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현대 중국불교의 부흥과 유행하는 불교의례

        곽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e oppression policy against Buddhism began to ease gradual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ina Reform and Opening Policy. In 1978,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1th Communist Party of China, organized by Deng Xiaoping, announced that the policy of freedom of religious belief was important. Accordingly, Chinese Buddhism, which stops for more than 10 years, was revived. Religious ideas always leave visible rituals. Buddhist rituals are also called Buddhist ceremonies and Buddhist rituals. If Buddhist doctrine is content, rituals are considered formal, and it has a religious meaning in that it is a practice that is actually practiced. In Buddhism, rituals enhance a sense of reality about religious objects and enable confirmation of groups and society. In Chinese Buddhism, Buddhist rituals are called Jingchan Foshi. This ingchan Foshi is a mixture of Confucian ideas, ghost elements, filial piety ideas, and national ideas. It has been prevalent in China since ancient times and has not declined. Currently, there are mainly six methods of confession popular in Chinese Buddhism. In other words, they are Lianghuang chan, Cibei Sanmei Shuichan, Guanyin chan, Dabei chan, Yaoshi chan, Dizang chan, Jingtu chan. 불교에 대한 억압정책은 중국개혁개방 정책 실시 이후에 서서히 완화되기 시작했다. 1978년 등소평(鄧小平)이 주관한 중국공산당 11기 3중전회(三中全會)에서 종교신앙의 자유정책이 중시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0여년 멈추는 중국불교가다시 소생되었다. 종교 사상은 반드시 가시적인 의례 남긴다. 불교의례는 불교 식전(式典), 불교 의전(儀典)이라고도 한다. 불교 교리가 내용적인 것이라면 의례는 형식적인 것으로 보며 그 형식이 실제로 행하여지는 수행법이라는 데 종교적인 의미가 있다. 불교에서의례는 종교적 대상에 대한 실재감을 높여주고 집단과 사회에 대한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중국불교에 있어서 불교의례를 경참불사(經懺佛事)라고 한다. 이 경참불사는 유교사상, 귀신요소, 효도사상, 국가관념등을 섞여 있다. 예로부터 중국에서 성행하여쇠락하지 않다. 현재 중국 불교에서 유행하는 참회법은 주로 여섯 가지이다. 즉 양황참, 자비삼매수참, 관음참, 대비참, 약사참, 지장참, 정토참등이다.

      • 중국 거사불교의 전개 과정과 그들의 활동에 대하여

        곽뢰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2

        중국에 불교가 뿌리내리고 역사 속에서 화려하게 꽃 피울 수 있었던 배경에는 출가자뿐만 아니라 재가자(在家者), 즉 거사(居士)들의 뛰어난 활약이 있었다. 중국 거사불교의 역사는 대체로 9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중국에서 거사는 남성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여거사(女居士)’라는 표현도 있다. 따라서 거사의 개념을 설정하고자 한다면, 남녀를 모두 포괄해야 할 것이다. 거사가 있기에 ‘거사불교’가 성립할 수 있다. 거사불교에는 거사의 신행 활동, 호법, 포교, 경제적 지원 등이 포함된다. 역사에서 거사들의 역할은 어느 정도를 차지할까? 자료에 따르면, 불교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거사의 역할은 결정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조박초는 중국불교협회회장이면서, 동시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지낸 정치적 거물이었다. 격동의 시대, 특히 종교는 아편이라고 외치는 공산당이 통치하던 중국에서 전전긍긍하던 불교의 불씨를 보존하여 오늘날 화려한 불교의 부활로 이끌어 주었던 인물이다. 현대사회의 전환 과정에서 인간불교(즉, 사람을 중심으로 한 불교)는 중국불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고 미래 불교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참고가 되는 동시에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인간불교 사상은 그 구성과 운영 면에서 중국불교 발전의 표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background, Lay-Buddhism was rooted in China, and it was able to blossom in history. There was an excellent activity of the householder, the resident, as well as the monks. The history of Lay-Buddhism in China is generally divided into nine periods. In China, There is also an expression called 'female resident'. Therefore, if you want to set up the concept of corporatism, you should cover both men and women. Because there is a lion, 'Lay-Buddhism' can be established. In Lay-Buddhism,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activities of the Buddhist priesthood, the law, the mission, and the economic support. So what is the role of the masters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From the data,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ambassador was crucial in the process of Buddhism.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modern society, human Buddhism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and played a leading role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Buddhism.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human Buddhist has become a model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religion in China now.

