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유초중등학교 학생 교육성취 제고를 위한 학급규모 감축전략

        권기욱 한국교육방법학회 2003 교육방법연구 Vol.15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st-effective reduction strategies of the class size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in schools. The class size is student number per class. The related theories, the practice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analysed for this purpose. The reduction strategies of the class size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in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for maximize the education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in school years, texts. The priorities of class size reduction are as follow; Kindergarten and 1-3 school year in elementary school, 4-6 school year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er school. the largest class, the lower education achievement class, the class which contains many students of poverty home have to be reduced first and foremost in the same school year. Second,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by twenty students per class progressively. Third,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accompany with middle/long time plan, achievements, of effective new teachers for small class size and basic learning skills, and development of the teachers Fourth, the class size have to be reduced accompany with many strategic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The methods of class size reduction have to be decided by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gency/the education institution. Fifth, The accountability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size reduction program. >>본 연구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전반에서 학생의 교육성취 제고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학급규모 감축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연구목표는 학급규모 감축에서 학교급별학년별학생특성별교과별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학급규모 감축에 의한 교육성취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육방법적 지원대책을 강구하며, 학급규모 감축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 연구들과 이론들을 규명하고, 외국의 학급규모 감축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실제의 문제점에 대한 처방이 아니고, 규범적 측면에서 학급규모 감축의 추진방향을 제시한다. 학급규모는 학생의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학급규모가 축소되면 긍정적 효과가 증가한다. 이러한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주요 외국들은 학생의 교육성취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대책들을 병행하면서 학급규모를 감축시키고 있다. 장차 학급규모를 감축할 경우, 학생의 교육성취를 개선하는데 궁극적 목적을 두고, 학급규모 감축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대책과 함께 교육방법적 지원대책이 병행되도록 한다. 학급규모 감축은 학생의 교육성취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K~3학년, 기초학습기능 교과, 학급규모가 가장 큰 학급, 학업성취가 가장 낮은 학급, 저소득 가정출신 학생이 가장 많은 학급부터 시행하도록 한다. 학급규모 축소가 지향하는 적정 학급규모는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은 20명 이하,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등학교는 25명 이하를 지향하도록 한다. 학급규모가 20명정도로 축소될 때까지 학급규모의 감축 노력 이외에 읽기쓰기셈하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교실공간 확보가 어려울 때에는 팀 티칭이나 창의적인 방법으로 수업집단을 소규모화하고, 유능한 교사를 확보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도록 한다. 학급규모 감축을 위한 기본방향은 국가차원에서 결정하고, 구체적인 시행방법은 지역 및 학교 수준에서 결정하도록 한다. 학급규모 감축정책의 시행에 의한 교육성취의 개선정도를 확인보상하는 책무성관리체제를 운영하고, 학급규모를 감축하기 위한 특별교부금을 목적교부금으로 교부하도록 한다.

      • 대학 교육과정 평가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권기욱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1 社會科學硏究 Vol.9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체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평가의 이론적 배경, 미국ㆍ영국ㆍ오스트레일리아ㆍ뉴질랜드의 교육과정평가의 실태, 우리 나라 교육과정평가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련된 대학 교육과정평가체계방안은 다음과 같다. 평가목적은 교육과정의 질 개선에 초점을 두고, 경비-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추구한다. 평가모형으로 통합모형을 적용하며, 투입ㆍ과정ㆍ산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평가준거체계는 평가부문 5개, 평가항목 17개, 평가지표 43개로 구성된다. 평가기준은 교육목적에 근거한 절대평가기준을 적용하되, 수여하는 학위 및 자격 요건에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평가준거별로 평가지침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대학의 기관 차원과 학업프로그램차원에서 평가를 실시한다.

