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KI 다중 서명 알고리즘의 연동 방법

        고혜원(Hyewon Ko),임복희(Bokhee Im),서창호(Changho seo)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Ⅲ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하에서의 상호 인증 기술이 정보보호 기반기술의 중요요소로 논의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환경의 각종 응용분야에 대한 정보보호 서비스를 위하여 PKI 환경구축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PKI 환경구축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PKI 환경은 상호 연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 연동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서명 알고리즘의 상호 연동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

        고혜원 ( Hye Won K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한성어문학 Vol.30 No.-

        The education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started in the 1990s. The objective range of the policy was expanded throughout the 2000s. Above all, the two backgrounds for this are increased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and social interest in its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are all people who speak Korean fluently. While some people doubt its necess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non-native speaker with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terchange cultures between countries, educate Korean residents abroad, and weaken conflicts arising from the linguistic barrier. In 2011, six government divisions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inistry of Justice ; are involved in this education initiative, and arrangement of redundant policies between them is in progress. Since 1990s, several government divisions have engaged in this initiative, but such efforts were not sufficient in many respects. It still requires further efforts in their policy. It needs to improve many conditions such as lectures, learning courses, textbooks, and teachers, etc for the bette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공익광고 언어의 문장 변화 양상 연구

        고혜원(Hyewon Ko)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1981년부터 2020년까지 제작된 인쇄 및 TV 공익광고856편의 언어를 분석하여 공익광고 언어의 문체 및 설득 전략의 변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인쇄 공익광고 언어는 문장은 간결해지고 평서문과 의문문을 활용하여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격식체의 사용은 줄고 비격식체의 사용이 증가하여 메시지 수용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있다. 다음으로 TV 공익광고 언어는 내레이션, 대화, 자막이 각각 정보 전달, 생동감 부여, 핵심 메시지강조 역할을 수행한다. 내레이션의 변화는 인쇄 공익광고 언어와 유사하며, 최근의 광고에서는 대화의 비중이 증가했으며, '해체', '해요체' 등을 사용하여현실감 있는 언어로 설득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공익광고 언어의 거시적인 변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guage of 856 print and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produced from 1981 to 2020 to examine changes in the style and persuasion strategy of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language. In the printed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sentences are simplified and plain text and questionnaire are us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eople. The use of formalities is decreasing and the use of non-formal forms is increasing, narrow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message recipient. Next, in the TV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narration, conversation, and subtitles play a role in delivering information, giving vitality, and emphasizing key messages, respectively. The change in nar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printed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and in recent advertisements, the proportion of conversation has increased, and the persuasion effect is enhanced in a realistic language by using 'decomposition' and 'reaction'. Through this analysis resul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macroscopic changes in the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language.

      • KCI등재

        국어 의미론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의미론 연구사를 중심으로

        고혜원(Ko Hye-won) 중앙어문학회 2011 語文論集 Vol.48 No.-

        This study is centering on the history and academic researches of Korean semantic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future tasks through examining the trend of semantics researches. Semantics began with lexical semantics in the late 1950s and this kind of research was expanded gradually by a certain process of 'word → sentence → utterance'. So it is necessary to do complementary research among these three fields-word, sentence and utterance. The study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bdivisions of these fields respectively as below. Firstly, Korean lexical semantics researching on the meanings of words has mainly studied semantic analysis (polysemous analysis, componential analysis)of individual word and semantic relation among the words (synonym, antonym, hyponym). Secondly, the analysis of ambiguous meanings and function words (postpositions and endings of words) in the sentences which are studied by agreement and modification and negative range has been achieved on the background of Korean syntax. On the other hand, presuppositions and entailments among sentences were studied in the formal semantics. Thirdly, Korean speech-act semantics, which was built on the generative semantics of the 1970s and on the theory of speech act of the 1980s, has studied context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speech act, anaphor, honorifics, dicourse analysis and so on. Moreover, such complementary researches among the three fields-word, sentence and utterance have to be done and they will be achieved on diversified views by making good use of the other field in linguistics, or research methods or research results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정도부사 ‘너무’와 ‘몹시’의 의미와 기능

