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관의 소셜플랫폼 역할과 관람객 체험

        구보경,Koo, Boky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0 트랜스- Vol.9 No.-

        소셜플랫폼과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 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인터넷에 표현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상이 되었다. 특히 SNS는 자신을 쉽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이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개인의 소소한 일상부터 무엇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관람객들의 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관람객들을 끌어들여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기반의 프로그램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수용한 미술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의 소통방식이 미술관 관람에서도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SNS을 비롯한 모바일 기반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험의 플랫폼으로서 미술관, 더 나아가 기술수용에 따른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social platforms and digital technology has promoted the age of the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As online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expressing feeling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the Internet has become an everyday routine. Among them, SN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tforms for expressing oneself easily and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SNS about what they did and what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from one's everyday lives became more common. As a result, the museum makes various efforts to enhance visitors' attention and interest with the use of SNS. It provides a content-based programs and museum environment that allow visitors to enjoy playing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ill explore not only a simple appreciation, but also the way of communicating to everyday life in terms of the changes for museum enviro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daptations of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is, mobile-based communication with SNS provides various values and quality of museum visit, can be completed with meaningful museum experience, and various roles and functions of the museum are examined in terms of social platform of experience.

      • KCI등재

        한국 박물관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4

        본 연구는 지난 십여 년 동안 국내 주요 학술지에 실린 박물관교육 관련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박물관교육 연구의 최근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와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박물관교육 관련 연구논문 241편을 연구주제, 연구자의 배경,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주요 경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박물관교육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주제를 다룬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박물관교육을 통한 관람객들의 인식, 성취도 및 박물관교육 담당자들의 역량평가 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자의 배경은 대학 교수진이 대다수였고, 이들의 학문적 배경은 주로 박물관학, 미술교육, 예술, 인문사회, 교육학 전공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경험적 이론논문이 가장 많았고, 사례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방법이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박물관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학제간의 활발한 융합적 연구와 독자적 학문연구로서 박물관교육 연구의 발전가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recent research trends in museum education and considers the top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The studies on museum education have now remarkably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and points of views, but with no certain level of collec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yet.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3 to 2013 in major journals dealing with museum education issues are investigated. The data of the study is analyzed in terms of the topic, research fields and methods. In regard to the topic, program development was the most prominent subject in museum education research. The study shows that majority of the researchers are from the universities or museum fields. Non-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shown to be widely along with literature reviews and documentary and theoretical research method. Case study are also frequently used. Based on these examinations of current trends in korean museum education field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 for future academics and museum professionals.

      • KCI등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Visit and Online Visit in the Museum: The role of Museum Websites for Museum Visit

        구보경(Koo Bo Kyu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09 예술경영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박물관 관람객의 일상생활에서 부터 시작하여 실제 박물관 관람이라는 행위 속에서 박물관 웹사이트의 역할 및 웹사이트와 온라인 관람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9개의 박물관과 미술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약 1,200명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관람객들이 실제 박물관을 방문하기 이전과 방문 이후 박물관 웹사이트의 활용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있어서 차이점과 특성들이 발견되었다. 온라인 관람과 실제 관람은 각각 별개의 독립적인 관람 유형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즉, 박물관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관람과 실제 관람은 서로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다수의 온라인 관람객들은 박물관 웹사이트가 온라인(online)-온사이트(onsite)라는 두 가지 관람 모두를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고 있었다. 박물관 관련 연구자, 박물관 혹은 미술관 종사자들은 박물관과 박물관 웹사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연속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박물관 관람이라는 새로운 형식인 ‘온라인 관람’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박물관 웹사이트 콘텐츠 개발은 박물관 관람객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홍보, 마케팅을 포함한 실질적 박물관 운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an exploratory survey that addressed questions about the role of museum websites in the pattern of museum visitors. The results show details about the use of museum websites before and after the museum visit, and provide that online visitors frequently use museum websites to complement their visits to physical museums. This study helps museum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physical museum and their virtual museums, and gives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changing information needs of museum online visitors before and after museum vis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positive lesson for museums and museum professionals attempting to buil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ir visitors, online and in-house. The majority of online museum visitors understand the role of the websites in encouraging this relationship, and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museums and museum websites they visit.

