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프히드릴 변형 화합물질들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시스테인 잔기의 특성

        고은희,Go, Eun-Hui 대한화학회 2006 대한화학회지 Vol.50 No.5

        포스포리파아제 D(PLD)의 8개의 시스테인 잔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프히드릴(SH)기와 반응하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동원하였다. 5,5-다이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는 시스테인 잔기의 SH기를 적정하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412nm에서의 환원된 DTNB의 값으로부터 자연 상태의 PLD는 1몰 당 4개의 SH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M의 요소 등으로 3차원 구조를 교란 시킨 변성된 PLD는 8개의 SH기가 적정되었다. 이 결과로 시스테인 잔기의 반(4개)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나머지 반은 내부에 가려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SH기 변형 시약인 p-클로로머큐리벤조산(PCMB),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아미드, 그리고 N-에칠마레이미드 등은 모두 PLD를 비활성화 시켰다. 이들 중 다이티오스라이톨(DTT)로 처리했을 때 유일하게 PCMB에 의해 비활성화 된 PLD는 가역적으로 그 활성이 회복되었다.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다이설파이드들을 이용한 노출된 SH기의 주위 환경을 검토한 결과 음전하나 전하를 띄지 않은 다이설파이드들이 양전하를 띈 시스타민 보다 더 효과적으로 PLD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시스테인 잔기의 산화-환원 전환이 PL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70% 이상 잃은 PLD 활성은 대부분 DTT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배추 PLD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모두 SH기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외부에 노출된 4개의SH기는 PLD 활성 조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H group modifying chemical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eight cysteine residues of cabbage PLD. 5,5-dithiobis(2-nitrobenzoate)(DTNB) was used to titrate the SH group of cysteine residues . Based on the optical density at 412nm due to the reduced DTNB, 4 SH groups are found to be present in a native PLD while 8 SH groups in the denatured PLD whose tertiary structure was perturbed by 8M urea. The results imply that among the 8 cysteine residues of PLD, the half(4) are exposed on the surface whereas the other half are present at the interior of the enzyme tertiary structure. The PLD was inactivated by SH modifying reagents such as p-chloromercuribenzoate(PCMB), iodoacetate, iodoacetamide, and N-ethylmaleimide. At the addition of dithiothreitol(DTT) only the PCMB inhibited PLD activity was recovered reversibly. The micro-environment of the exposed SH group of cysteine residues was examined with various disulfide compounds with different functional groups and we found that anionic or neutral disulfides appear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positively charged cystamine for inactivating the PLD activity. The effect of redox state of cysteine residues on the PLD activity was further explored with H2O2. The oxidation of SH groups by H2O2 inhibited the PLD activity more than 70%, which was mostly recovered by DTT. From these results, we could confirm chemically that all the cysteine residues of PLD are present as in their reduced SH forms and the 4 SH group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enzyme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PLD activity.

      • KCI등재후보

        급성백혈병에서 다제약제내성 인자(P-glycoprotein)의 표현과 치료예측

        정현철 ( Jeong Hyeon Cheol ),한지숙 ( Han Ji Sug ),고은희 ( Go Eun Hui ),이선주 ( Lee Seon Ju ),김주항 ( Kim Ju Hang ),노재경 ( No Jae Gyeong ),고윤웅 ( Go Yun Ung ),김병수 ( Kim Byeong Su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3

