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에 기초한 용기 증진 활동이 유아의 용기,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강지은,심성경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nd implement activities that boost children’s courage based on fairy tal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ourage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5-year-old children from 2 classes in W kindergarten located in city I of Jelloabuk-do, with 27 children from one class being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children from another class as the control group. A Study 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ourage Scale for Teachers’by ParkC han-Oka nd Lee Eun-Young(2011) and ‘Early Childhood Resilience Assessment by Lee Ji-hyun (2012)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6 weeks in the order of preliminary research, examiner training and prior research, teacher training, preliminary examina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examin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 test was also performed on the increase after subtracting the pre-test scores from the post-test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age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boosted young children’s courage in general, such as physical courage, social courage, intellectual courage, and psychological courage. Second, the courage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had mostly enhanced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including emotional control ability, problem solving, empathy, self-efficacy, and challenging spirit, except for impulse control ability and optimism.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에 기초한 용기 증진 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용기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54명 중한 학급의 유아 27명을 실험집단, 다른 학급의 유아 27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또한 유아의 용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찬옥과 이은영(2011)이 개발한 교사용유아 용기 척도와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을 기준으로 보완 및 재구성한 이지현(2012)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 검사자 훈련 및 예비 검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총 16주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증가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유아 용기에 대해 공분산 분석을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에 기초한 용기 증진활동은 유아의 용기를 전반적으로 증진시킨다. 즉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심리적용기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를 증진시킨다. 둘째, 동화에 기초한 용기 증진 활동은유아의 회복탄력성을 대부분 증진시킨다. 즉, 충동통제력, 낙관성을 제외하고 정서조절력,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의 대부분 하위 요인을 증진시킨다.

      • KCI등재

        韓日 儒學史에 나타난 ‘古學’의 차이-오규소라이・이토진사이・허목・조익의 예를 중심으로-

        강지은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1 No.-

        This study is based on the writer's question whether the viewpoint of Western studies plays a substant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East Asian Confucianism. It is fair to say that the pursuit of the “ancient (Go古)”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Korea and Tokugawa-Japan, was not an unconditional pursuit of the “Go,” but was undertaken in a way to support the scholars own views. But, their efforts were aimed at neither breaking down nor supporting existing authority. While both are in a tradition of Confucian history, they have much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each society of Korea and Japan.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there was a civil service exam system in Korea, but Japan did not have one. Tokugawa Japan's “Ko-gaku (古學)” generally sought to restore the original “Go”, arguing that the commentaries of the later days should be left out completely and the ancient texts be studied directly. Meanwhile, under the realistic premise that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Go” texts and contexts, Joseon Confucian scholars sought to better understand “Go” by referring to commentaries that were a little closer in time to “Go”. This concession was related to the need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Confucian texts by being well-versed in commentaries as references for administering the civil service exams. These are the basic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and Tokugawa Confucian scholars, but not many of thes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s challenges to the current authority. In the former case, there was no such authority that should be destroyed (e.g., Zhuzi Studies as a ruling ideology), and in the latter case, it was a way to understand “Go” while working with the existing authority. 본고는, 동아시아 유학사에 대한 이해 속에는, 상당한 비중으로 서양학술의 관점이 녹아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필자의 문제의식에서 비롯한 것이다. 한일 유학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고’에 대한 추구는 널리 알려진 대로 ‘고’를 무조건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견해를 제출하는 방법으로서 ‘고학’을 표방한 것이라고 할만하다. 그러나 그들의 목표 자체는 기존의 권위를 타파하거나 높이려는 것에 있지 않았다. 양자 모두 ‘고’를 존중하는 유학사적 전통 속에 있으면서도, 한일의 각 사회에서 유학의 발전, 지위 및 그 토대가 되는 과거제도의 유무와 큰 관련이 있다. 도쿠가와 일본의 ‘고학’은 대체로 ‘고’의 원형을 복원하는 것을 추구하여, 후대의 주소는 이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서 전면적으로 배제하고 직접 경서를 마주할 것을 주장하였다. 조선에서는 ‘고’의 ‘본래’ 모습을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적 전제 속에서 ‘고’에 조금 더 가까웠던 시대의 주소들을 참조하여 ‘고’를 더 잘 이해하고자 하였다. 과거제도가 존재하는 지역에서 현행의 경서를 보다 명백히 이해하고 주소를 섭렵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과 상관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있으나, 양자 모두 현행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의미지울 만한 부분은 많지 않다. 전자의 경우 파괴해야하는 권위라고 할 만한 것 (예컨대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주자학 등)이 존재하지 않았고, 후자의 경우 기존의 권위를 사용하면서 ‘고’를 이해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행정법제의 역할과 기본원리