      • KCI등재후보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이 관상동맥 질환에 미치는 영향: 4년의 전향적 지역 기반 코호트 연구

        구보경 ( Bo Kyung Koo ),문민경 ( Min Kyong Moo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2

        Background/Aim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 isolated low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level on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in a prospective cohort. Methods: The Ansung-Ansan cohort was established for inclusion in a prospective, large-scale, community-based epidemiologic study to investigate chronic diseases in Korea. The data from a baseline survey performed from 2000 to 2001 and two subsequent prospective biennial surveys were analyzed. We included subjects without diabetes mellitus or a history of CAD at the baseline. Results: Among 8,438 total subjects, 0.8% reported newly developed CAD events during 4 years of follow-up.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CAD events were significantly older (p<0.001), had a higher body mass index (p=0.003), and had a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p=0.005) and hypertriglyceridemia (p=0.045) at the baselin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eline HDL cholesterol level between subjects with or without CAD events. Furthermore, although the baseline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aseline HDL cholesterol level (r=-0.404 in men and -0.460 in women; p<0.001 in both), and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ypertriglyceridemia at the baseli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hazard ratio for CAD events (hazard ratio, 1.822; 95% confidence interval, 1.029-3.225), low HDL cholesterolemia was not associated with a risk of CAD events. Conclusions: Low HDL cholesterolemia did not independently increase the subsequent 4 years` risk of CAD events in this community-based Korean cohort. (Korean J Med 2013;84:229-237)

      • SCOPUSKCI등재

        생화학적 지표로 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단백질 및 지질 영양상태

        구보경(Bo-Kyung Koo),정준모(Joon-Mo Chung),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6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음주 실태 및 영양상태를 조사하여 식생활의 문제점과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영양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음주 인구 계층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 80명,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12명, 간 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자 57명, 바이러스성 간경변 환자 32명 및 정상인 194명이었다. 조사 내용과 방법은 개인 면담을 통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조사와 혈액 분석을 통한 생화학적 영양상태의 측정으로 이루어졌다. 각 군의 흡연자 비율은 알코올성 간경변, 알코올성 지방간,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 그리고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이 각각 71.2%, 66.7%, 87.7% 및 62.5%로써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의 흡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의 흡연율이 가장 낮았다. 영양보충제 섭취경향은 알코올성 간경변, 알코올성 지방간,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 그리고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에서 각각 46.2%, 41.7%, 14.0% 그리고 78.1%로써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의 영양보충제 복용 율이 가장 낮았으며 바이러스성 간경변군이 영양보충제 복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경변군, 알코올성 지방간군,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에 있어서 혈청 총 단백질이 정상 수준 이하인 대상자의 빈도는 각각 26.3%, 16.7%, 3.5%였으며, 알코올성 간경변군에서는 41.3%의 대상자가 알부민 결핍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은 간질환이 없는 알코올 중독군에 있어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알코올 섭취군의 H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은 정상군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단백질과 지질의 생화학적 영양상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알코올 중독자 및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영양상태는 전반적으로 매우 불량하다고 판정할 수 있었으며, 지질대사에도 장애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 및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들에 있어서 병의 초기부터 양질의 단백질 섭취는 병상의 악화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들을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protein and lipids in the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to find an effective way of dietary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nd to obtain the materi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alcoholics. The subjects consist of 80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cirrhosis(ALC) and 12 patients with alcoholic fatty liver(AFL). The control group included 57 alcoholics without liver disease(A), 32 patients with viral liver cirrhosis(VLC) and 194 normal(NL). Biochemical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profiles of protein and lipids in blood samp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subjects below the normal range of serum total protein was 26.3% in ALC, 16.7% in AFL and 3.5% in A. Serum albumin was lower in 41.3% of ALC. 2) The alcoholics without liver disea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rum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than the other groups. The alcoholic subjects had lower HDL cholesterol than normal subjects. Overall, the protein and lipids status of the alcoholic subjects i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be very poor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ssess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alcohol abuse and poor dietary intake could cause malnutrition. An extensive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alcohol consuming population. High quality of protein and other dietary intakes from early stage of the disease may be effective in nutritional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 KCI등재

