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기론의 '수사학적 배치'와 그 담론적 특이성 : Its Rhetorical Arrangement and Discursive Uniqueness

        고미숙 민족문학사학회 2001 민족문학사연구 Vol.19 No.-

        In the critical discourse of the late Chosun period, the notion of chun-gi(天氣) has quite a wide range of mean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hetorical arrangement and discursive singularities of chun-gi and its adjacent concepts. First, chun-gi makes its appearance with the representation of nature. Nature in chun-gi theory(天氣論) is distinct from that of chun-li theory(天理論). Second, chun-gi that overflows in nature is not limited to mountains and seas, but overflows in human beings as well. Thus, the rhetorical arrangement of chun-gi and its adjacent concepts is involved with basic human desire. Third, if nature and desire are diffused in the form of energy flow,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question of expression. It is Hence natural that language takes a part in rhetorical arrangement of criticism. From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 series of rhetorical arrangements constructing the chun-gi theory mentioned above are commonly characteristic of overturning the transcendental. Movement from the transcendental field to the inherent plane takes on the trend of de-individuation even from an ontological dimension. There is no distinct boundary or division between nature, humans, and other objects. The course of de-individuation is not limited to the escape from the social code : it oversteps the boundary of humanity itself.

      • 중국어 회화능력 자동평가를 위한 문항설계

        고미숙,성윤숙 중국인문학회 2009 中國人文科學 Vol.0 No.41

        本文是针对在开发自动评價韩国人中国语会话能力系统的过程中,所需要的问题设计内容而展开的讨论。主要内容如下。首先,指出在现行的中国语会话能力考试中存在的问题,即,没有充分反映实际的会话能力,及在“时间、空间/简洁性/经济性/客观性”等幾方面的各種问题。其中,最普遍并众所周知的中国语能力认证考试HSK考试中这種现象比较突出。HSK为解决这个问题,开发了具有专业化倾向的四个评價考试系统,即,HSK(商务), HSK(旅游), HSK(文秘), HSK(小兒)。北京语言大学开发的C-TEST與北京外国语大学出题的CPT(Chinese Proficiency Test),同样是重视交流沟通能力的考试。之前提到的问题在PBT(Paper-Based Test)環境下是不得以而存在的顽固问题, 为解决此问题,便要求在CBT(Computer Based Test)的環境下建立起一種新的评价方式。 CBT環境下建立起的外国语能力评價考试,即,isay365和set-10程序是一種值得使用的優秀模式,本文对此进行了介绍。 最后,本文对上述两種程序所具有的優點进行了基准测试,同时很好的反映了韩国人在中国语会话中所需要的、有用的语言性研究成果,所设计的自动评價韩国人中国语会话能力的问题模型为如下四種:①出声朗读;②跟着朗读句子;③简单回答问题;④构建句子并朗读。 今后,以这样的问题类型为基础,开发问题语料库,并建立起符合此语料库的数据库,确定符合问题类型的正确句子的数量,所用时间等也应作为后续工作有待于进行开发。

      • KCI등재후보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서사적 정체성 교육

        고미숙 한국교육개발원 2003 한국교육 Vol.30 No.1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identity and educational direction for identity. First, I examined two models of identity:Traditional view and recent view. The traditional view regards identity as essential, immutable, fixed substance. The recent views of identity, postmoderism and cyberspace, are no longer substance; Fluid, flexible, multiple, decentered, in-process, constructed,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and others. I explored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traditional view and the recent view, and proposed the integrated view of identity. Narrative identity is based on the integrated view. Ricoeur considers identity as the dialectic of idem-identity(identity as sameness) and ipse-identity(identity as selfhood). Narrative identity is to construct identity through the stories one tells herself/himself’s life. Identity formation in the integrated view is related to ethical aspect. Therefore, education for narrative identity is useful to moral education. I also proposed the direction of schooling for narrative identity. 본 논문의 목적은 정체성의 개념 및 정체성 교육의 방향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정체성의 개념을 전통적 관점과 최근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전통적 관점은 정체성을 본질적이고 불변하며 고정된 실체로 간주한다. 한편 포스트모더니즘, 사이버공간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관점은 정체성이 실체가 아니라 유동적이고 다양하고 탈중심적이며,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통해서 구성되고 재구성되며 재해석되는 과정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 관점과 최근의 관점의 문제점 및 장점을 지적하면서, 정체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안한다. 즉, 전통적 관점은 일관성과 통일을 강조하는 대신에 차이, 타자, 다양성을 배제하는 문제를 낳았고, 최근의 관점은 다양성, 타자, 차이를 강조하는 대신에 통일과 일관성을 배제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이 양자의 관점을 조화시킨 통합적 관점을 제안하며, 통합적 관점에 근거한 정체성은 서사적 정체성을 말한다. Ricoeur는 정체성을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자기성으로서의 정체성간의 변증법으로 고려하고, 삶 이야기를 말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 서사적 정체성을 주장한다. 통합적 관점에서의 정체성 형성은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한다. 또한 본 논문은 정체성의 통합적 관점에 근거한 서사적 정체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의 노인 영어교육과 학습 관련 국내 논문 분석