      • KCI등재

        중국 오대산의 발전과 오대산문수신앙

        곽뢰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8 No.-

        The Manjusri Belief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belong to different form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the Bodhisattv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latter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msaka Sutra. The Buddhabhad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had translated the 60-volume Avatamsaka Sutra from the 14th Year of Yixi(418) to the 2nd Year of Yuanxi, in which there are contents of the Abode of Boddhisattva Section indicating that Manjusri often dwelled in the Qingliang Mountain; since the Qingliang Mountain here was interpreted as the Mount Wutai of Daizhou, Shanxi Province,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The development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First, the e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18-581),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Emerging Period of the Manjusri Belief”. The Manjusri belief in this period was transmitt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of sutras into Chinese. However, Bodhisattva Manjusri, unlike the wide transmission of Avalokitesvara Belief, in most cases, acted as the attendant Bodhisattva for Vairocana Buddha. It is widely assumed by the academic community that Mount Wutai had already served as the abode of Manjusri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through literature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unt Wutai of the Northern Dynasties period was not that closely associated with Manjusri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nor has the recognition that Mount Wutai was the place where Manjusri’s shrine was located been formed. In ligh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logical of the Mount Wutai at that time, meditation and pure land were highly regarded in the Northern Dynasties; whereas Manjusri Belief had yet to dominate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Mount Wutai at that stage. Secon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from Sui Dynasty to Tang Dynasty (581-798). In this period, Manjusri Belief had been supported by the monarchies, which prompted Mount Wutai to be transformed gradually from a regional religious center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into a holy mountain belief at national level, and laid the foundation to the notion that “the Qingliang Mountain refers to Mount Wutai”. In the Tang Dynasty, Manjusri Belief was blended with Mount Wutai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was formed. This formation proc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Empress Wu Zetian’s(武則天) propag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circulation, as well as the creation of the Huayan School and the writing of a variety of commentaries by Fazang(法藏).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형성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진(東晋)시대부터 남북조(南北朝)시기까지(418-581)를 ‘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수신앙은 대승경전의 번역에 따라 나타나지만 크게 중시되지는 못하였다. 학계에서는 북조시기에 이미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로 부흥했다고 논하고 있다. 그러나 이시기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학들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아서 처음부터 문수보살의 성지로 인식된 것은 아니다. 북조시대에는 오대산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위치 때문에 선과 정토가 주를 이루었지, 문수신앙이 중시된 것은 아니었다. 둘째는 수대(隋代)부터 당대(唐代)까지(581-798)인 ‘문수신앙의 흥성 및 오대산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문수신앙은 군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오대산은 당 7세기 후반에 국가가 지원하는 전국적인 성산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청량산이 곧 오대산’이라는 인식이 발생해 점차 그 외연을 확장하였고, 문수신앙과 오대산이 결합되어 오대산문수신앙으로 확대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당의 종파불교가 형성되면서 『화엄경』을 중심 경전으로 하는 화엄종이 황실의 지원을 받음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대산문수신앙의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면 당 초기부터 무주(武周)시기까지 『화엄경』에 의해 성립된 신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7~8세기 唐代 譯經事業과 新羅學僧