        뮤지엄에서의 IT기술 활용의 발전과 의미

        구보경 ( Koo Bok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최근의 뮤지엄과 관련된 인문사회학적 관점과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뮤지엄 기술수용의 발전과정과 뮤지엄이 기술도입의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의 기술환경과 함께 뮤지엄 운영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뮤지엄의 질적 성장과 발전, 향후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에 맞추어 다양한 산업분야가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뮤지엄이 관람객과 소통하기 위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관람객의 흥미와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보고자 한다. 앞으로 더욱 첨단기술,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급속도로 진보하는 기술의 영향력은 뮤지엄운영과 뮤지엄 관람객에게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렇게 발전하는 기술력 속에서 뮤지엄은 관람객이 공감하고 몰입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첨단기술도입으로 인한 뮤지엄 환경과 전문인력 확보, 기반시설과 장비 확충 및 내부인력의 교육에도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기술자체가 목적이 아닌 사회공공의 목적과 교육을 위한 기술도입과 효과적 운영이 되어야 한다. 뮤지엄은 대중과 적극소통하고 과거를 담아내고 시대를 반영하며, 미래를 제시하는 핵심 기관이다. 앞으로 더욱 기술과 결합된 다양한 문화서비스들이 뮤지엄의 중요한 역할로 기능할 때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은 더욱 확장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museum based on recent humanities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post museum theory, and then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flow from the beginning of technology introduction to the present museum. It examines the use and development process of museum technolog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rough this, museums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introduction and explore the development possibility and change of museum operation with the present and future technology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e will examine the qual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useum and the social role of the museum in the future.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industrial sectors are responding to changes, and how the museum should chang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nd also seek ways to draw interest and participation from visitors. In the future, the impact of rapidly advancing technologies such as advanced technologies, the Internet of Thing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ill have a more direct impact on museum operations and museum visitors. In this developing technology, museums should provide high quality contents and services that enable visitors to sympathize, immerse and satisfy. To this end, more attention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o expand th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of technology introduction,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and educate internal human resources. As mentioned above, the new technical body should be a technology introduction and effective operation for the purpose and education of the public, not the purpose. The museum is a core institution that a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captures the past, reflects the times, and presents the future. In the future, the social role of the museum will be further expanded when various cultural services combined with technology serve as an important role of the museum.

      • KCI등재

        디지털 기술 활용과 뮤지엄 체험 연구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른 뮤지엄의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관람객들의 예술향유와 체험의 의미를 통해 뮤지엄 방문의 의미와 뮤지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쿠퍼휴이트 국립 디자인 뮤지엄의 기술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관람자의 입장에서 차별화된 경험과 창조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컬렉션 탐색, 인터랙티브 체험, 창작과 실습과정은 예술작품이 작가의 손을 떠나서 관람객들의 관점에서 재해석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양한 기술활용은 뮤지엄 방문을 단순히 보는 것만이 아닌 차별화된 경험과 몰입을 제공하며 관람객의 경험을 한층 폭넓게 확대하고 있으며, 관람객과 작품, 관람객과 뮤지엄 공간의 물리적 맥락사이 새로운 관계를 설정한다. 관람객의 뮤지엄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전시의 구성, 콘텐츠 및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력과 맥락적 전개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 기술이 적용되었을 때 비로소 의미있는 뮤지엄 경험이 구축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visitor’s experience in terms of technologies adaptation in the realm of the museum. Recently many of the digital smart technologies are administrated for the purpose of museum management, exhibition to encourage people to visit the museum. Cooper-Hewitt National Design Museum reopened with a transformed museum in a renovated heritage building. New galleries, a collection that was being rapidly digitized and desire for new audience drove the museum to rethink and reposition it role as a design museum. At the core of the new museum is a digital platform that connects collections and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to in-gallery and online experience. These have allowed the museum to redesign everything form object label and showcases to the fundamentals of a visitor experience. This paper explores in detail the process. In so doing it reveals the challenges of collaborat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capacities. Also it examines how the museum provide the visitor the responsive, interactive and meaningful museum experience with the new technologies. Museum needs to be prepared for the next wave of innovation. It is not about adopting innovative technologies for the sake of it, but because visitor expectations are framed in our everyday life experience, and our everyday life experience and expectation are evolving rapid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