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희 이전 도통론(道統論)에 관한 연구 - 孟子, 韓愈, 二程을 중심으로
고승환 한국동서철학회 2025 동서철학연구 Vol.- No.116
유교의 창시자라 불리는 공자라는 인물은 동아시아 역사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송대의 도학자들은 이러한 공자의 달라진 위상에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 즉 도통론을 제시하면서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정치적 지위나 권위(즉, 君臣 등의 정치적 지배권력)와는 별개의 새로운 학적 전통의 창시자, 후계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사상을 도학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독특한 학문 체계로 재탄생시켰다. 유교의 도통론은 단순한 유교적 이론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유교적 교리의 담지자층인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생활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이념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교적 도통론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교가 단순히 혈연적 유대나 정치적 권력 획득을 맹종하는 조직이 아님을 도통론의 다양한 발전 양상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먼저 도통론의 최초 형태라고 간주되는 맹자의 도통론을 살펴보고, 한유의 도통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당의 한유와의 비교 작업을 진행할 것인데, 이는 기존의 한·당 유학으로부터 송대 유학으로의 변천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주된 관심은 도통론을 구성하는 내용과 형식, 즉 전수된 도의 실질적 내용이 무엇이냐는 것과 이 도를 전수하는 형식에 대한 상이한 이해를 분석하고, 이들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Confucius, regard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has been perceived through various imagery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Song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articulated the theory of Daotong (道統論, Transmission of the Way) to grant religious legitimacy to Confucius's elevated status. They established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s founders and inheritors of a distinct intellectual tradition, independent of political hierarchy or authority (such as ruler-subject relationships), thus reinterpreting their thoughts within the unique intellectual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Far from being merely theoretical, Daotong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Confucian scholars, who transmitted doctrinal teachings, and ordinary people's daily live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Daotong theory, aiming to demonstrate that Confucianism transcends mere familial or political interests. Beginning with the foundational version proposed by Mencius and extending to Han Yu’s reinterpretation, the paper focuses particularly on Han Yu's Tang dynasty perspective as a key turning point, highlighting the shift from Han-Tang Confucianism toward Song Neo-Confucianism. The central objective is to clarify and analyze the distinct understandings of both the content transmitted within the Daotong theory and the formal mechanisms of transmission itself, thereby illuminating crucial differences among historical interpretations.
다산 정약용의 권형론權衡論 재해석 -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고승환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6 다산학 Vol.- No.29
This paper includes not only a refutation of some recent studies on the theory of Gwon-hyeong[權衡, beam balance], but also a reinterpretation of the main concepts of his theory. First of all, I argue that the concept of nature[性]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emotion[情]. Otherwise, it would cause difficulties in properly understanding Tasan’s theory of mibal[未發, not-yet-aroused]. According to Tasan, ‘not-yet-aroused’ stat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determines merely that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not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In addition, he claims that the mind of the Way[道心] is not just as a sole source of Good which we needs must follow for our moral behavior, but also a manifestation of nature[性之所發]. If we regard the concept of nature[性] and the mind of the Way[道心] as emotion or feeling whether it is moral or not, it seems impossible for us to guide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at the moment of emotion not yet aroused. This was not the problem of Tasan’s theory, but thi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for scholars who study Tasan’s theory. I argue that Tasan’s concept of nature and the mind of the Way has rationalistic characteristics, and thus, we cannot properly understand his theory solely based on emotionalism. Second, by relying upon a historical research on Xunzi, I argue that Gwon-hyeong is not the concept originally derived from Tasan, but is most developed by him into the complicated faculty which directly indicates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Furthermore, I think his faculty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relates to two domains: one is good and bad[善惡], and the other is the domain of society and politics, benefit and harm[利害]. I think that the former is derived from Menzi and the latter from Xunzi. However, the previous scholarship did not pay careful attention on connection between Xunzi and Tasan concerning the theory of Gwon-hyeong. Third,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we can understand Tasan’s notion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 in two ways. In the text Noneogogeumju[論語古今註], Tasan points out the Mandate of Heaven as two meanings. The first one concerns moral goods, and the second one concerns external goods like well-being or ill-being of life, and prosperity or adversity. In this paper, I also try to clarify the dualistic structures of Gwon-hyeong into gaseon[可善] and taekseon[擇善, choose to do good]. By gaseon[可善], Tasan means an individual has a right to determine their own behavior[自主之權] through the faculty of thought and, which gives them morality such as good[善] or evil[惡]. By 擇善 (originally foun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he means that the process of seeking the best way to act in a certain situation. Accordingly, this process of taekseon involves learning rituals and rules created by former sages. I also think that this latter aspect concerns more with legality than with morality itself. 