      • KCI우수등재

        초·중등학교 교사평가의 평가준거체계 개발연구

        권기욱 한국교육학회 2000 敎育學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사평가에 적절한 평가준거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사평가 평가준거체계의 이론과 원리를 규명하고 주요 외국의 교사평가 평가준거체계를 조사하였으며, 우리 나라 교사평가 평가준거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 · 중등학교 교사 733명을 대상으로 평가준거에 대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사평가에 적절한 평가항목을 교사자질, 교과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교육평가, 학급경영, 학교 경영참여, 연구 및 연수, 학부모관계, 지역사회관계 등 10개 영역에서 25개(총점 100)씩 개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system which appropriate for teacher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I analyzied the evaluation criterias of teacher evalu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studied theories and principles of evaluation criteria for teacher evaluation, and surveyed 733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s and weighting. Evaluation criterias of teacher evaluation are selected in all of the tasks which are accomplished by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characterics of school/region are reflected by evaluation criterias in the result of teacher evaluation, too. The weighting of evaluation dimension is developed. The number of evaluation items in the evaluation dimensions are determined to the rations of the weighting of the evaluation dimension. I presents evaluation dimension ten, evaluation items: twenty-five, weighting: one hundred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eacher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number of evaluation items which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are as follow: teacher quality: three(three), texts teaching: four(five), living guidance: three(three), extra-curriculum teaching: two(two), educational evaluation: two(two), class management: four(three), participation on the school management: two(two), research and study/training: one(on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one(on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one(one), self-determined by the school/region: two(two).

      • 조선 생산 시뮬레이션 결과 보고서 구현 사례

        권기욱,이용길,이필립 한국경영과학회 2017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4

        조선소는 성과지표가 명확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케이스도 방대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성과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조선소 현업의 요구사항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케이스 중 블록 물류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지표를 현업의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보고서 모듈을 추가 개발 하였다.

      • 조선 생산 시뮬레이션 결과 보고서 구현 사례

        권기욱,이용길,이필립 대한산업공학회 2017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4

        조선소는 성과지표가 명확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케이스도 방대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성과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조선소 현업의 요구사항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뮬레이션 케이스 중 블록 물류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지표를 현업의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보고서 모듈을 추가 개발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PCR finger printing을 이용한 느타리류 품종의 유연관계 분석

        권기욱,김인엽,공원식,신현동,유영복 한국버섯학회 2005 한국버섯학회지 Vol.3 No.3

        이 실험은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분석을 이용하여 71개 느타리 품종에 대한 DNA finger printing을 만들고 유연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RAPD 분석은 12개의 Universal rice primers(URP)와 1개 의 operon primer, FGL17 primer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유연 관계 분석은 NTsyspc program(ver. 2.02)의 data matrix를 작성하기 위해서 DNA 밴드의 유무에 따라 1과 0의 값을 주었으며 유사도는 default값인 sm(simple matching coefficient)으로 계산하였다. 유연관계 분석에 의하면 공시된 느타리 품종은 6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느타리종(ASI 2180 등 62품종), 사철느타리종(ASI 2016 등 2품종), 여름느타리종(ASI 2070 등 3품종), 큰느타리종(ASI 2302 등 2품 종), 전복느타리종(ASI 2079), 백령느타리종(ASI 2720)이었다. 느타리종은 62품종인데 8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룹1은 원형느타리외 6품종, 그룹2는 춘추 2호외 9품종, 그룹3은 장안 PK외 7품종, 그룹4는 김제 9호외 5품종, 그룹5는 치악 4호외 12품종, 그룹6은 청도 22호 1품종, 그룹7은 소담외 14품종, 그룹8은 부평복회외 1품종으로 구분되었다. 14개의 프라이머 중에서 FGL17 primer는 600bp의 느타리종 Pluerotus ostreatus 특이 밴드를 가졌다. 이 프라이머는 느타리종의 동정에 있어서 아주 유용한 프라이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NA 다형성 분석 결과 거의 100%의 유사도 를 가지는 네쌍의 버섯들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조절된 매개효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과 조직슬랙의 역할

        권기욱,김수진,옥지호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제고하고자, 보편적관점(universalistic approach)과 상황적 관점(contingency approach)을 통합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 사회정보처리이론(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SA 이론(attractionselection- attrition theory) 등을 토대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높여 기업성과를 높일 것이라는 보편적 관점에 대한 논의와 함께, 조직슬랙(여유자원)이 충분한 조직은 전술된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긍정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상황적 관점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기업수준의 조직몰입-기업성과 간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 와 조직슬랙의 조절효과(moderation effect)를 함께 고려하는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를 가설로 상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2차 자료부터 6차 자료를 통합한 불균형 패널데이터(기업 수 340개, 관측 수 917개)를 구축하였고, 확률효과모형을 토대로 패널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은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기업성과의향상으로 이어지는, 보편적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조직몰입의 관계는 조직슬랙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확인되어, 조직슬랙이 높을수록 고성과작업시스템이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상황적 관점을 지지하는 결과도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조직슬랙은 고성과작업시스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 기업성과의 매개관계를 조절하게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보편적관점과 상황적 관점의 통합적 접근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실증결과로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이론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다. 또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어떻게 조직성과에 기여하는지 메커니즘을설명해 주는 한편,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계조건을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