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omparisons of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mong Sasang types with and without body mass index as a covariate

        고유선,유성은 한국한의학연구원 2015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Vol.4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mong Sasang types with BMI as covariate, which is reported to have influence on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Methods: We measured the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of 930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among Sasang type groups with or without considering Body Mass Index (BMI). We evaluated muscle strength, agility, muscle endurance, power and flexibility for the physical fitness, and total body water, protein, muscle mass, mineral, lean body mass and fat mass for the body composition. Results: We got 352 So-Yang (SY), 385 So-Eum (SE), and 193 Tae-Eum (TE) Sasang typ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sang types in height, weight and BMI.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 and SY types were disappeared in muscle strength, total body water, protein when BMI is used as a covariate. In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TE was higher on the mineral and fat mass compared to the SY type and SE type. However it disappeared when we introduced BMI as covariate.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MI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study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typology.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신체조성, 기초대사량, 비만과 체력의 관계구조모형

        고유선 한국체육과학회 200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lationship structure model which represents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Basal Metabolic Rate(BMR), and obesity on physical fitness with the subjects of college women in twenties. To verify the validity of structural factor, I implemen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 used Amos 5.0 for each model and then applie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o them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le structure model for those factors. The result is as following. Body composition has influence on BMR and physical fitness directly. BMR has influence on obesity but it does not have influence on physical fitness directly. Obesity has influence on physical fitness adversely. As the result of the study, I suggest the relationship structure model which represents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BMR, and obesity on physical fitness. This study had the purpose of presenting four structure models at the same tim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rough researching precedent studies.

      • KCI등재후보

        로고테라피가 코로나-19로 인한 여성 노인의 우울감 및 자아통합감 변화에 미치는 사례연구

        고유선,김미경,백선화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0

        본 연구는 J시 00 복지관을 이용하는 6명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로고테라피를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코로나 19로 인한 우울감과 자아통합감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로고테라피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주 1회 120 분씩 총 20회기(사전·사후검사 포함)를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감과 자아통합감 검사를 Wilcoxon 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투사 검사인 질적 분석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의미 변화 내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로고테라피를 집단미술치료에 적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 노인에게 적극적인 삶의 의미 변화가 자아통합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확인한 사례연구로써 의미가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 KCI등재

        지식재산권 창출을 위한 체육측정평가 KIP 교수-학습 모듈 개발의 타당화

        고유선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1

        In terms of measurement tools in physical education, most pieces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are very time-worn or imported - expensive royalty fees are paid to im KIP Teaching-Learning Module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presenting the roles. The education course for developing the module was aport them. This study intends to solve the problem. Specifically, it intends to create a new tool combined with new ideas as an intellectual property by grasping the problems of the tools with low validity and reliability used for measuring physical strength in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where measurements and evaluations are performed. Furthermore, it intends to present the validity by developings follows. First, 30 attendees of the cours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of University A were divided into 9 groups of 2-4 members. They received education about the concept of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hysical strength, came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practised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for 3 weeks during March 2014. They measured the physical strength about 500 people during the last week, discu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and found out the problems. The module was developed through a total of 5 steps (1st: beginning theory understanding and practising; 2nd: the exploration of equipment that is based on standard; 3rd: prior art search; 4th: announcing after the patent applications; 5th: evaluation). All the students who belong to the 9 groups succeeded in the patent applications and utility model patent registrations themselves. The problems common to the measurement tools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tools -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related to genders, ages, body shapes, materials, shapes, convenience for use, etc. The KIP education course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learn about the possibilities of protection of their ideas and the possibilities of ultimate value creation as well as provide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them,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process for coming up with ideas using the obtained knowledge and for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ies. Future, This module requires a check on evaluation Criteria. 체육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매우 노후되었거나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되어 값비싼 로열티를 지불하는 기자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체육교육 현장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측정도구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결합한 도구를 지식재산으로 창출하기 위해 체육측정평가 KIP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며,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IP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대학 체육교육과 체육측정평가 수강생 30명을 2~4명씩 9개조로 편성하여 학생들에게 2014년 3월 중 3주간에 걸쳐 체력측정평가에 대한 개념 및 이해와 체력측정 실습교육을 하였고, 마지막 주 800여 명을 직접 체력측정 한 후 측정기자재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토론을 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내었으며, 3주간에 걸쳐 그룹별로 아이디어 회의를 하였다. KIP 교수-학습 모듈은 1단계: 도입(이론이해 및 실습), 2단계: 기준근거의 기자재 탐색, 3단계: 선행기술조사, 4단계: 특허 출원 후 발표, 5단계: 평가 단계로 개발되었는데, 9개조 모두 직접 특허출원 및 실용신안 등록에 성공하였다. 측정도구에 관하여 제기될 수 있는 공통의 문제점은 성별, 연령, 체형, 자재의 재료, 형태, 사용편리 등 체력 측정에 대한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것이다. KIP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지식재산을 창출하기 위한 특허출원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습자의 성취감은 물론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보호받고 가치창출로 이어질 수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배울 수 있으므로 차후 이 모듈에 대한 기준 점검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진화 교육 연구 경험 유무에 따른 생명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 사례 연구