        郭磊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8 No.-

        불교가 중국에 공식적으로 전해진 시기는 後漢 明帝 永平 10年으로 알려져 있다. 명제가 꿈에서 금빛의 사람이 서쪽으로부터 내려오는 모습을 보고서 인도에 불교가 있음을 알고 사신을 보내 불교를 구하게 하였는데, 사신들이 인도로 가던 도중에 마침 중앙아시아에서 포교활동을 하고 있던 迦葉摩騰, 竺法蘭 등을 만나 중국으로 데려옴으로써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에 온 迦葉摩騰, 竺法蘭은 『四十二章經』등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중국 사람들에게 불교를 가르쳤는데 이것이 최초의 한역경전이다. 범어로 된 불경의 한역은 중국불교의 출발을 알리는 가장 구체적인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역은 송나라 때까지 1000年에 걸쳐 지속되었으며 한역된 경전은 그 수를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역경사업에 종사한 역경승도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그 중에서 5세기 초의 鳩摩羅什, 6세기 중엽의 眞諦, 7세기 중엽의 玄?, 8세기 중엽의 不空이 가장 뛰어난 역경가로 손꼽히고 있다. 흔히 이들을 4대 역경가라고 부른다. 唐代 역장의 조직 또한 긴밀해져 갔다. 北宋 贊寧이 쓴 『宋高僧傳』 권3, 「譯經篇」에 의하면, 職制가 총10개로 세분화 되어 있었다. 이 새로운 역경 방식을 통해 번역 사업은 이전보다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신라의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중국이라는 토양을 거쳐 한번 정화된 것을 다시 받아들인 것이다. 그것의 수용에는 중국 승려들과 함께 신라 유학승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수용된 불교를 신라화하는 작업 역시 유학승의 역할 중 하나였다. 신라유학승들의 불교교리와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깊어지고 풍부해짐에 따라서 唐代부터 점차 역경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나라의 東京과 西京의 주요한 역장에서 활약한 신라학승들로는 神昉, 智仁, 圓測, 玄範, 惠日, 勝莊, 無著, 慧超 등 여덟명이 있다. 역장에서 譯主 이외에 필수, 철문, 증의가 가장 중요한 직책이었다. 그 일은 반드시 한문과 범문에 모두 능통하고 大小乘, 內外學, 經律論에 모두 익숙한 사람만이 감당할 수 있었다. 그런데 번역에 참여한 8명의 신라 승려들 가운데 대부분이 필수, 철문, 증의의 직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 당 정관 19년(645)~정원 12년(796) 연간 역경사업 속에서 신라학승들이 참여한 역경사업의 내용과 그들의 저술을 구체적으로

      • KCI등재후보

        7~8세기 唐代 譯經場의 체계와 新羅學僧

        곽뢰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8 No.-

        불교가 중국에 공식적으로 전해진 시기는 後漢 明帝 永平 10年으로 알려져 있다. 명제가 꿈에서 금빛의 사람이 서쪽으로부터 내려오는 모습을 보고서 인도에 불교가 있음을 알고 사신을 보내 불교를 구하게 하였는데, 사신들이 인도로 가던 도중에 마침 중앙아시아에서 포교활동을 하고 있던 迦葉摩騰, 竺法蘭 등을 만나 중국으로 데려옴으로써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에 온 迦葉摩騰, 竺法蘭은 『四十二章經』 등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중국 사람들에게 불교를 가르쳤는데 이것이 최초의 한역경전이다. 범어로 된 불경의 한역은 중국불교의 출발을 알리는 가장 구체적인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역은 송나라 때까지 1000年에 걸쳐 지속되었으며 한역된 경전은 그 수를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역경사업에 종사한 역경승도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그 중에서 5세기 초의 鳩摩羅什, 6세기 중엽의 眞諦, 7세기 중엽의 玄奘, 8세기 중엽의 不空이 가장 뛰어난 역경가로 손꼽히고 있다. 흔히 이들을 4대 역경가라고 부른다. 唐代 역장의 조직 또한 긴밀해져 갔다. 北宋 贊寧이 쓴 『宋高僧傳』 권3, 「譯經篇」에 의하면, 職制가 총10개로 세분화 되어 있었다. 이 새로운 역경 방식을 통해 번역 사업은 이전보다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신라의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중국이라는 토양을 거쳐 한번 정화된 것을 다시 받아들인 것이다. 그것의 수용에는 중국 승려들과 함께 신라 유학승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수용된 불교를 신라화하는 작업 역시 유학승의 역할 중 하나였다. 신라유학승들의 불교교리와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깊어지고 풍부해짐에 따라서 唐代부터 점차 역경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나라의 東京과 西京의 주요한 역장에서 활약한 신라학승들로는 神昉, 智仁, 圓測, 玄範, 惠日, 勝莊, 無著, 慧超 등 여덟 명이 있다. 역장에서 譯主 이외에 필수, 철문, 증의가 가장 중요한 직책이었다. 그 일은 반드시 한문과 범문에 모두 능통하고 大小乘, 內外學, 經律論에 모두 익숙한 사람만이 감당할 수 있었다. 그런데 번역에 참여한 8명의 신라 승려들 가운데 대부분이 필수, 철문, 증의의 직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 당 정관 19년(645)~정원 12년(796) 연간 역경사업 속에서 신라학승들이 참여한 역경사업의 내용과 그들의 저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서, 그들이 중국불교, 번역사업 및 중국문화 전반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신라 淨衆無相과 大聖慈寺의 창건