본 논문은 기존의 권형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결로써 다산학에서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재해석을 담고 있다. 첫째, 다산의 성性이라는 개념은 정情과 구별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성性과 정情은 정도의 차이에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종적 차이를 가지는 개념이다. 이에 대한 분석은 기존 다산의 성기호론性嗜好論의 정감주의적 해석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둘째, 다산은 중용의 미발이 감정의 미발이지 심지사려의 미발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독특한 미발론未發論을 제시한다. 다산은 사단을 도심의 네 가지 양태로 보며, 사단 또한 감정에 앞서서 행위 주체의 의식에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희로애락 등의 감정 일반에 앞서 인간에게 드러나 선을 제시하며, 인간은 그에 따라 자기 행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다산의 권형 개념이 경험적으로 드러나는 감정보다 앞서서 발휘되는 선험적 사유능력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셋째, 권형은 신체적 반응 기제인 감정과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사유능력을 포함하며 그것이 인간에게 윤리성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권형이라는 사유능력은 이러한 개인의 윤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ㆍ정치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권형의 이원적 구조에서 사회ㆍ정치적 측면을 ‘택선擇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개인의 윤리적 측면을 ‘가선可善’의 능력과 연결 짓고 있다. 넷째, 이러한 이해를 선진 문헌에 대한 고증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권형이라는 용어의 유래를 검토해 나아가다 선진의 철학자, 즉 순자가 다산에게 끼친 영향성에 주목하였으며, 그것이 성인론聖人論과 더불어 다산의 권형론權衡論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산은 권형을 ‘재才’로도 표현하는데, 인간의 재才가 기질에 따라 선악으로 품부받는 것이라는 송대 유학자들의 주장을 비판하고 기질과 관련이 없는 재才가 있으며 그것을 가리켜 ‘자주지권自主之權’이라는 자신의 독특한 개념어로 체계화하였음을 밝혔다. 이는 순자의 ‘인주지권人主之權’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송대 유학자들의 ‘기질지능氣質之能’(“才, 猶材質, 心之能”)에 대한 비판이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의 사유능력을 ‘자주지권능自主之權能’이라고 규정하였으며 자신의 철학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개념화 하였다. 이상, 다산이 쓰고 있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한 조심스러운 접근을 통해 그의 권형론과 성기호론은 결코 이성과 감정으로 상충하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진다.
퇴계의 「心無體用辯」에 대한 분석-形과 象 개념을 중심으로-
고승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This paper deals with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aiji(太極) and Essence-Function(體用, tiyong) theory. Especially, Toegye’s criticism of Hwadam school as well as Yulgok’s criticism of them will be discussed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s more distinctly. Therefore, in Chapter 2, we first look at the Hwadam school and Yulgok’s argument as a preliminary work on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s Essence-Function theory. At this time, I will focus on the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s on the concepts of 沖漠無眹 and xiang(象). It is because the analysis of these concepts help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Yeonlo(蓮老) who is another disciple of Hwadam, in Toegye’s Critique on the Position That Does not Have Essence and Function. In Chapter 3, we briefly analyze the structure of Toegyo’s Critique on the Position That Does Not Have Essence and Function. I enumerate the three claims of Yeonlo and examine Toegye’s criticism in order. In Chapter 4, I discuss the criticism of Toegye about Yeonlo in the above writings, and deduce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ory of Essence-Function.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xiang(象) is suggested as a key word to interpretate the proposition of Neo-Confuciansm, “沖漠無眹, 萬象森然已具.” In Chapter 5, I will present some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or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본 논문은 퇴계의 태극론 내지 체용론을 다루고 있지만, 퇴계의 서경덕 학파의 비판 뿐 아니라, 그들에 대한 율곡의 비판을 함께 다루면서 그 특징을 보다 선명하게 분별하고자 한다. 따라서 먼저 제2장에서는, 퇴계의 체용론의 특징을 알아보기 전에 그에 대한 예비적 작업으로 서화담 학파와 율곡의 논변을 살펴볼 것이다. 이 때 ‘沖漠無眹’이라는 개념, 나아가 ‘象’ 개념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 개념에 대한 분석이 퇴계의 「心無體用辯」에서 연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퇴계의 「心無體用辯」의 구조를 간단히 분석·정리한다. 연로의 세 가지 주장을 열거하고, 그에 대한 퇴계의 비판을 순서대로 살펴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퇴계의 「心無體用辯」에서 연로를 비판하는 퇴계의 주장을 통해 그의 체용론의 특징을 추론해보는 작업을 할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성리학의 ‘沖漠無眹, 萬象森然已具’이라는 명제와 관련하여 앞서 분석한 ‘象’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心無體用辯」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데에 있다. 제5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퇴계의 체용론의 특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목분 충진 고분자 용융체의 압출다이 내 유동 및 열전달에 관한 수치해석
고승환,박형규,송명호,김찬중,Ko, Seung-Hwan,Park, Hyung-Gyu,Song, Myung-Ho,Kim, Charn-Jung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7 No.2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the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of wood-flour-filled polypropylene melt in an extrusion die was carried out. Used for this analysis were Finite Concept Method based on FVM, unstructured grid and non-Newtonian fluid viscosity model. Temperature and flow fields are closely coupled through temperature dependent viscosity and viscous dissipation. With large Peclet, Nahme, Brinkman numbers, viscous heating caused high temperature belt near die housing. Changing taper plate thickness and examining some predefined parameters at die ex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per plate on velocity and temperature uniformities. In the presence of taper plate, uniformity at die exit could be improved and there existed an optimum thickness to maximiz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