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태임(Kang, Tae Yim)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of mobile app pages through color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concepts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bile app color combination, and its visual influence were discussed. The winning brand/shopping mall app works of Smart App Award Korea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For this study, the color distribution of selected app pages were reviewed with the color image scale by I.R.I. Color institute in Korea. To analyze the color tone in selected case studies from winning brand/shopping mall app works, the color tone, color combination, and the color theory were recommended as influential visual elements to keep app users longer in mobile app environment. As results, the suggested analysis tool of color showed some possibilities to use it as an evaluation criteria for designing mobile app site in the future. The suggested visual elements of mobile app color analysis will give a simple guideline to design affective mobile app in more effective ways.
강태신 ( Kang¸ Tae Shin ),임영식 ( Lim¸ Young Sik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repeated delinquency of adolescence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35 adolesc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predictive psychological factor related to repeated delinquency is antisocial temperament for all subject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high depression and antisocial temperament emerged as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peated delinquency. And depression served as a predictive factor for repeated delinquency of female adolescents. This findings suggested that some psychological factors may influence repeated delinquency. And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which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 repeated delinquency accounting to gender, may be used in intervention strategy of repeated delinquency.
강태임(Kang Tae-Yim) 한국디자인학회 2010 디자인학연구 Vol.23 No.3
The unclear definition of a webzine (except for the appearance) makes it hard to draw a boundary line between a homepage and a webzine. 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economical, and technological aspects of the DESIGN JUNGLE webzine by comparing it with aspects of short period webzines to adopt a breakthrough strategy for leading and successful future digital desig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signers focused management strategy, the DESIGN JUNGLE webzine became the best design portal webzine in Korea. To create a digital design solution, DESIGN JUNGLE included overseas designer messengers, and this new participatory system was a useful tool to track international design trends. In addition, they built the webzine based on the consistency of a design to attract web users without confusion, and the communication room in the webzine increased the participation of users in webzine activities. The new media experiments made the webzine the best design site with over 50% of the design market in Korea. This research proposes the possibilities to use the successful webzine control strategies of DESIGN JUNGLE as future core-design management tools for disappeared webzines' contents.
컴퓨터 그래픽을 포함하는 디자인 어워드의 작품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강태임(Tae Yim Kang),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디지털 시대의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은 디지털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모든 종류의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화하여 전세계로 전파된다. 대용량의 디지털 디자인을 관리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디자인 어워드도 시대의 흐름에 맞는 디자인 평가 기준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대륙별 디자인 어워드의 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어워드들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한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포함할 수 있는 디자인어워드의 평가 기준을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맞게 미래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평가하는데 활용하도록 기존의 디자인 평가 방법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최근 3년간 컴퓨터 그래픽이 포함된 작품을 평가할 수 있는 각 대륙의 유명디자인 어워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디자인 작품을 디지털 시대에 맞는 평가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 연구 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디자인 어워드의 디자인 평가 기준들을 취합하여 디지털 디자인 분야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공통점(Mutually)으로 평가 항목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Exclusively) 총체적이면서(Collectively), 철저하게(Exhaustively) 분석하는 MECE Categorization에 의해 전체 집합을 중복되지 않게 재구성하여 디지털화되어 가는 디자인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된 디자인 평가 기준 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디자인 어워드의 평가 기준표를 통합하여 분석한 항목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구성한 디자인 어워드의 디자인 작품 평가 모델을 도출하여 제시 하였다. Computer graphic design of digital paradigm uses multimedia to combine all kinds of information and data, and it spread out the output abroad. In this study, the design awards which can evaluate digital multimedia are selected to analyze current design awards` evaluation criteria in each continental area.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upporting design evaluation model to fulfill the needs of digital design fields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trends, and the new design evaluation criteria will be suggested as a supporting evaluation system.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he most popular world design awards are selected to evaluate digital computer graphic design within recent three year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design evaluation criteria of design awards which include computer graphics used, and analyzed with MECE categorization (Mutually, Exclusively, Collectively, Exhaustively).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a design evaluation model to fit in the digital environment will be suggested. The combined data of design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world famous design awards will apply a suitable design evaluation model for digital technology based design.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그래픽영역의 시각적 표현 사례 분석
강태임(Tae Yim Kang),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은 모든 종류의 정보를 통합하고 데이터화하여 보전한다. 대용량의 디지털 정보를 관리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미디어의 본질적인 요소들을 점검하고 활용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디자인과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개념과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장단점을 검토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시각적 요소들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사례를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요소로 분석하여 새로운 타입의 디지털 디자인 콘텐츠가 등장하는 것을 예측하는데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 범위는 소셜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다양한 미디어의 특성을 디지털 디자인에 활용한 싸이월드, 페이스북, 유튜브를 최종 분석 사례로 선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웹스타일을 분석하는 표현구도(Layout)와 표현기법(Visual Effect)을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웹에 맞게 통합하여 시각적 표현요소분석 기준을 만들었다. 또한 이를 선정한 웹 사례에 적용시켜 각각의 시각적 표현 요소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선정된 디자인 사례를 시각적 표현 분석 기준에 의해 비교 분석한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의 대중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발굴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Digital multimedia design as a new paradigm of information age combines and keeps the data of every information. The fundamental elements of design should be checked and us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igital multimedia to manage various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and digital multimedia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m, the important elements of digital multimedia are categorized.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find the new trend of multimedia by analyzing the selected cases of digital design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For the scope of this study, Cyworld, Facebook, and Youtube which are based on the social networking were selecte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tal visual expression by combining and comparing the layout and visual elements of web. On the selected web, the visual expression analyzes the design elements. This paper will provide the analyzed information of selected cases by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In addition,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popularity of digital media will show the possibilities to find the new types of digital contents.
