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사회에 소개된 〈황조가〉의 양상 고찰

        강혜정(Kang, Hye-Ju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three different English translations of “Yellow Birds Song”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compares three different translations, explains the differences of the background stories fromthe original content, and discusses the translators’ ideologies in translation and the purpose of Korean poem translations. The three translators are James S. Gale, a Canadian missionary, Joan S. Grigsby, a Scot poet, and Younghill Kang, Korean-American novelist. They translated the poemof “Yellow Birds Song” which was written in 17 BC by King Yuri of Koguryo, and they cited the translated poeminto the book ofHistory of the Korean People(1928, a book of history),The Orchid Door(1935, a book of poetry), andThe Grass Roof(1931, novel) respectively. They each used the same poembut written in different languages. These different original poems influenced their translations. Gale used the poemwritten in Chinese, Grigsby used the English translation by Gale, and Kang used the Korean song. Gale’s translation is similar to Chinese poem. Grigsby’s translation is free style because she couldn’t understand the original content and tried to adjust to the western style. Kang’s translation is close to the original Korean song. These three translations a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ideologies in translation. First, Gale put an importance in Korean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Western readers. Thus, he tried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and at the same time, compose his translation as an English poem. Second, Grigsby didn’t even try to translate close to original content, because she felt that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was not important in translation. She thought literal translation of Korean poems couldn’t appeal to average western readers. Third, Kang did his best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Korean song because he thought Korean songs had ardent sense. These translators translated the background story of the book of SamKookSaKi(三國史記) differentl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urpose of Korean poem translations. First, Gale tried to provide the story in detail, and added his opinions as a missionary and historian because he wanted to introduce Korea as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and rich literature. Second, Grigsy summarized the story very succinctly because she focused on the ancient beauty of Korean poems rather than the long history, Third, Kang changed whole story in his novel because he tried to show the harsh reality of those days when it was under the Japanese control. His translation of Korean song expresses their pride and deep grief over the country lost.

      • KCI등재
      • BIM과 GIS 연계를 위한 실내 세밀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시설물 관리 중심으로

        강혜정,황정래,홍창희,Kang, Hye Young,Hwang, Jung Rae,Hong, Chang 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5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interests in indoor space,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construction and service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BIM data is very useful to buil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ly, many studies for the use of BIM data on GIS part are in progres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BIM data on GIS part, the conversion technology for building indoor data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 the conversion technology to construc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importing BIM data into GIS applications while there is few research on visualization. In this study, an indoor LOD(Level of Detail) model is proposed to apply to on indoor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en indoor data was constructed based on BIM data for the linkage between BIM and GIS. 최근 국내외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정보를 구축함에 있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자료는 매우 유용하다. 이에,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기술과 자료 가시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실내공간 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에 집중되어 있으며, BIM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들의 가시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 연계를 위하여 BIM 자료기반으로 실내 공간 자료를 구축했을 때, 실내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세밀도(LOD:Level of Detail) 모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이규용 ( Kyu Yong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집합적 가구 노동공급 모형을 적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시장 참여여부와 시장노동 공급시간의 결정 요인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들모형을 이용하여 시장노동 참여 여부 및 시장노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모형 추정 시가사노동시간 변수의 내생성(endogeneity)을 해결하기 위해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많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은 감소하지만 일단 시장노동에 참여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노동시간이 증가한 후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한다. 둘째, 남편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이 낮아 여성의 취업은 가구의 보완소득원로서 작용하고 있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취업교육 참여 경험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과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부인 취업에 대해 남편이 부정적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 및 시장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해서는 남편의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거주자 보다 농촌 거주자일수록 취업 및 창업 관련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고 취업 확률도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work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married immigrant female in the context of an intrahoushold decision process, in which the husband plays a role in his wife`s decision on labor supply,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This study employs a hurdle model,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obit model, which allow simultaneous estimation of the models determining participation decision and working hours. A two-step estimation procedure has been invented and used to resolve the endogeneity problems between housework hours and working hours. The results demonstrate work participation and working hour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a negative attitude of husband. Also,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decreased as husband`s income is higher.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capability, implying job placement education and acquirement of nationality would lower employment barriers. The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family size also play important roles in participation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immigrant female.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3 여성경제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배우자와 부인 모두 전업농인 농가에서 여성농업인의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2단계 추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전반적인 의사결정 항목에서 여성농업인의 참여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농가자산 및 재무 관련 의사결정에서 여성농업인의 참여도는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여성농업인의 영농경력이 많을수록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의사결정 참여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여성농업인 본인 명의 소유농지 비중이 높을수록, 농업교육횟수가 증가할수록, 참여하고 있는 농업관련 조직수가 많을수록, 지역사회 활동 단체수가 많을수록, 여성 전업농의 농업경영 의사결정 참여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of full-time women farmers. The ordered probit model is applied.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level of in decision making increases, as women farmers gain more farming experience. The more the number of family, the lower participation level of women farmers in decision making. As the share of farmland owned by women farmers is larger, women farmers take a more active part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Lastly, as women farmers attend more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gricultural organizations, community groups, they take a more active part in decision making relating to farm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신자료(新資料), 존경각(尊經閣) 소장(所藏) 44장본(張本) 『시조(詩調)』의 특성(特性) 및 편찬(編纂) 시기(時期) 고찰(考察)