        고유선,차희영,임미리,Ko, Yuseon,Cha, Heeyoung,Lim, Mili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생명 과학 교수 실행에 있어서 진화 교육 연구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진화 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이 있는 교사 두 명과 이에 대한 비교집단으로 진화 교육에 대한 연구 경험이 없는 교사 두 명, 총 네 명의 생명과학 교사들을 목적 표집하였다. 먼저, 사전면담을 통해 교사들의 배경지식을 수집하였으며, 생명과학 수업 중 진화 단원과 비진화 단원을 각각 2차시씩 선정하였다. 녹음된 수업은 전사하였으며, 교사들의 진화에 대한 견해 및 교수 실행에 반영된 진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과학 교수내용지식 설문지, 진화론의 개념 검사지, 진화론의 수용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진화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은 진화의 중요성 인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 개인의 종교적인 신념이나, 진화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필요 자체를 느끼지 못함이 진화의 중요성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진화교육 연구 미경험 교사들은 진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 기회도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경험 교사들은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진화 개선점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파악하고 있었다. 생명과학 교수 실행 내용을 분석한 결과 경험 교사들의 진화 주요 개념 활용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험 교사들만이 자신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난 오개념을 스스로 인지하고 이러한 오개념이 나타나게 된 원인에 대해 설명을 했다. 이를 통해 진화 교육 연구 경험 교사가 진화 주요 개념들을 폭넓게 활용할 뿐만 아니라 진화 관련 오개념 방지에 더 실천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물 교육에서 진화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교사들에게 좀 더 다양하고 많은 진화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practices of biolog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olution. For this purpose, two teachers who experienced study of evolution and recognized its importance, along with two teachers with no experience in evolution education in the comparison group, were included in the sample. To observe teaching practices, two classes each on biological evolution and non-evolution were selected,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content analyzed included the teachers' view on evolution education and teachers' evolution concepts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 As a resul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evolution concept was unrelated to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olution. Instead, each teacher would not feel the need for religious beliefs o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olutio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olution. Inexperienced teachers tend to reject the retraining opportunit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volution. In addition, inexperienced teachers were only superficially aware of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volution presented in textbooks and curricula. In actual teaching practice analysis, inexperienced teachers' utilizing ratio of the evolution key concept was higher than that of experienced teachers. Only experienced teachers were aware of the misconceptions presented in their execution and described the causes that appear in these misconceptions. Teachers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volution were widely using the key concepts of evolution, as well as more practical in preventing the misconceptions related to evolution forms. It indicates that biology teachers who do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evolution in biology education need to experience explicit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structional materials on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