        강지은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9 행정법연구 Vol.- No.58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times is linked to the fundamental notions such as politics, administration, economy, society, culture, law and human rights. The reasons for multiculturalism are not only based on employment or marriage, but also are being diversified by the recognition of refugee status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s of the world. Existing discussions and studies on multiculturalism have mainly focused on sociological approaches in terms of policy. In the field of law, the research has focused on individual laws and legislations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Refugee Law and Immigration Control Law.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multiculturalism itself is vast and the details of the subjects are divers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islations are more complex than general theories. Most of all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has emphasized as a kind of party line. So the normative definition of actual phenomena and the structure of legal system were not organically arranged. As the administrative demands of people vary,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legal concept and measures for multicultural situations. Beyond the limited target and policy objectives of government-centered support for families, it is now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framework and set up administrative principles for multiculturalism problems. The ​police administration should establish legal stability in connection with rule of law and sovereignty, the welfare administration should ensure a balanced operation between discretion of administration and equality. It should also define the means to secure its effectiveness with constitutional value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view and organically manage the content and specificity of individual laws about multiculturalism from the angl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actions and administrative remedies. 다문화의 시대적 상황은 정치, 행정, 경제, 사회, 문화, 법과 인권 등의 기본권 관념과도 모두 연결된다. 다문화사회의 원인은 취업이나 결혼을 이유로 한 이민만이 아니라, 오늘날의 세계정세의 흐름과도 연결되어 난민 문제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다문화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 연구는 정책이나 제도적인 측면에서 사회학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고, 법학 분야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법, 난민법, 출입국관리법 등 개별 법률이나 제도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이는 다문화라는 용어 자체의 범주가 광대하여 대상 영역이 다양하고, 관련 법제의 특징이 총론보다는 세부적인 각론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관념이 일종의 정치적 노선이나 정책적 방향으로 강조되며 당면한 행정 현실에 대응이 급급하여 실제 현상에 대한 규범적 정의가 미흡하였고, 법제의 체계가 긴밀하고 밀도 있게 정비되지 않았던 까닭이다. 국민의 행정수요가 상황별로 천차만별이듯이, 다문화 상황에 대한 대응과 필요책 등을 일의적으로 정의하고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럴수록 행정 주도의 ‘가족에 대한 지원’이라는 다소 한정적인 대상자 범주와 정책 목적에서 벗어나, 유동적인 다문화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공동체 전체의 합의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법규범과 행정 원리의 총론적 틀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문화관련 법률 가운데 질서행정영역은 법적 안정성의 확보 및 법치주의와 주권의 관계를 설정하여야 하고, 급부행정영역은 행정의 재량과 법 적용의 평등 사이의 균형 잡힌 운용이 담보되어야 한다. 헌법적 가치를 산재한 개별 법률에 담아 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규정하되, 각 영역의 내용과 특수성을 파악하여 행정조직, 행정작용, 행정구제의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망하여 법제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종의 자이오머의 불소 유리량과 압축 강도 평가

        강지은,유승훈,김종빈,김종수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발된 두 종류의 자이오머(Beautifil Flow Plus F00, Beautifil Flow Plus F03)의 불소유리량과 열순환 후 압축강도를 기존의 자이오머,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복합 레진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불소 유리량 측정을 위해 군별로 15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여 31일간 pH/ISE meter를 이용하여 불소 농도를 측정하였고압축 강도 측정을 위해 군별로 15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여 열 순환 후 만능 경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편이 파절된 시점의 최대강도를 측정하였다. 최근 개발되어 출시된 자이오머는 기존의 자이오머에 비해 불소 유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압축 강도도 개선되었으며, 복합 레진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amount of fluoride-release of recently developed giomers (Beautifil Flow Plus F00, Beautifil Flow Plus F03), conventional giomer,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composite resin. Fifteen cylindrical specimens for each group were prepared to measure fluoride release. It was measured using pH/ISE meter and fluoride ion electrode every 24 hours for the first 7 days and every 72 hours until the 31st day. Also, fifteen cylindrical specimens for each group after thermocycling were prepared to measure compressive strength.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Kyung-sung Testing Machine Co., Korea) was used and the crosshead speed was 1 mm/min. Recently developed giomers showed more fluoride release an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conventional giomer. I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composite resin.