한강 하구 지역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강태한(Tae-Han Kang),이기섭(Ki-Sup Lee),유승화(Seung-Hwa Yoo),김인규(In-Kyu Kim),조해진(Hae Jin Cho),김화정(Hwa Jung Kim),이종빈(Jong-Bin Lee)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본 조사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월동기에 해당하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 특성 파악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4회의 월동기 동안 한강하구에서 관찰된 수조류는 53종 최대개체수 99,521개체였다. 맹금류를 포함한 수조류는 67종 99,922개체 이었으며, 유사한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분류군별로 나누어 볼 때 16개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그 중 기러기류, 갈매기류, 수면성오리류의 비율이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큰기러기(Anser fabalis), 쇠기러기(Anser albifrons), 흰죽지(Aythya fer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재갈매기(Larus argentatus)이었다. 흰죽지, 괭이갈매기, 재갈매기는 조사시기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간 개체군의 관계는 큰기러기와 흰뺨검둥오리, 괭이갈매기와 재갈매기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큰기러기는 괭이갈매기, 재갈매기와 흰뺨검둥오리는 재갈매기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백로류는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면성오리류와 섭금류는 기온과의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쇠기러기와 청둥오리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du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intering waterbirds in Hangnag river form 2004 to 2008. 53 species and 99,521 individuals by sum of peak counts were recorded. We classified the wintering waterbirds into 16 groups of taxa based on the similar ecological attributes. In these classified groups, the geese, gulls and dabbling ducks were observed that mostly used babitat in Hangan river. The dominant species were Bean Goose Anser fabalis,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Pochard Aythya ferina,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Herring Gull Larus argentatus. Pochard, Black-tailed Gull, Herring Gull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urvey period. Number of individua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mong Goose - Spot-billed Duck and Black-tailed Gull - Herring Gull. The Bean Goose showed the regressive relationship with Gull and Herring Gull. For the three classified groups (Herons, Dabbling Ducks, Waders) and two dominant species (White-fronted Goose, Mallard) showed the strong tendency of correlating the temperature.
강태한(Tae-Han Kang),김성현(Sung-Hyun Kim),진선덕(Seon-Deok Jin),조해진(Hae-Jin Cho),백운기(Woon-Kee Paek)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2008년 10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새만금에 도래하는 조류를 대상으로 갯벌 등급 기준을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분류군별 현황을 보면 과거에 비해 종수가 다소 증가한 분류군은 백로류 수면성오리류 갈매기류 맹금류이었으며 고니·기러기류와 잠수성오리류는 과거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도요·물떼새류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개체수는 도요·물떼새류를 제외하고 전 분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절대기준을 이용한 등급 평가 결과 새만금 갯벌은 과거부터(1999-2000년) 지속적으로 절대평가 5등급 중 최상등급인 Ⅰ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종 지수에 의한 순위등급화에서는 과거에 비해 점차적으로 등급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분류군별 순위등급화 평가결과를 보면 백로류 수면성오리류 맹금류는 과거에 비해 등급이 상향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고니·기러기류 잠수성오리류 도요·물떼새류 갈매기류는 등급이 하향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evaluation the Saemangeum mudflat by the wintering waterbirds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09. The number of species of Herons Dabbling Ducks Gulls Raptors were increased Swans Geese Diving ducks were similar Wader was decrease than in the past. All texa expect for wade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individuals. First for the scoring of the mudflat Saemangeum mudflat was consistently Ⅰ grade. Second for the ranking by indexes rank of Saemangeum mudflat was the high. Ranking of the groups of taxa by indexes grade of Herons Dabbling ducks Raptors were improved and grade of Swans Geese Diving ducks Waders Gulls were low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