밝혀내고 해당요인들로 인한 고객만족도가 한식 구매 의도 증가와 국가 이미지 상승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한식 기내식을 먹은 경험이 있는 방한 외국인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유사 주제의 선행연구와 현장 인터뷰를 바탕으로 도출한 한식 기내식 5가지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식으로의 가치로 인한 선택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감각적 가치, 소화의 용이성 순서로 채택된 결과를 바탕으로 최신의 K-FOOD 포지셔닝을 제시했다. 더불어 외국인의 한식 기내식 만족도는 방한 이후 한식 구매 의도와 국가 이미지 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나 한식 기내식의 파급력과 품질 향상의 필요성을입증했다. 분석결과, 건강식으로의 가치, 소화의 용이성, 감각적 가치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미친다는 가설 H1-1, H1-2, H1-4은 채택되었다. 또한, 고객만족도가 한식 구매 의도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H2, H3은 채택되었다. 반면에 체중 조절과 친숙도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1-3, H1-5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관광・항공・외식업계가 각분야의 전문성을 이용한 협업을 통해 더욱 수준 높은 한식 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한다면 자사의 이익 창출을 넘어 국가적 이미지 제고와 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필라테스 운동이 임신성 요통을 가진 임산부의 골반 경사각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권나은,최승준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20 PNF and Movement Vol.1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on the back pain index, pelvic tilt angle, and physical fitness of pregnant women with low back pain. Methods: All study participants, all of whom had pregnancy-induced back pai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Pilates exercise group (PG, n = 8) or control group (CG, n = 7). The PG performed a Pilates exercise for 5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back pain scale and pelvic tilt angle were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and angulometer, respectively.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grip strength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physical fitness. Th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measures ANOVA with the Holm-Sidak post hoc procedure. Results: Back pain in the PG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69 ± 1.28 to 1.06 ± 0.94, whereas the CG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ack pain from 2.63 ± 2.20 to 4.71 ± 2.56. The left pelvic angle in the P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3.94 ± 3.70° to 12.29 ± 2.95°, while the CG showed a non-significant difference from 13.07 ± 4.42° to 17.37 ± 3.13°. The right pelvic angle in the PG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3.50 ± 4.47° to 10.34 ± 3.66°, whil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G from 44 ± 4.98 ° to 15.30 ± 3.61° was foun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gular participation in Pilates exercise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elvic tilt angle. In terms of physical fitness, the P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grip strength. However, the CG showed any significance increase in those variables. Conclusion: Eight weeks of Pilates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lower back pain, a maintained or reduced pelvic tilt angle, and increased cardiopulmonary endurance, grip strength, and flexibility in pregnant woman with lumbar pain.

      • KCI등재

        팬데믹 이후 항공기 기내식음료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나은,현성협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22 MICE관광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of in-flight food and beverage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after the pandemic.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nges in customer perception and the direction of in-flight food and beverage service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customers who are well aware of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were more than customers who are less aware of infectious disease risks. Therefore, a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increases, related in-flight food and beverage services should be introduced more safely and thoroughly. Second, among the related airline food and beverage services provided, customers responded that services provided on board, such as wearing safety protective equipment and sanitary gloves, using disposable items, and stability of in-flight food and beverage,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service areas. Therefore, airlines need to improve the overall industry and procedures of in-flight food and beverage services directly connected to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specific demands and changes in perceptions that differ from before the pandemic.

      • KCI등재

        고정익 항공기 주익 구조물 하중 해석을 통한 균열 원인 분석 및 결함 개선

        권나은(Na Eun Kwon),손혜경(Hye Gyeong Son),서의화(EuyHwa Seo),이진원(Jin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1

        In this study, an improved design was proposed to address crack formation in a bracket used to secure the asymmetric brake of the flap in front of the main wing of a military aircraft and to prevent recurrence. A defect analysis tree was used to identify the cause, and items of interest were identified by fracture surface /structural analysis and subjected to further analysis. Fracture surfac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cracks were caused by a lack of static strength and propagated due to fatigue induced by repeated tensile loading. We confirmed that loads beyond design specifications were responsible for the lack of static strength, and calculation showed static strength was insufficient under certain load conditions. The improved shape was reinforced to cope with the additional loa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ification improved structural health. In addition, a check of safety margins showed that static strength requirements were met.