        곽뢰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3 동국사학 Vol.78 No.-

        This study related to Jeongjung Musang, which was active in China’s Sichuan Provin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the issue of the proportion of free prehistory in the early Seonjongsa Temple, the influence on Tibetan Buddhism, and the free prehistory are being published by Buddhist scholars from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When reviewing the overall trend of studies on Jeongjung Musang in this way, one regret is found. It is that the background explanation of Jeongjung Musang and the foundation of Daeseongjasa Temple is omitted. Now Daeseongjasa Temple in Chengdu, Sichuan Province, China, was built with the support of Tang Hyeon-jong during the Ansa War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best temple in the southwest region. It is Jeongjung Musang, the Buddhist monk of Silla, who was ordered to build this temple. Jeongjung Musang was mentioned 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transmission of the Tang Dynasty’s Seon Buddhism, but the relationship I had with Daesungjasa has not been sufficiently illuminated until now. Therefore, in this paper, through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e reviewed the form of gantong of Jeongjung Musang and revealed that this was the reason why we entrusted Jeongjung Musang to build Daeseongjasa Temple in connection with Tang Xuanzong’s attitude toward Buddhism. 그동안 중국의 사천지방에서 활약하였던 신라 淨衆無相(684~762)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무상 선사가 초기 선종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문제, 티벳불교에 미친 영향력, 그리고 무상의 선사상 등을 다룬 연구논문들이 한·중·일 삼국의 불교학자들에 의해서 나오고 있다. 이렇게 정중무상에 관한 연구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검토해 볼 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발견된다. 그것은 정주무상과 대성자사(大聖慈寺)의 창건에 대한 배경 설명이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지금 중국 쓰촨성 청두시 대성자사는 안사의 난 때 당현종(唐玄宗, 685-762, 재위 712-756)의 지원으로 건설된 후 점차 서남(西南) 제일의 사찰로 발전하였다. 정중무상은 신라 왕족으로, 당현종이 피난할 때 대자사의 건립 과정에서 규제(規制)를 세우라는 명을 받아 발기부터 입제(立制)까지 무상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무상은 당나라 선종 전승에서 중요한 인물로 거론되었지만, 대성자사와 맺은 관계는 지금까지도 충분히 조명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불교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학자들의 연구를 참고하면 무상의 입당과 수행에 대해서 재검토하고, 불교에 대한 당현종의 태도와 연계하여 이것이 무상에게 대성자사의 규제를 맡긴 원인임을 밝혔다.

