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zing Soybean Growth Patterns in Open-Field Smart Agriculture under Different Irrigation and Cultivation Methods Using Drone-Based Vegetation Indices

        고승환,박종화 대한원격탐사학회 202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40 No.1

        Accurate field crop classification is essential for various agricultural applications, yet existingmethods face challenges due to diverse crop types and complex field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address these issues by combin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s with multi-seasonal unmannedaerial vehicle (UAV) images, texture information extracted from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GLCM), and RGB spectral data. Twelve high-resolution UAV image captures spanned March–October2021, while field surveys on three dates provided ground truth data. We focused on data from August(-A), September (-S), and October (-O) images and trained four support vector classifier (SVC) models(SVC-A, SVC-S, SVC-O, SVC-AS) using visual bands and eight GLCM features. Farm maps provided by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roved efficient for open-field crop identificationand served as a reference for accuracy comparison. Our analysis showcased the significant impact ofhyperparameter tuning (C and gamma) on SVM model performance, requiring careful optimization foreach scenario. Importantly, we identified models exhibiting distinct high-accuracy zones, with SVC-Otrained on October data achieving the highest overall and individual crop classification accuracy. Thissuccess likely stems from its ability to capture distinct texture information from mature crops. IncorporatingGLCM features proved highly effective for all models, significantly boosting classification accuracy. Amongthese features, homogeneity, entropy, and correlation consistently demonstrated the most impactfulcontribution. However, balancing accuracy with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feature selection remainscruc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Performance analysis revealed that SVC-O achieved exceptional resultsin overall and individual crop classification, while soybeans and rice were consistently classified well byall models. Challenges were encountered with cabbage due to its early growth stage and low field coverdensity. The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farm maps and GLCM features in conjunctionwith SVM models for accurate field crop classification. Careful parameter tuning and model selectionbased on specific scenarios are key for optimizing performance in real-world applications.

      • KCI등재

        Assessing Stream Vegetation Dynamics and Revetment Impact Using Time-Series RGB UAV Images and ResNeXt101 CNNs

        고승환,정경수,박종화 대한원격탐사학회 202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40 No.1

        Small streams, despite their rich ecosystems, face challenges in vegetation assessment due to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ime-consuming methods. This study presents a groundbreaking approach,combin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and the vegetationdifferential vegetation index (VDVI), to revolutionize both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streamvegetation. Focusing on Idong Stream in South Korea (2.7 km long, 2.34 km² basin area) with eight diverserevetment methods, we leveraged high-resolution RGB images captured by UAVs across five dates (July–December). These images trained a ResNeXt101 CNN model, achieving an impressive 89% accuracy inclassifying vegetation cover (soil, water, and vegetation). This enabled detailed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of vegetation distribution. Further, VDVI calculations on classified vegetation areas allowed assessmentof vegetation vitality. Our key findings showcase the power of this approach: (a) The CNN model generatedhighly accurate cover maps, facilitating precise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s over time and space. (b)August displayed the highest average VDVI (0.24), indicating peak vegetation growth crucial for stabilizingstreambanks and resisting flow. (c) Different revetment methods impacted vegetation vitality. Fieldstonesections exhibited initial high vitality followed by decline due to leaf browning. Block-type sections andthe control group showed a gradual decline after peak growth. Interestingly, the “H environment block”exhibited minimal change, suggesting potential benefits for specific ecological functions. (d) Despite initialdifferences, all sections converged in vegetation distribution trends after 15 years due to the influence ofsurrounding veget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mense potential of UAV-based remote sensingand CNNs for revolutionizing small-stream veget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providing high-resolution, temporally detailed data, this approach offers distinct advantages over traditional methods,ultimately benefiting both the environment and surrounding communities through informed decision-making for improved stream health and ecological conservation.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忠恕論에 관한 재해석