        연구배경 : 급성백혈병은 진단후 1차 관해유도 약물치료에 의해 60~80에서 완전관해가 유도되나 1년내에 50%의 환자에서 재발하며, 이들에게 재차 관해유도 치료가 시도되어도 관해율은 30~50%에 불과하다. 그리고 1차 관해유도치료에 불응성인경우 2차 약제로 관해유도 약물요법이 시행되나 그 성적 역시 저조하여 백혈병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25%에 불과하다. 이같이 백혈병 치료실패율이 높은 원인중 항암약제내성이 중요인자이며, 약제내성중에서도 특히 다제 약제 내성 유전자(multidrug resistant gene; MDR1)의 활성화에 의해서로 고차내성이 없는 4가지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다제약제내성이 중용한 원인이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급성 백혈병환자에서 MDR1 유전자의 다제약제내성이 표현되는 과정중 DNA와 mRNA는 dot blot 분석으로, 최종산물인 P-glycoprotein은 면역조직화학적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으로 유전자의 증폭(amplification) 혹은 과표현(overexpression) 여부를 관찰하여 다제약제내성의 존재를 증폭 혹은 과표현 과정중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하고, 아울러 다제약제내성의 발현도를 백혈병 각 질병상태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제약제내성의 환자 치료결과 예측 및 치료약제 선택기준으로서의 임상적 유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제약제내성 발현여부와 치료결과와의 상관성 및 다제약제내성 발현여부와 생체외 약제감수성 검사에 의한 약제내성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론 : 1) 다제약제내성은 DNA에서는 0%(0/26), mRNA에서는 7.7%(2/26), P-glycoprotein에서는 55.4%(41/74)관찰되었다. 2) P-glycoprotein 과표현은 원발성 백혈병 진단시 33.3%, 재발시 78.6%, 치료 불응성시 88.9%에서 관찰되어 약제에 노출시 발현빈도는 증가하였다(p<0.01). 3) 속발성 백혈병은 원발성 백혈병에 비해 P-glycoprotein 과표현 빈도가 높은 경향이었다(p=0.18). 4) 진단시 P-glycoprotein을 과표현하는 경우 관해유도율이 낮은 경향이었다(p=0.11). 5) P-glycoprotein을 이용한 관해유도실패 예측도는 수용할 만 하였으나(84%), 관해유도 예측도는 낮았다(54%). 6) P-glycoprotein 과표현시 adriamycin, vincristine에 대한 약제내성 발현 빈도가 P-glycoprotein을 과표현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p=0.44). 7) P-glycoprotein을 이용한 adriamycin, vincristine에 대한 약제내성 예측도는 수용할 만 하였으나(각각 75%, 81%), 약제 감수성 예측도는 낮았다(각각 57%, 43%). 8) P-glycoprotein을 과표현시 verapamil 병용에 의한 다제약제내성의 변화는 adriamycin에서 33.3%, vincristine에서 16.7%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면역조직화학적염색에 의한 P-glycoprotein 과표현 여부 관찰이 다제약재내성 존재 확인의 간편한 검사방법이며, 이를 치료결과 예측의 유용한 기준으로 사용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다제약제내성이외의 약제내성 기전을 고려하여 생체외약제 감수성 검사를 병행, 적절한 약제선택을 함으로써 급성백혈병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The complete remission rate of the first induction chemotherapy is 60~80% in acute leukemia. Most patients who achieve complete remission will ultimately relapse within the first year and are much less responsive to the therapy with a brief second remission in a minority. Acquisition of drug resistance in cellular level is the major cause of treatment failure.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s of drug resistance is an important goal of current treatment. One mechanism tha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vitro is a multidrug resistance (MDR) mediated by P-glycoprotein which is the product of the MDR1 gene, but there is a little information on it`s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 In order to find out the suitable method for detecting MDR, and furthermore, to see if the detection of MDR can be used in predicting treatment results, here, the existence of MDR1 amplification/overexpression in DNA, RNA and P-glycoprotein level was studied. Results : P-glycoprotein over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was more sensitive (55.4%) than KNA amplification (0.0%) and mRNA overexpression (7.7%) in detecting MDR in acute leukemic patients. The incidence of P-glycoprotein overexpression was higher in relapsed (78.6%) and in refractory patients (88.9%) than in initial state (33.3%). There was a tendency of low complete remission rate in patients with primary P-glycoprotein overexpression. The incidence of acquired P-glycoprotein overexpression was 71.4%. When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glycoprotein overexpressin and the clinical results, the predictability for th treatment failure in P-glycoprotein overexpressing patients was acceptable (84%), but the predictability for the remission in P-glycoprotein non-expressing patients was low (54%). These predictability were similar to the predictability for drug resistance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glycoprotein overexpression and in vitro cytotoxic assay results; the predictability for drug resistance to adriamycin in P-glycoprotein overexpressing patients was acceptable (75%), but the predictability of drug sensitivity in P-glycoprotein non-expressing patients was low (57%). Combination of verapamil and cytotoxic drug reversed MDR in 33.3% for adriamycin and 16.7% for vincristine in P-glycoprotein overexpressing paten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e P-glycoprotei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could be a useful method for predicting treatment results. However, the low predictability for the remissionn in P-glycoprotein non-expressing patients, suggested by some other drug resistance mechanisms, can be overcome by combination with in vitro cytotoxic assay. This fact might contribute to the better treatment results in acute leukemia by optimization of drug s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