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성학적 지식과 DAC 기반 분할 알고리즘

        구찬모,왕지남,Koo, Chan-Mo,Wang, Gi-Nam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음절이 잘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는 완전 자동화된 레이블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운 및 음향학적인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고 분할에러를 줄이기 위해서 조절 메카니즘의 하나로 DAC개념을 사용하여 음성을 speechlet으로 나누고 분할 된 음성 구간에 대해서 레이블링을 시도하는 DAC기반 분할알고리즘이다. HMM방법이 획일적이고 확정적인 성능을 갖는 반면 본 제안 방법은 음성학적인 특화지식을 컴포넌트로 개발 추가 계속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M과 같은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음운학적, 음향학적 지식만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은 수행속도와 음성학적인 특화 지식컴포넌트를 확장함에 따라 일관성이 있으며 효과적 방법으로 적용가능 할 것이다.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reliable fully automatic labeling system which fits well with languages having well-developed syllables such as in Korean. The ASL System utilize DAC (Divide and Conquer), a control mechanism, based segmentation algorithm to use phonetic and acoustic information with greater efficiency. The segmentation algorithm is to devide speech signals into speechlets which is localized speech signal pieces and to segment each speechlet for speech boundaries. While HMM method has uniform and definite efficiencies, the suggested method gives framework to steadily develope and improve specified acoustic knowledges as a component. Without using statistical method such as HMM, this new method use only phonetic-acoust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method has high speed performance, is consistent extending the specific acoustic knowledge component, and can be applied in efficient way. we show experiment result to verify suggested method at the end.

      • 인공지능 수요예측 모듈에 대한 연구

        최정원,구찬모,장경원,왕지남 한국경영과학회 200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본 논문은 수요 예측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수요 예측 방법을 통해 매 시기 마다 적절한 수요 예측 기법을 사용하여 좀더 정확한 수요예측 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 하며 특히 수요예측하기 어려운 제품에 대해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 좀더 나은 예측치를 구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각 ERP 나 SCM, MRP application 에 연계하여 필요한 자료를 쉽게 얻고 이를 다시 보내 줄 수 있는 일반적인 연계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연계부분에서는 ODBC 를 사용하였으며, 예측 기법은 Moving Average 기법과 Exponential Smoothing 기법, 그리고 Neural Networks 중 BP 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앞으로 좀 더 많은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향상된 수요 예측을 위한 모듈을 연구 및 구현하려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