        고승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49 No.-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忠恕論을 그의 수양론과 어떻게 정합적으로 이 해 가능한가를 궁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다산이 주자의 충서론에 대해 가한 비판 의 초점이 충선서후에 있다는 점과 이러한 주자적 이해, 즉 충을 서의 선결조건으 로 이해하게 될 때 수양의 측면에서 사회적 관계보다는 자기 내면으로 침잠하게 되는, 도덕적 이기주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점이 타 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주자와 다산의 충서론의 차이로 제시되기에 는 부족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주자 자신도 당시 불가의 수양론이 자기를 극복하는 공부, 즉 사욕을 극복하는 데에는 충분하지만, 사회적 관계를 끊고서 인륜을 저버 리고 자기 내면으로만 향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다산은 그의 경학에서 누차 내면의 천명, 즉 도심 없이는 한 터럭의 선도 이룰 수 없다고 말하 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을 행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恕라는 도덕 원칙에도 어떤 식으로든 이 내면의 양심에 주목하는 공부가 관련되어 있지 않는가 하는 것이 필 자의 문제의식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 을 주장하였다. 첫째, 恕, 즉 ‘기소불욕, 물시어인’은 타인에게 적용되는 추기급인推 己及人으로서의 도덕 원칙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수양하는 自修로 이해된다. 여기 서 ‘기소불욕’은 도심에 의해 주어지는 도덕적 명령이다. 둘째, 다산의 주자 수양론 비판의 초점은 주자의 미발 공부에 있다. 다산이 미발 개념을 희노애락 등의 미발 로 한정하고 심지사려 등의 이성적 사유 능력이 운용 가능하다고 재정의함에 따라 恕를 통한 자기 수양이 미발인 때에도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다산의 도심은 내면 의 하늘의 명령[天命]이며 행위의 선함은 이 도심을 통해서야 이루어진다. 필자는 ‘기소불욕’, 즉 ‘바라지 마라’(혹은 ‘하지 마라’)라고 명령하는 내면의 소리가 인을 행하는 원리, 즉 恕에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퇴계의 「心無體用辯」에 대한 분석-形과 象 개념을 중심으로-

        고승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This paper deals with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aiji(太極) and Essence-Function(體用, tiyong) theory. Especially, Toegye’s criticism of Hwadam school as well as Yulgok’s criticism of them will be discussed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s more distinctly. Therefore, in Chapter 2, we first look at the Hwadam school and Yulgok’s argument as a preliminary work on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s Essence-Function theory. At this time, I will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s on the concepts of 沖漠無眹 and xiang(象). It is because the analysis of these concepts help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Yeonlo(蓮老) who is another disciple of Hwadam, in Toegye’s Critique on the Position That Does not Have Essence and Function. In Chapter 3, we briefly analyze the structure of Toegyo’s Critique on the Position That Does Not Have Essence and Function. I enumerate the three claims of Yeonlo and examine Toegye’s criticism in order. In Chapter 4, I discuss the criticism of Toegye about Yeonlo in the above writings, and deduce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ory of Essence-Function.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xiang(象) is suggested as a key word to interpretate the proposition of Neo-Confuciansm, “沖漠無眹, 萬象森然已具.” In Chapter 5, I will present some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or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본 논문은 퇴계의 태극론 내지 체용론을 다루고 있지만, 퇴계의 서경덕 학파의 비판 뿐 아니라, 그들에 대한 율곡의 비판을 함께 다루면서 그 특징을 보다 선명하게 분별하고자 한다. 따라서 먼저 제2장에서는, 퇴계의 체용론의 특징을 알아보기 전에 그에 대한 예비적 작업으로 서화담 학파와 율곡의 논변을 살펴볼 것이다. 이 때 ‘沖漠無眹’이라는 개념, 나아가 ‘象’ 개념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 개념에 대한 분석이 퇴계의 「心無體用辯」에서 연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퇴계의 「心無體用辯」의 구조를 간단히 분석·정리한다. 연로의 세 가지 주장을 열거하고, 그에 대한 퇴계의 비판을 순서대로 살펴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퇴계의 「心無體用辯」에서 연로를 비판하는 퇴계의 주장을 통해 그의 체용론의 특징을 추론해보는 작업을 할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성리학의 ‘沖漠無眹, 萬象森然已具’이라는 명제와 관련하여 앞서 분석한 ‘象’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心無體用辯」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데에 있다. 제5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퇴계의 체용론의 특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권형론權衡論 재해석 -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고승환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6 다산학 Vol.- No.29