        고혜원(Ko, Hye-wo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피수식어의 정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 정도부사 중에서도 ‘너무’와 ‘몹시’에 초점을 맞춰 그 의미와 기능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너무’와 공기하는 후행어의 의미를 [부정], [긍정], [중립]으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기능적인 특성 살펴보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너무’가 수식하는 후행어가 [부정]의 의미일 경우 ‘너무’는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한다. 둘째 후행어의 의미가 [긍정]일 경우 그 기능에 따라 ①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피수식어들과 공기하여 [강조]의 의미기능만을 수하고, ② ‘깨끗하다, 예쁘다’ 등과 호응하여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와 더불어 [부정결과]라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크다, 작다, 빠르다, 느리다, 간단하다, 복잡하다’ 등과 같은 중립의 후행어를 수식할 경우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몹시’와 공기하는 후행어의 의미를 [부정], [긍정], [중립]으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몹시’가 수식하는 후행어가 부정의 의미일 경우 ‘몹시’는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하는데, ‘너무’에 비해 그 정도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후행어의 의미가 긍정일 경우 ①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피수식어들과 공기하여 [강조]의 의미기능만을 수행한다. 한편 긍정②는 [지나침]과 [반어]의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크다, 작다, 빠르다, 느리다, 간단하다, 복잡하다’ 등과 같은 [중립]의 후행어를 수식할 경우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와 더불어 [긍정 강조]의 의미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report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gree adverbs in Korean. As yet, no framework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which degree adverbs may be listed, implying that an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 and function is lacking. Degree adverbs are those that indicate the semantic feature of ‘degree,’ which is an intra-lexical distinction, multivalent, and a relative concept. This semantic concept necessarily includes ‘norms of judgment’ and graded ‘degree scales.’ The present paper considers the adverbs neomu and monssi. I will show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classify these as degree adverbs, and suggest that we need to revise existing terms to label degree adverbs on the basis of their meanings and functions.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독서 및 토론 수업 방안 -중앙대학교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혜원 ( Hye Won Ko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im and activity of teaching/learning of reading and debate as a liberal education at university and then present a lecture plan that could induc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 liberal arts of which main students are freshmen are not the subjects of a voluntary choice but a compulsory choice for the most par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take part in it actively and for professors to work out a detailed plan of education that can provide students learning motives. In this regard, this study paid attention not only to ‘during lectures’ but also to ‘before lectures’ and ‘after lectures’ in which preceding studies did not take much interest, and then proposed a lecture plan onto which the goal and activity of teaching/learning was reflected. This lecture plan consisted of such three steps as ‘① before lectures → ② during lectures → ③ after lectures.’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의 과정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고혜원(Ko, Hye-w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과정과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용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자신의 삶과 존재에 관한 문제를 기초적인 데로부터 고민하고 반성하여 스스로 얻어낸 깨달음을 적는 글쓰기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글쓰기는 입시에 몰두하느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지 못했던 대학 신입생들에게 의미 있는 사유의 과정을 제공한다. 먼저 자기 성찰은 ‘후향(regressive) →전향(progressive) →분석(analysis) → 종합(synthetical)’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전개에 따라 성찰적 글쓰기의 과정은 ‘기억의 재생→언어로 형상화→사건의 객관화 및 재구조화→인식의 변화와 사고의 확장’ 순으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 따라 글쓰기 수업 모형을 알아보았다. 먼저 마인드맵을 통해 경험을 활성화하였고 자신의 체험을 객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보도록 유도하였다. 이런 과정이 누적되어 완성된 글을 합평을 하여 학생필자들은 보편적인 관점과 상식적인 관점에서 글을 재구성하였다. 이런 과정은 학생필자 자신을 포함한 이 세상을 이해하게 하고 자신의 문제를 본질적인 부분에서부터 생각하게 한다. 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해명하고 치유하고 성장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writing, which informs the content and format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a liberal arts education. Self-reflection writing is a writing genre that aims to have the student write about self-enlightenment and about problems of existence. It makes writing healing and helps the writer grow. First, self-reflection is "regressive →progressive →analysis →synthetical.” This is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writing: Activation of memory → Language representation → Objectification of the incident → Restructuring of the incident → Recognition of the changes The writing program of university needs self-reflection writing. It can help with the improvement of logical writing abilities such as reporting, thesis development, and resume writing, because these features of writing can help develop positive communication in society with an understanding of other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oneself. Therefore, writing that easily expresses one’s emotion can improve logical writing ability.