      • KCI등재

        조선시대 정토 경전의 간행에 대한 연구

        곽뢰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8

        The study looked at the Jeongto Shrine-related books published by temp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a total of 26 types of septuagenic surges have been found to be in circulation so far. According to the period of publication, there have been a total of 79 cases of adultery, three time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25 times during the mid-Joseon period and 53 tim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lso, 78 cases of intensive reprinting have been made in the four hundred years between the 16th and 19th centuries. Also classified into publication areas, the number of publications is 19 in Gyeongsang Province, 24 in Jeolla Province, 1 in Gangwon Province, 14 in Gyeonggi Province, 6 in Chungcheong Province, 8 in Pyongan Province, 2 in Hamgyeong Province and 5 in Hwanghae Province, among which 45 publications in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 account for more than 50 percent of the total. These publication phenomena suggest that the Jeongto Shrine scripture was a trend that was published in many temples across the country without distinction of specific regions or sects.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사찰에서 간행된 정토신앙과 관련된 불서를 고찰 한 것이다. 그 결과 조선시대 전국 사찰에서 간행된 정토신앙과 관련된 불서는 현재까지 모두 26종의 정토류 불서가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 시기별로 분석해 보면, 조선 전기 23회, 조선 후기 56회, 총 79회의 간행을 보이고 있으나, 실은 16세기부터19세기 사이의 4백 년 동안 76회의 집중적인 개판불사가 이루어졌다. 또한 간행 지역으로 구분해 보면 전라도 24회, 경상도 19회, 경기도 14회, 평안도 8회, 충청도 6회, 황해도 5회, 함경도 2회, 강원도 1회의 순으로 나타나는데, 이 중 경상도와 전라도의간행 이 43회로 전체의 50%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간행 현상으로 보아당시 정토신앙 경전은 특정 지역 의 구분 없이 전국의 사찰에서 다수 간행되었던 경향으로 보인다.

      • KCI등재

        법조(法照)의 수행 감응과 오회염불(五會念佛)