      • KCI우수등재

        구성품 변경에 따른 항공기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 및 검증

        이진원,권나은,김지홍,박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8

        군용항공기는 노후화로 인해 LRU 개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최근 KA-O 공중통제기에 대해 사출좌석 교체 및 항공전자장비 추가 등 LRU 개조가 진행되면서 연료소비곡선 상의 항공기 운용 무게중심이 요구 사양 범위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무게중심은 적절한 방법을 도입하여 수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O와 같은 군용 소형항공기의 LRU 개조로 인해 변경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LRU 수정에 따른 공허중량 무게중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찰한 뒤, 다수의 밸러스트를 엔진 설치대에 추가되어 연료소비곡선의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안전한 작동 범위로 복원시킨다. 제안된 밸러스트 배치는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한 응력 및 피로해석을 통해 설치를 검증한다.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에 대한 공개 정보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항공기 개조 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초음속 항공기 항법등의 이상점등 개선에 관한 연구

        박상훈(Sang-Hoon Park),최재호(Jae-ho Choi),이진원(Jin-won Lee),권나은(Na-Eun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초음속 항공기에 사용되는 항법등은 항공기의 비행 방향을 알림과 동시에 야간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 지상 이동 및 주기 시 항공기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항법등의 색상 및 장착 위치는 항공법에 따라 좌측 날개는 적색, 우측 날개는 녹색, 미익에는 백색으로 규정되어 있다. 초음속 항공기에 장착되는 항법등은 2가지 동작모드로 작동되며, 하나는 최대 밝기를 출력하는 BRT 모드, 다른 하나는 밝기를 감광하여 출력하는 DIM 모드이다. 항법등은 불빛을 통해 항공기 충돌 방지 역할을 하며, 비행 안전성 및 위치 식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속 항공기운용 중 엔진 흡입구 측면과 미익에 장착된 항법등의 비정상 깜박거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결함 트리 분석 기법을 통해 2단계로 구조화 하여 분석하였으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원인요소 3가지,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선안 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법등의 깜박거림 현상에 대한 최적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원인 분석 결과 초음속 항공기에 사용되는 항법등의 초기 입력 전원이 불안정한 것이 비정상 깜박거림의 주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개선 방안으로 초기입력 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입력단 회로를 조정하였으며, 개선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지상시험 및 항공기 장착시험으로 입증하였다. Navigation lights used in supersonic aircraft are used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aircraft. The color of the navigation lights and location of installation are defined by aviation law as red for the left wing, green for the right wing, and white for the tail. Navigation lights operate in BRT and DIM modes. BRT is the brightest mode, and DIM is an output with dimmed brightness. Navigation lights serve to prevent aircraft collisions and are very important for stability and location identification. One phenomenon is that the inlet and tail navigation lights flicker abnormally. In this study, fault tree analysis was performed in two stages. The first step was derived from three causal factors, the second step developed five improvements, and the optimal improvement plan was drawn. The navigation lights confirmed that the initial input power was unstable as the main cause of abnormal flickering. As an improved method, the circuit was adjusted to stabilize the initial power, and it was confirmed that flickering did not occur as a result of the tests under the same conditions.

      • KCI등재

        K0-0 기본훈련 항공기 조종석 사출좌석 품질개선 연구

        최재호(Jae-Ho Choi),박성제(Sung-Jae Park),이진원(Jin-Won Lee),권나은(Na-Eun Kwon),김세운(S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항공기에 장착된 사출좌석은 비행 중 비상상황 발생 시 조종사를 항공기로부터 안전하게 탈출시키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사출좌석은 조종사가 사출 핸들을 통해 작동 시킬 수 있으며, 항공기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통해 조종사를 지상에 안전하게 착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 공군에서 운용중인 기본훈련 항공기는 운용 중 사출좌석에 대한 조종사 불편사항이 다수 제기되었으며, 조종사의 운용품질은 항공기 작전 성능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운용 불편사항에 대한 조종사 편의성 향상을 위해 사출좌석의 품질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Combined 타입의 하네스 조립체에서 Torso 타입의 하네스 조립체로 변경과 조종석의 폴리우레탄 소재로의 패드 및 양털로 구성된 쿠션으로의 변경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개선안에 대한 검증을 위해 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구도를 시험 및 해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장착 시험을 통해 장착 영향성 여부 및 조종사 좌석 착석 시 둔부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ejection seat installed in the K0-0 basic training aircraft is a safety device so the pilot can safely escape the aircraft if necessary during flight. The ejection seat handle separates the seat from the aircraft to safely land the pilot on the ground by parachute. The ejection seat in this basic training aircraft operated by the Korean Air Force has a number of inconveniences. The operational quality as felt by pilot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aircraft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ejection seats must improve pilot convenience for optimal oper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 changing the existing combined-type harness assembly to the torso-type harness assembly, changing the material to a pad made of polyurethane and a cushion of woo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improvement, the requirements proposed in the aircraft standards were satisfied through tests and interpretations. The mounting test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ive fit, and hip pain is relieved when the plot is s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