      • KCI등재

        공법과 사법의 교착(交錯)에 관한 시론적 고찰

        강지은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2 행정법연구 Vol.- No.67

        Die Theorie der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und Privatrecht galt lange Zeit als unüberprüfbare Prämisse des Rechtswissenschaft. Das öffentliche Recht wurde traditionell auf der Prämisse des Dualismus von Staat und Gesellschaft entwickelt. Diese einfache These bricht zusammen, da sich die Domänen der anderen kreuzen und überschneiden. Der „Unterscheidungsmythos“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ist längst verschwunden, und die Mischung aus öffentlicher Interessen und privater Interessen macht es schwierig, Rechtsgebiet, Rechtsverhältnis und Rechtsmittel eindeutig einzuordnen und zu erklären. Der globale Liberalismus und der Einfluss des EU-Rechts haben die traditionelle Theorie der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und gerichtlichem Recht grundlegend beeinflusst. Zudem verändert sich mit der Ausweitung der Wirkungen von Grundrechten und verschiedenen Handlungsformen das Verhältnis von Staat und Gesellschaft in eine andere Dimension. Insbesondere nach der Pandemie war die Fähigkeit des Staates, das öffentliche Interesse zu schützen, oft eingeschränkt, und die Belastung der Bürger hat zugenommen. Es ist an der Zeit, eine neue Perspektive auf das sich ändernde öffentliche Interesse und die Werte der Gemeinschaft zu haben. Die Verschränkungen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rtrecht können durch kleine Risse in der Dogmatik fest werden. Wie die Verwaltung durch Konsultation muss ein soziales Phänomen, das einen Wendepunkt darstellt, von einer Anpassung durch kontinuierliche Überwachung der Verwaltungs- und Gesetzgebungsmaßnahmen begleitet werden. Die Diskussion um die Unterscheidung von öffentlichem Recht und Privatrecht kann als Maßstab für eine ausgewogene Sicht auf Problemen für rechtliche Stabilität und Kontrolle der Verwaltung dienen.

      • KCI등재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에서의 정서인식: 시각적 Oddball 과제를 이용한 사건관련전위연구

        강지은,김영윤,김범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motional recognition in subjects with psychopathic tendenc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On the basis of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Lee et al., 2007),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psychopathic tendency(n=20) and control(n=20) groups. Task 1 and Task 2 were visual oddball tasks of emotional recognition. In all tasks, standard stimuli were neutral facial expressions. Target stimuli of Task 1 were fear and sad facial expressions and target stimuli of Task 2 were happy and sad facial expressions. Subjects were required to press the button whenever the presented stimuli were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ies in the fear stimuli than the sad stimuli. The psychopathic tendency group exhibited slower reaction time in the fear stimuli than the sad stimuli. In Task 1 and Task 2, both groups showed that P300 component was elicited by the target stimuli at the parietal sites for 400-600 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P300 between groups and stimuli condition of emotion. However, in the psychopathic tendency group, P300 elicited by fear stimuli revealed greater amplitude than sad stimuli at frontal electrode sites. This pattern of P300 amplitude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ergraduate students with psychopathic tendencies exhibit weak emotional recognition deficits.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정서인식에 결함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이수정, 박혜영, 공정식, 2007)에 의해 65점 이상을 받아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으로 분류된 20명이 실험집단으로 선발되었으며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에서 65점 이하를 받은 나머지 학생들 중에서 20명이 통제집단으로 선발되었다. 총 두 가지 oddball 과제가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에 사용된 oddball 과제는 빈번하게 나타나는 표준자극들 중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두 종류의 목표자극을 변별하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참가자들은 목표자극이 나타났을 때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해당되는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 받았다. 목표자극으로 과제 1에서 공포와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이 사용되었고, 과제 2에서는 행복과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표정이 사용되었다. 표준자극으로는 중성적인 얼굴표정이 모든 과제에서 사용되었다.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공포 표정이 슬픔 표정보다 과제수행 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은 공포 표정에서 슬픔 표정보다 느리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 표준자극에 비해 두 종류의 목표자극에서 유발된 P300이 400-600 ms의 시간영역에서 두정부에서 가장 큰 진폭으로 나타났다. 목표자극에 의해 유발된 P300에서의 진폭이나 잠재기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은 통제집단과는 달리 뇌의 전두 영역에서 공포 표정의 P300이 슬픔 표정 보다 큰 진폭을 보이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의 정서인식 결함이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서는 매우 약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공공데이터 개방의 법적 쟁점에 관한 소고