        곽뢰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이 글은 법조(法照)의 정토 사상과 문수 신앙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불교 정토신앙에 있어서 법조는 매우 중요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1900년 둔황 장경동이 세상에 알려지자 법조 관한 문헌도 발견되었 다. 예를 들어 『정토오회염불송경관행의(淨土五會念佛誦經觀行儀)』와 『정토오회염불약법사의찬(淨土五會念佛略法事儀讚)』 등이다. 법조 수행에서 감응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두 번째 감응 에서 아미타불을 친견하였다. 아미타불은 그에게 오회염불(五會念佛)법을 전수하여 이 염불방법을 널리 알려달라고 당부하였다. 왜냐하면 이 법문은 세상의 중생들에게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세 번째 감응에 서 오대산을 보았기 때문에 나중에 오대산으로 갔다. 네 번째 감응은 오대 산에서 발생하였고 문수보살을 친견하였다. 법조의 오회염불은 그가 평생 스스로 자신을 다스려 온 주요 법문이자 그의 불교 사상의 중추라고 할 수 있다. 오회 염불이라는 법문은 오음으로 곡을 만들고 염불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중생 염불의 흥취를 유도할 수 있 다. 다른 한편으로는 염불자들이 오로지 불호만을 집중하는 것으로 염불 삼매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법조의 오회염불은 오대산문수신앙과 중요한 관련이 있다. 법조는 자신 의 수행 감응에 따라 오대산에 이르러 대죽림사를 창건하였다. 오대산은 그 당시에 이미 천하에 알려진 문수보살이 주석하는 성지였다. 법조는 오 대산문수신앙의 신성함을 통하여 자신이 개시한 오회염불을 현세 최고의 수행방법으로 만들었다. 그리하여 그가 오회 염불의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zhao’s pure land thought and Manjusri belief. In the history of Chinese Pure Land, Fazhao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With the discovery of the Dunhuang Buddhist scripture hole in 1900, documents related to Fazhao also appeared in front of the world. Such as Fazhao’s jingtu wuhuinianfo songjing guanxingyi jingtu wuhuinianfo lvfashiyizan, etc. Throughout the life of Fazhao, indu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his practice. During the second induction, he saw Amitabha Buddha, taught him the five confessions of Buddhism, and asked him to promote this method, because this method is very suitable for all beings in this world. For the third time, he saw Wutai Mountain, so he went to Wutai Mountain to spread the teachings and save the people. The fourth induction took place in Mount Wutai, and he saw Manjushri Bodhisattva appear. Fazhao proposed wuhui nianfo. This method is the main method for Fazhao to transform him in his life, and it can also be said to be the center of his Buddhist thought. Wuhui nianfo, that is, reciting the Buddha with five notes of music. On the one hand, it can induce the interest of all living beings to recite the Buddha, and on the other hand, it can enable the chanting of the Buddha to achieve the samādhi of the Buddha with one mind and the title of Buddha. The Wuhui nianfo of Fazhao is closely related to the belief in Manjushri of Mount Wutai. Fazhao came to Mount Wutai and built Dazhulin Temple based on the induction of his own practice. Mount Wutai was already the famous Manjushri dojo at the time. Through the sacredness of the Wutai Mountain Manjusri belief, Fazhao transforms the Wuhui nianfo into the world's best practice, it laid a solid foundation for him to promote this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곽뢰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文殊信仰) at Wutai Shan (or Mount Wutai五臺山) is based upon Avatamasaka Sutra (『華嚴經』). According to Avatamasaka Sutra, which has been translated in 60 volumes during the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 it is believed that Manjusri resides at Qingliang Shan (or Mount Clear-and-Cool清涼山) to preach the Dharma.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at Wutai Shan emerged in later ages due to the explanation that Wutai Shan indeed is the Qingliang Shan in Avatamasaka Sutra. In the light of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academic researches, the majority claims that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has become influential since the Northern dynasty. However, it could be found in relevant documentatio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utai Shan and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in fact was not that cohesive as many scholars has concluded. By that time, Manjusri Worship did not have a dominant position at Wutai Shan; moreover, the recognition that “Qingliang Shan is Wutai Shan” had not yet formed before the Sui dynasty. Jajang (慈藏), a Buddhist master monk during the period of Medieval Silla, is believed as the one who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Mount Odae, Silla. However, the contradiction can be found in existent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scholars are unable to provide more convictive evidence to prove that Jajang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Silla, all of which caused the current doubt. Considering the process of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anjursi Worship at Wutai Shan, the story that Jajang made a pilgrimage to Wutai Shan during the Tang dynasty is fictional. The introduction of Manjusri Worship to Silla should be earlier than Jajang visited Tang. In other words,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became widespread in Silla, while Buddhist scriptures were brought back to Silla by gubeopseung (求法僧).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no clear records on the date of the formation of Manjusri Worship at Silla’s Mount Odea, it would not be later than the mid-8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followed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Wutai Shan’s Manjusri Worship in Tang. Therefore, the formation of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in Silla had undergone a long time rather than with in a short time. From the period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to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景德王), the spread of Manjusri Worship was based on the idea of bulgukto (佛國土) and took Silla’s northern policy as the starting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stabilized and peaceful environment at Mount Odea’s area in Myeongju (溟州). 문수신앙, 오대산문수신앙은 각각 대승불교의 보살사상, 『화엄경』에 의거한 신앙이라는 별개의 연원에서 출발하는 신앙들이다. 이에 두 신앙의 성립시기와 사상적 배경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신앙이 중국불교사의 변천과 더불어 오대산지역 불교의 발전에 따라서 결합되면서 나중에는 동일하게 되었다. 동진 시기 번역된 60권본 『華嚴經』 「菩薩住處品」에는 문수보살이 청량산에서 常住說法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바로 이 문구의 청량산을 중국 오대산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에 오대산문수신앙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역대의 문헌 기록들과 학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화엄경』의 「보살주처품」을 그 근거로 하여 일찍이 북조시기부터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이었다는 인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 문헌들을 자세히 고찰해 보면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인들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았다. 이 시기 오대산불교의 발전은 결코 문수신앙이 주가 아니었다. 그리고 수나라 이전에 ‘청량산=오대산’이라는 인식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신라 중고기 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 慈藏은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전래자로 지칭된다. 그런데 현재 전하고 있는 자료들 상호간에 서로 모순되는 내용이 있어 학계에서는 자장이 문수신앙의 전래자라는 점에 대하여 확정할 만한 구체적인 근거가 빈약하여 이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다.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설립 과정을 참고해 보면 자장이 입당하였지만 代州 오대산을 참배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문수신앙은 자장의 입당 이전, 구법승을 통해 불교경전을 신라로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 시기는 8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신라중대에 전래된 오대산문수신앙은 당나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의 발전에 따라 수용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은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긴 시간을 두고 진행된 것으로, 선덕여왕에서 경덕왕 대에 걸쳐 점차 성립된 것으로, 결국 불국토사상을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북방정책에 발맞추어 명주 오대산 일대의 안정화를 그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