        고미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 Analysis of Articles and Theses Related to the Korean Elderly English Teaching or Learning Misook K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ticles and theses related to English teaching or learning for Korean elderly English learn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universiti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nglish teaching for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RISS, the papers searched for as the subject words of the elderly foreign language teaching, the elderly English teaching, the elderly English learning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reviewed in terms of study motivation and needs analysis, material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categories. Korean elderly learners had high intrinsic and sociocultural motivation and preferred video online contents.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arners should be conducte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the need for research on mobile apps or dementia prevention English programs. Based on the analysis, a plan to develop an elderly English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by the researcher is suggested. Key Words: Elderly English Teaching, Elderly English Learning, Elderly English Learner, Elderly English Material, Elderly English Program 한국의 노인 영어교육과 학습 관련 국내 논문 분석* 고 미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영어교육 및 학습 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과 학위논문의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한국의 노인영어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하여 노인외국어교육, 노인영어교육, 노인영어학습 주제어로 검색된 논문을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노인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요구분석, 교재개발, 교수법, 프로그램 개발 범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 노인학습자는 내적, 사회문화적 학습 동기가 높았으며 동영상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선호했다. 노인학습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교수법 연구가 필요하고 모바일 앱을 활용하거나 치매 예방을 위한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치매 예방을 위한 노인영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핵심어: 노인영어교육, 노인영어학습, 노인학습자, 노인영어교재, 노인영어프로그램 □ 접수일: 2022년 10월 15일, 수정일: 2022년 10월 23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8일* 본 연구는 2022년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한 것임. ** 서일대학교 비즈니스영어과 교수(Professor, Seoil Univ., Email: peacemsko@seoil.ac.kr)

      • KCI등재

        중국어 이음절 복모음에 대한 음성학적 특성 및 발음교육 방안 연구

        고미숙 영남중국어문학회 2014 중국어문학 Vol.0 No.66

        Through this experiment,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native Chines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to Chinese language in the utterance of Chinese compound vowels consisting of disyllable. Fundamentally, the result of analysis of monosyllable utterance was still produced in disyllable utterance. But the difference was not clearly presented because each length of syllable in disyllable utterance almost came down in half compared to each length of syllable in monosyllable utterance. In the utterance of rising diphthongs disyllable, the length of the front syllable of native Chinese speakers was longer than that of Korean learners to Chinese languag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ngth of the back syllable of native Chinese speakers in rising diphthongs disyllable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front syllable. But it proved that native Chinese speakers pronounce the front and back syllable of rising diphthongs longer than Korean learners. In the utterance of falling diphthongs disyllable, native Chinese pronounced the front and back syllable of falling diphthongs longer than Korean learners, but as a result of T-test between two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each syllable was four to six in the rate of significant versus nonsignificant. In the utterance of triphthongs disyllable, the length of the front syllable of native Chinese was longer than that of Korean learners, and it was one to one in the rate of significant versus nonsignificant. In triphthongs, native Chinese pronounced the back syllable longer than Korean learners as they pronounced the front syllable longer than Korean learners,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above analysis,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back syllable was not significant in the utterance of Chinese diphthongs disyallble. Pronunciation is very hard to be corrected later despite of many efforts because wrong habits in learning pronunciation are easily formed and fossilized. For the reason, it is important that more detailed and scientific Chines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for understanding the exact difference of phonemes between mother tongue and a foreign language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the foreign language. When Chinese teachers teach learners Chinese, they have to explain the exact Chinese syllabication system; and let learners realize that Chinese medial vowel is pronounced comparatively shorter than nucleus vowel. But in Chinese, it is the combination of full vowel where all the phonetic value of each vowel is asserted while Korean diphthongs is the combination of semi vowel and full vowel.