        강지은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0 행정법연구 Vol.- No.61

        Open data improves trust and transparency of the public to the government, and improves budget reduction and efficiency in policy making through creative development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services. As the provision of open public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covid-19, the government's active move toward new technologies and data use has accelerated. The combina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government-led policies using big data, along with expectations for a more promising future created through innovation, also has concerns that data construction and disclosure can easily turn into a 'big brother' system. Even if the big data itself is neutral and objective,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data and the results of its use will vary depending on the user of the data, the capital and network that the user has, and how and for what it is used. In order to build a stable social order and ensure citizens' interests in a rapidly changing era, it is essential to consider laws and administrative realities in addition to economic and technical analysis of public data policies. In a situation where the combination of big data and business property is promoted, even the data that presupposes anonymity should seriously precede the consideration of publicity and public interest in the collection and disclosure.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what the public interests of collection and opening are for each data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tasks and administrative actions in charge of each administrative agenc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arious public interests and be cautious in opening public data. The precedent standards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data should also be improved in line with the latest technological developments.

      • KCI등재

        독일 공법상 1차권리구제와 2차권리구제 — 전통적 도그마틱의 변화와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강지은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0 행정법연구 Vol.- No.60

        Primär- und Sekundärrechtsschutz fokussiert das rechtssystematische Verhätnis zwischen bei den Formen der Rechtsschutzgewähreistung für eine Verletzung von Eigentumsrechten. Dies ist eine einzigartige Theorie mit einer traditionellen Trennung von Zivil- und Verwaltungsgerichtsbarkeit. Es ist ein historisches Ergebnis, das versucht hat, den Zusammenhang zwischen der Aufhebung durch Verwaltungsgericht und der Entschädigung durch Zivilverfahren zu klären. Historisch auf seine Ursprünge zurückgehend gibt es den traditionellen deutschen Rechtssatz „dulde und liquidiere“. Dies bedeutet, dass es den Bürgern in der Vergangenheit unmöglich war, eine direkte Aufhebung der Verwaltung zu fordern, sondern nur eine Entschädigung. Nach dem Nassauskiesungsbeschluss des BVerfG vom 15. 7. 1981 wurde die Entschädigung für enteignungsgleichen Eingriff mangels gesetzlicher Grundlage in Frage gestellt. Das Rechtsschutzsystem in Korea und Deutschland ist teilweise ähnlich: Die Staatshaftung durch Zivilprozess, die Unterscheidung zwischen öffentlichem und privatem Recht und die Annahme des Konzepts des deutschen Fiskus im Verhältnis von Verwaltungsrecht und Zivilrecht. Die deutsche Diskussion gibt uns ein Verständnis für die Struktur der Gerichtsbarkeit und die lange zivilrechtlich orientierte Tradition, wie Fiskus, die Maßnahmen zur Verbesserung der Verwaltungsverfahren, die Wirksamkeit der gerichtlichen Kontrolle und die Anpassung der Mitgliedstaaten als Reaktion auf öffentlich-rechtliche Anspruch unter europäischem Einfluss. In diesem Aufsatz möchte ich die speziellen deutschen Rechtsschutzsystem darstellen und danach die Anehmbarkeit dieser deutschen Rechtsschutzsystem in dem koreanischen Rechtsschutzsystem behandel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