      • KCI등재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고혜원(Hye-Won Ko),이철순(Chul-So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정부가 지원하는 직업훈련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2015년부터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증평가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와 이 제도에 대한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의 인식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를 일찍부터 활발히 운용해 온 독일과 영국 등의 유럽 제도 및 국내의 관련 제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자 131명과 직업훈련기관 37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의 기준이나 인증평가 절차의 변화는 현재 시점에서 크게 요구되지는 않으나 직업훈련기관의 자체적인 품질관리시스템을 장기적으로는 요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모두 인증평가를 통하여 직업훈련기관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응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한 직업훈련기관 중심의 직업훈련 실시강화, 근로자 대상의 단기간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간소한 인증평가 제도의 도입, 인증기간 중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의 강화, 직업훈련 성과 중심의 인증평가 제도 운용 등과 같은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To improve the quality of government-funded vocational training, an accredit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perceptions surrounding it. To this end, accreditation systems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and the UK, as well as related domestic systems, were reviewed. Two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131 appraisers and 370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hanges to the standard and accreditation processes are not needed at this point. In the long term,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request that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adopt their quality assurance system. In addition, both appraisers and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responded that the accreditation system is being established to increase the quality assurance system within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accreditation system were suggested as follows: a vocational training enhancement centered on outstanding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an accreditation system simplification for short-term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a stronger monitoring system during the accreditation period; and an operation of outcome-based accredit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와 말하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과제

        고혜원(Ko, Hyewon)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는 2014년 2학기부터 2017년까지 중앙대학교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본 센터의 성과와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글쓰기’나 ‘말하기’와 같은 의사소통 교과와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가 연계하여 학생들의 소통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본 센터의 성과를 살펴보면, 센터 설립 후 인문학 글쓰기 및 말하기 개인지도 시스템과 저부담 · 고효율 인문학 글쓰기 및 말하기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또한 프레젠테이션과 발표 및 외국인 클리닉까지 영역이 확대되어 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기대 효과를 확인하고 확산시킬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센터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과제가 남아있다. 먼저 양질의 상담을 위해 교강사가 튜터로 투입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첨삭이나 상담을 받는 학생들이 인문사회나 경영경제 계열처럼 특정 계열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공계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튜터링한 내용을 정리한 체계적 결과물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2018년 2학기 튜터링이 끝난 후 중앙대학교 〈의사소통 클리닉 센터〉의 미래와 비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s and achievements of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at Chung-Ang University and suggest the direction it might take in the future.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of Chung-Ang University has operated since 2014. The Center performs consultations on writing as well as speak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a method of linking the Communication Clinic Center to a 〈writing〉 subject and a 〈speaking-related〉 subject at the university. In addition, by sharing the center’s accumulated achievement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operation of non-subject programs. The role of a communication clinic center at a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as well as the university. However, this kind of project is usually connected to government projects, and therefore the very existence of a center generally depends on government funding.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center as an independent project through efforts by and around a university and in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y’s budget. In addition, through developing novel and truly essential programs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communication subject with a writing center, thus conducting a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continuously.

      • 첨삭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고혜원(Ko, Hye-w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6 교양학연구 Vol.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of writing in universities by effectively using fellow correction. For this, a teaching/learning model of writing was establish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then the author practiced it in the lecture of writing. This model of lecture focused on three factors: (1) many corrections of a same writing can be help to improve student"s level of writing; (2) although fellow correction is certainly an effective means, student"s enthusiasm and level can be important; and (3)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a firsthand advice for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ir writing. In order to settle these problems, the author suggested the selection of an interesting theme, professor correction, fellow correction and open correction. In this study, students were responsible to choose their theme and they were advised to select such a theme that is interesting and with which they can carry out self-reflection. By doing these, it was possible to enhance the level of manuscripts and fellow correction, and make students carry out vigorous discussion. Based on the selection of interesting themes and positive motivation of students, the quality of fellow correction was enhanced, thus making correcting students be able to give direct advice to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writing. Based on above methods, the author"s model of teaching/learning was progressed by the procedure of "collection of writing materials through mind map and working out drafts → fellow correction and the first modification that reflected on fellow correction → instructor"s correction → completion of a final manuscript.’ In the practice of writing, students corrected a piece of writing on a theme three times and improved their level of writing through fellow correction and professor correction. In assessment, subjective factors were ruled out and fairness was maintained maximally. If based on this study"s model of teaching/learning of writing, students can cultivate confidence in writing and will be motivated to wr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