        강혜정 ( Kang Hye-jung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2 No.-

        본고는 존경각에 소장되어 있는 신자료, 44장본 『詩調』(『시존』)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살펴 편찬 시기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가집에는 모두 401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고시조대전』에 없는 신출작이 4편 존재하고 있다. 18세기 가집으로서의 특성을 보이는데, 특이하게도 이 가집에는 이북전, 초삭대엽, 이삭대엽, 삼삭대엽의 4개 악곡만이 존재하고 있다. 최초의 가집으로 알려진 김천택 편 『청구영언』에 10개의 악곡이 있는 것을 고려하면 『시존』은 이보다도 악곡수가 적은 것이다. 『청구영언』과 비교해 볼 때, 중대엽, 북전, 낙시조, 만횡청류가 없는데, 중대엽과 북전은 가집의 훼손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시존』의 삼삭대엽 뒤에 <장진주사>와 <맹상군가>가 놓인 것으로 볼 때, 본 가집은 낙시조와 만횡청류를 고려하지 않고 삭대엽 중심으로 편찬된 가집일 가능성이 높다. 통상 <장진주사>와 <맹상군가>는 가집의 말미에 놓기기 때문이다.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고금명작가』나 『시조집』 장서각본 역시 삭대엽만으로 편찬되었다. 그리고 김천택이 수집하였던 낭원군의 『영언』을 비롯한 개인 가집들도 삭대엽 중심의 가집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삭대엽 중심의 가집은 이른 시기부터 선택된 방식이었을 것이며, 김천택이 여기에 만횡청류를 수록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가집이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세기에는 만횡청류가 가곡 한바탕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되지만 18세기에는 새로운 악곡으로서의 만횡청류를 선호하는 부류와 이를 가곡으로 받아들이기를 꺼려하는 부류가 공존하였다. 『시존』은 후자의 입장을 보여주는 가집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시존』에 간기는 없지만 이북전이라는 악곡이 존재하고, 이북전과 초삭대엽에 놓인 작품이 18세기 가집들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볼 때 『시존』은 18세기 가집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수록작품들의 악곡명, 작자명, 표기 방식도 모두 18세기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정교하게 배치된 유명씨 인물 중 18세기 중반을 넘어서는 인물이 없다는 점도 이 가집을 18세기의 가집으로 추정하게 하였다. 경종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볼 때 1724년을 상한선으로 잡을 수 있으며, 수록된 인물의 하한선이 『청구영언』『해박』『청장』과 유사하며, 『해동가요』주씨본과 비교할 때, 전반부는 일치하지만 후반부의 인물들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존』은 『해주』보다 앞선 시기에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중인층 인물들을 `여항인`이 아닌 `잡류`라고 명한 것으로 볼 때 편찬자는 사대부일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44-sheet Shijo anthology Shijo (『詩調』), owned by and housed in the Jongyeongak (尊經閣) Library in Sungkyunkwan University (成均館大). Even though Shijo does not display a publication date, there are several indications in the text that reflect the period in which it was compiled. Shijo consists of 401 works and arranges them according to their types of melodies, just as its precursor Cheongooyoungan (靑丘永言) by Kim Chuntak (金天澤) had. However, Shijo includes only four types of melodies while Cheongooyoungan includes ten. Shijo intentionally omits two up-tempo types of melody, Nakshijo (樂時調) and Manhoeingcheongnoo (蔓橫淸類), and instead focuses on Sakdaeyeop (數大葉) melodies. Although rare, some Shijo anthologies from the mid-eighteenth century focused on Sakdaeyeop, and some personal Shijo anthologies did so even earlier. Therefore, a Shijo anthology focusing on Sakdaeyeop was an accepted form in the early days of anthology compilation, and Kim Chuntak established a new form by adding Nakshijo and Manhoeingcheongnoo melo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Manhoeingcheongnoo became an indispensable part of Gagok (歌曲), so people now assume it to have been a part of Gagok. However, in the eighteenth century, while some enjoyed Manhoeingcheongnoo immensely, others were reluctant to accept it as a part of Gagok, and Shijo is in the latter camp. Shijo, unlike Shijo anthologies compiled in the nineteenth century, does not include Manhoeingcheongnoo melodies but does include Ibookjeon (二北殿) melodies, which were incorporated only into the Shijo anthologies compiled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addition, all the writers included in Shijo live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us, Shijo was likely compiled in this period. There is also an indication of the social status of Shijo`s compiler, as he refers to middle-class people as “Japnoo (雜類), miscellaneous people” instead of “Yeohangin (閭巷人), people on busy streets.” The middle class, including Kim Chuntak, called themselves “Yeohangin, people on busy streets,” while the term “Japnoo, miscellaneous people” had a negative connotation and suggested a tendency on the compiler`s part to think of such people as being part of a subordinate clas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compiler of Shijo was part of the nobility.