      • KCI등재

        중국어 억양 연구 고찰

        高美淑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3 No.-

        一般來說, 語調的聲學性質是指連寬語言中聲音高低升降的變化. 漢語作爲聲謂語言, 每??音節都有??固有音高. 所以, 漢語的語調硏究與其他非聲調的語調硏究必然會有所不同. 硏究非聲調語言的語調, 主要觀察單一的音高線, 就可以把握語調輪廓. 然而, 漢語的音高線是聲調和語調共存在一起形成的. ??們都??基音??率有關, 也就使得漢語語調的硏究變得復雜而困難了. 硏究漢語語調最關鍵的地方, 就是先把同一種聲學介質內共存的聲調和語調的實體因素解繹淸楚. 漢語語調的硏究方法大致分爲兩種. 一種是傳統的描寫方法, ??外一種是借助現代實驗儀器硏究的方法. 傳統的描寫方法過于簡單, ??非聲調語言的語調描寫基本相同. 聲調和語調之間的關系如何處理不太明確. 漢語的聲調和語調的關系是學者們之間始終有爭議的問題. 在漢語中處理語調的根本問題是要槁淸楚聲調和語調的關系. 關于這兩者之間最精??的觀点是早在30年代趙元任先生提出的"音域“槪念. 80年代以后學者們主要應用實驗語音學的方法多方面嘗試這兩者之間的關系. 他們的各種觀点雖然對聲調和語調的描述方法不同, 例如, 聲調音域, 格子, 調域, 移調等的槪念, 但??們有??共同点, 卽用調域的上下限來限制聲調的變化範圍, 用調域在語流中不同位置上的上升, 下降或展寬, 壓縮來體現語調. 從聲調音域入手, 我們就可以??開聲調??性, 從而將語調硏究??聲調的共性聯系在一起. 這是漢語語調硏究的一??重要的突破口. 我們使用"音域"來解釋語調, 也就可以把語調和聲調??好地切分開. ??外, 在漢語語調分析中, 引進語調構造的槪念, 使得語調硏究不枸泥于句末語調. 句末語調當然重要, 而在實際的語言生活中調核不一定在句末, 所以在正確分析漢語語調中引進語調構造的槪念是??重要的.

      • KCI등재
      • 집단놀이활동이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미숙 한국심리협회 2012 심리행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집단놀이활동이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 향상에 효 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 H구 B동에 위치한 Y복지관 의 방과 후 교실에 있는 가구 소득이 125만원 이하의 저소득층 한부모가정의 아동 중에 초등학교 3~5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5명,통제집단에 5명으로 무선배정하여 실험을 실시하 였다.집단놀이활동은 200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매주 2회 총 8회기의 활동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검사,사회적 능력 검사 를 각각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서는 아무런 조치를 가하지 않았다.자료처리는 SPSS12.0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집단간의 각 검사들의 평균득점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 결과 첫째,집단놀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피험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피험자들에 비해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둘째,집단놀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 단 피험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피험자들에 비해 사회적 능력 점수가 유의미 하게 향상되었다.본 연구가 아동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집단놀이활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과 사회적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근대 전환기 시가사(詩歌史)의 시각

        고미숙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96 畿甸語文學 Vol.10-11 No.-

        최근 근대 전환기 문학예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이 시기가 세기말을 맞이하는 우리 시대와 그 변환기적 측면에서 여러모로 닮아있기 때문일 터이다. 다시 말해 그 격동의 숲을 헤쳐나감으로써 난마처럼 얽힌 우리 시대의 미궁을 헤쳐나갈 길을 찾고자 하는 문제의식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거기에는 이 시기 문학사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이후의 근대문학의 다양한 과제들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깔려있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