        This paper includes not only a refutation of some recent studies on the theory of Gwon-hyeong[權衡, beam balance], but also a reinterpretation of the main concepts of his theory. First of all, I argue that the concept of nature[性]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emotion[情]. Otherwise, it would cause difficulties in properly understanding Tasan’s theory of mibal[未發, not-yet-aroused]. According to Tasan, ‘not-yet-aroused’ stat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determines merely that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not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In addition, he claims that the mind of the Way[道心] is not just as a sole source of Good which we needs must follow for our moral behavior, but also a manifestation of nature[性之所發]. If we regard the concept of nature[性] and the mind of the Way[道心] as emotion or feeling whether it is moral or not, it seems impossible for us to guide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at the moment of emotion not yet aroused. This was not the problem of Tasan’s theory, but thi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for scholars who study Tasan’s theory. I argue that Tasan’s concept of nature and the mind of the Way has rationalistic characteristics, and thus, we cannot properly understand his theory solely based on emotionalism. Second, by relying upon a historical research on Xunzi, I argue that Gwon-hyeong is not the concept originally derived from Tasan, but is most developed by him into the complicated faculty which directly indicates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Furthermore, I think his faculty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relates to two domains: one is good and bad[善惡], and the other is the domain of society and politics, benefit and harm[利害]. I think that the former is derived from Menzi and the latter from Xunzi. However, the previous scholarship did not pay careful attention on connection between Xunzi and Tasan concerning the theory of Gwon-hyeong. Third,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we can understand Tasan’s notion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 in two ways. In the text Noneogogeumju[論語古今註], Tasan points out the Mandate of Heaven as two meanings. The first one concerns moral goods, and the second one concerns external goods like well-being or ill-being of life, and prosperity or adversity. In this paper, I also try to clarify the dualistic structures of Gwon-hyeong into gaseon[可善] and taekseon[擇善, choose to do good]. By gaseon[可善], Tasan means an individual has a right to determine their own behavior[自主之權] through the faculty of thought and, which gives them morality such as good[善] or evil[惡]. By 擇善 (originally foun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he means that the process of seeking the best way to act in a certain situation. Accordingly, this process of taekseon involves learning rituals and rules created by former sages. I also think that this latter aspect concerns more with legality than with morality itself. 본 논문은 기존의 권형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결로써 다산학에서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재해석을 담고 있다. 첫째, 다산의 성性이라는 개념은 정情과 구별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성性과 정情은 정도의 차이에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종적 차이를 가지는 개념이다. 이에 대한 분석은 기존 다산의 성기호론性嗜好論의 정감주의적 해석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둘째, 다산은 중용의 미발이 감정의 미발이지 심지사려의 미발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미발론未發論을 제시한다. 다산은 사단을 도심의 네 가지 양태로 보며, 사단 또한 감정에 앞서서 행위 주체의 의식에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희로애락 등의 감정 일반에 앞서 인간에게 드러나 선을 제시하며, 인간은 그에 따라 자기 행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다산의 권형 개념이 경험적으로 드러나는 감정보다 앞서서 발휘되는 선험적 사유능력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셋째, 권형은 신체적 반응 기제인 감정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사유능력을 포함하며 그것이 인간에게 윤리성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권형이라는 사유능력은 이러한 개인의 윤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ㆍ정치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권형의 이원적 구조에서 사회ㆍ정치적 측면을 ‘택선擇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개인의 윤리적 측면을 ‘가선可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있다. 넷째, 이러한 이해를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권형이라는 용어의 유래를 검토해 나아가다 선진의 철학자, 즉 순자가 다산에게 끼친 영향성에 주목하였으며, 그것이 성인론聖人論과 더불어 다산의 권형론權衡論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산은 권형을 ‘재才’로도 표현하는데, 인간의 재才가 기질에 따라 선악으로 품부받는 것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주장을 비판하고 기질과 관련이 없는 재才가 있으며 그것을 가리켜 ‘자주지권自主之權’이라는 자신의 독특한 개념어로 체계화하였음을 밝혔다. 이는 순자의 ‘인주지권人主之權’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송대 유학자들의 ‘기질지능氣質之能’(“才, 猶材質, 心之能”)에 대한 비판이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사유능력을 ‘자주지권능自主之權能’이라고 규정하였으며 자신의 철학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개념화 하였다. 이상, 다산이 쓰고 있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을 통해 그의 권형론과 성기호론은 결코 이성과 감정으로 상충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다.