      • KCI등재

        기획논문 : 기혼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 결정 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1 여성경제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배우자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 결정요인을 2단계 추정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여성농업인의 생애주기, 배우자의 경제활동 행태, 농가 및 농업특성에 따라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노동 투입시간은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여성농업인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젊을수록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증가하고, 영농경력이 적을수록 농외노동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 겸업농에서 미취학 자녀수가 많을수록 여성의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감소하며, 농외소득활동에 참여하더라도 농외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학 자녀수가 많을수록 여성농업인의 농외노동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지면적이 많을수록, 노동집약적인 영농형태를 가진 농가일수록,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가 모두 겸업활동을 하는 경우, 특별시 및 광역시에 비해 다른 지역의 여성농업인은 농외노동시간을 덜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off-farm activities of women farmers. The two stage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ir participation of off-farm activity and off-farm labor hours as well.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off-farm labor increases, as women farmers get younger. The women farmer with more farming experience spend much time in their off-farm activity. The more school-age children, the shorter off-farm labor time of women farmers in case of couple working together in off-farm activity. As the cultivated land is larger and the farm type is labor-intensive, off-farm labor time is longer. Lastly, women farmers in urban area are more spend off-farm labor time rather than those of rural area.

      • KCI등재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과 여항가요와의 친연성에 대한 고찰

        강혜정 ( Hye Jung Kang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이 글은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7세기 이전에 창작된 사설시조와 만횡청류의 관계를 살폈다. 사설시조의 사대부 창작 향유설의 중요한 논거가 되고 있는 조선 전기 사설시조는 5명의 사대부에 의해 14수의 작품이 창작되어 전하지만 이 중 만횡청류로 유입된 것은 단 한 수 뿐이었다. 즉 조선 전기 사설시조가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이 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다음, 음악적인 면에서 만횡과 만횡청류의 관계를 살폈는데 악곡 만횡을 기반으로 만횡청류가 형성되었다기 보다는 만횡청류가 만횡의 기반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였다. 그리고 『청구영언』(진본) 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김천택을 비롯한 당대인들은 일관되게 가집 내에 명공석사가 지은 것과 여항가요라는 두 부류의 작품군이 있다고 하였다. 작품의 성격상 전자는 평시조를, 후자는, 만횡청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만횡청류는 그 형성 기반을 여항가요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여항가요를 여항인의 노래라고 할 때 여항인은 중인층을 포함하여 그 아래 계층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여항가요는 일반 민요와 달리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도시적 시정의 정서를 담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the origin of Manhoeingchungryu.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 between Manhoeingchungryu and Sasulsijo which was created in early Chosun Dynasty was examined. Although there were fourteen works of early Chosun Sasulsijo written by the gentry, only one was flown into of Manhoeingchungryu. In fact, it is farfetched to say that Man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early Chosun`s Sasulsijo. Next, the relation between Manhoeing and Manhoeingchungryu was reviewed from musical standpoin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say music-tune Manhoeing was derived from Manhoeingchungryu rather than Man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Manhoeing. In addition, Kim Chuntaek states that there are two types of works in 『Chungguyoungeun』; the works by MyunggongSeoksa (the renowned nobility) and Yeohangsongs. And the works by nobility were designated regular Sijo, and the works by Yeohang-people were called Manhoeingchungryu,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 valid view that Manhhoeingchungryu was originated from the works by Yeohang-songs. In this study, Yeohang-people includes the lower class as well as the middle class, an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Yeohang-songs have urban setting and contain urban atmosphere unlike general folk song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