      • KCI등재

        이돈화의 인간관 연구 − 인륜과 인격의 융합, 그리고 새로운 인간형(인간격) −

        고승환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본 연구는 이돈화의 인간관을 주제로 다루는데, 그가 유교적 전통의 관계적 인간, 즉 인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또 일본의 근대 사상가로부터 수용한 인격 개념을 어떻게 인륜과의 관계에서 재해석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돈화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일본의 근대 사상가들과의 비교 작업을 주된 연구 방법으로 취하면서 그 사상적 차이를 규명하고, 이돈화가 어떻게 그들과 자신을 차별화하고 있는지 밝힌다. 이돈화는 동양의 윤리사상을 구체적인 경험 세계, 즉 식민지 조선 사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개조해 당대의 혼란을 수습할 수 있을지 깊게 고민하였다. 그는 유교 전통 자체가 낡은 사상이라고 보긴 하였으나 인륜이라는 관계성 그 자체가 잘못되었으며 폐기되거나 서양 사상에 의해 대체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관계 본위의 유교적 인륜을 개조하여 이 관계적 인간관을 서양의 인격이라는 개념 위에 세우고자 하였다. 즉, 서양의 개인적 인격은 사람성 자연의 본체로써 세워 놓고, 그 바탕 위에서 유교의 인륜 개념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는 이른바 동아시아의 중체서용(中體西用), 동도서기(東道西器), 화혼양재(和魂洋才)가 아닌 인간관에 대한 ‘서체중용’, ‘서도동기’, ‘양혼화재’의 관점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돈화는 인간을 포섭하여 전 우주를 표현하는 새로운 인간 유형, 즉 인간격을 제시하고 있다. 이돈화 인간관은 서양의 근대적 인간관을 수용하는데 그친 것이 아니라, 동학이 지닌 종교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성 중심성을 벗어나 전우주를 표상하는 인간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독특성이 존재한다. In the midst of the tumultuous period experienced in colonial Joseon society, Yi Tonhwa embarked on a profound journey to redefine the principles governing human ethics and relationships, ground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of relational ethics(人倫). Contrary to dismissing the Confucian philosophy as antiquated, he sought to rejuvenate it by intricately intertwining it with the modern concepts of person(人格) embraced by contemporary Japanese thinkers. This study delves deeply into this intellectual endeavor, undertaking a meticulous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heories of those Japanese contemporaries who profoundly influenced him. Through this lens, we aim to elucidate the distinct stance adopted by Yi Tonhwa, thereby illuminating the nuances that set his philosophy apart. While grappling with the intricacies of adapting Eastern ethical thoughts to the tangible realities of his era, Yi Tonhwa harbored an enduring belief in the foundational merit of Confucianism's relational approach to human interactions. He envisioned a philosophical renaissance that did not supplant the relational aspects of human relations with Western philosophies, but rather re-envisioned it. This approach can be characterized as a perspective on humanity, wherein the Western concept of the individual serves as the core foundation, fostering a renewed Confucian ethos surrounding human relationships. Yi Tonhwa’s innovative approach did not halt at the integration of Western and Eastern philosophie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spiritual tenets of Donghak (東學), he ventured further to conceptualize a novel archetype of human existence, a trans-human(人間格) that embodies and articulates the vast expanse of the universe. In this, he transcended the boundaries of conventional human centrality dictated by reason, paving the way for a groundbreaking paradigm that reverberates with the cosmic synergy. This intricate blend of philosophies culminates in a holistic view of humanity, where the person is not merely an entity influenced by modern Western perspectives, but a being resonating with the universal echoes, harmoniously bridging the essence of humanity with the grandeur of the universe. Through this study, we seek to intricately unravel the depth and breadth of Yi Tonhwa's perspectives on humanity, accentuating the innovative facets that earmark his philosophical discourse as a beacon of intellectual resurgence during a period marred by societal cha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