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집단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단체활동을 중심으로

        강주연,조남억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in-depth, their opinions of the experience as it is in its entirety from their perspective. The questio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does the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mean?”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adolescents aged 20 to 25 in early adulthood with over 3 years'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with whom an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total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six months from May through November 2013, an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used a method of scientific phenomenology in four steps proposed by Giorg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15 topics, 7 topic groups and 3 categories were drawn based on 184 meanings. The categories with the topic groups include: Mechanisms of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New, positive experience, awareness of multiple elements and life events that have made who I am; experience as a whole: a page of memory and belonging in itself; and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encounter with reality and negative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allows them to grow themselves, remember and internalize the experience fully in their life and have a passion for new things and curiosity about a wider world, and acts as a chance to feel the gap between what they think is ideal and their reality simultaneously.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온전히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질문은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은 어떤 의미인가?’이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을 3년 이상을 한 20세~25세의 성인초기의 청년 6명이었으며, 심층적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 4단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184개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 15개의 주제, 7개의 주제군,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범주들과 주제군을 함께 제시하면 <자기 성찰과 자기 성장의 기제: 새롭고 긍정적인 경험, 다각적인 요소의 의식, 지금까지 나를 만든 인생사건>, <온전한 그 자체로서의 경험: 추억의 한 페이지, 그 자체로 속함>, <이상과 현실의 괴리: 현실과의 조우, 부정적 경험>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의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자기 자신을 성장하고 기억하며 경험 자체를 온전히 삶에 내제시킬 수 있다는 것과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과 더 넓은 세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하며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현실과의 괴리를 동시에 느끼게 되는 계기로서도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상담1388’ 빅데이터 분석: 2011~2018 네이버 지식iN을 중심으로

        강주연,이이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study aims to draw significant results of 'Youth Counseling 1388' as extracting and analyzing big data which contains the key words of 'Youth Counseling 1388' by utilizing NAVER Knowledge iN, one of the largest portal sites in South Korea, and to create baseline data for providing effective youth counseling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which was retrieved by the key words of 'Youth Counseling 1388' via NAVER Knowledge iN for 8 years, from January 1st, 2011, to December 31st, 2018. Pre-processing, such as pretreatment and word-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llected 46,859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and visualized applying N-gram and semantic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1 to 2018, the number of search results for 'Youth Counseling 1388' revealed a tendency of increase. Second, the top words related to the search results of 'Youth Counseling 1388' mainly had a connection with the life radius of adolescents such as the associated words with school life, family, and work and the words expressing their psychological situation. Third, a total of 4 clusters were construct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Youth Counseling 1388.' In order of group 1: key words associated with the schools and peer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group 2: key words related to schoolwork of adolescents; group 3: key words connected with changes in family environment of adolescents; and group 4: key words linked to work of adolescents; the group sizes were created. Overall, the big data analysis of 'Youth Counseling 1388' utilizing text mining was confirmed to identify the interest area of users who also utilize the public services through unstructured data, beyond the existing structured data. 본 연구는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을 활용해 ‘청소년상담1388’ 키워드가 포함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청소년상담1388’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효과적인 청소년 상담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드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1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총 8년의 기간 동안 네이버 지식iN에서 ‘청소년상담1388’을 키워드로 검색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46,85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전처리와 품사분석 등 전처리과정을 실시하였고 N-gram과 의미연결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Python 3.6.5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는 TEXTOM, UCINET6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상담1388’의 검색결과의 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상담1388’ 검색결과에 관한 상위 단어는 학교생활과 관련된 단어, 가정과 관련된 단어, 심리적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 근로와 관련된 단어 등 청소년의 생활반경에 관련된 것들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청소년상담1388’ 검색결과에 관한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총 4개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그룹1: 청소년의 학교와 교우관계에 관련된 키워드, 그룹2: 청소년의 학업과 관련된 키워드, 그룹3: 청소년의 가족환경 변화와 관련된 키워드, 그룹4: 청소년의 근로와 관련된 키워드 순으로 크기가 형성되었다. 종합해보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상담1388’ 빅데이터 분석은 기존의 정형적 데이터를 벗어나 비정형 데이터를 통해서도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이슈 영역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폐기물 열분해 재활용품 중의 생물화학적 독성검색

        강주연,신혜순 德成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2004 藥學論文誌 Vol.15 No.1

        Recently, waste recycle technology is transforming from incineration system to recycle system which can derive the resources from environmental waste and charge no more environmental burden to nature. And there it is necessary for our country to adapt recycle system urgently to prevent the land pollution and lack of landfill area.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cute toxicity of derived product for recycle of waste by a single oral dose in Sprague-Dawley Rats. In order to evaluate the hepatotoxic effects of derived product of recycle system, activities of serum transaminase were measured in rats. No related changes in survivals, clinical signs and the ratio of the liver to body weights of rats were monitored.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ial of waste recycle system did not induce any toxic effect at orally single dose level of 0 and 100, 200, 400, 800㎎/㎏ body weight in rats.

      • 흉수, 간 침범 및 천식을 동반한 과호산구 증후군 1예

        강주연,정병철,류서우,이시형,이호영,이영민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서론: 과호산구 증후군은 호산구가 증가하는 다른 질환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호산구의 증가가 말초 혈액 및 조직에서 지속되면서, 호산구에서 유리되는 다양한 물질들에 의해 조직 및 장기의 손상이 유발되어 다양한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모든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국내에서 간, 폐, 심장 등을 침범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한 환자에서 여러 장기에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다. 증례: 29세 여자로 2012년 복통 발생하여 시행한 검사 상 기관지천식 및 호산구성 육아종 동반된 과호산구 증후군 진단되었던 환자로 경구 프레드니솔론 투약 후 증상 호전되었다. 지속적으로 투약 하던 중 여드름, 체중증가등의 문제로 중단하였고 특이증상 없이 지내다 내원 2주 전부터 기침, 가래 및 이충만감 발생, 호흡곤란 발생하여 내원하였다. 내원 시 좌측 폐야에서 수포음확인되었으며 흉부 X-ray에서 양측 흉수 관찰되었다.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15,290/mm3 (호중구 27.5%, 호산구 52.3%), 전체 호산구 수는 7,996/mm3, 말초 혈액 도말 검사 상 뚜렷한 호산구 증가를 보였다. 흉수 천자 검사 상 총 백혈구는 9,800/mm3이었고 감별계수상 다형백혈구 1%, 호산구 73%였다. 기관지폐포세척 검사 상 호산구 81%로 역시 호산구가 뚜렷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흉수에 대하여 피부경유 배액술 통하여 배액하였고, 메틸프레드니솔론 0.5mg/Kg 5일간 정주 후 말초혈액 내 호산구 수 1,400/mm3로 감소, 배액 감소되었으며 증상 호전 보였다. 이후 경구 프레드니솔론으로 교체하여 퇴원하였으며 현재까지 다른 증상 발생 없이 경구 프레드니솔론 유지 요법으로 사용하면서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에 있다. 결론: 본 증례는 과호산구 증후군 환자에서 다장기침범이 가능함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판단되며 또한 환자의 증상이 과호산구 증후군에 의한 장기 침범 소견으로 판단될 경우 항생제 보다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방송대 패널조사 시스템 개발 및 운영전략 수립

        강주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이 연구에서는 방송대 학생 대상 조사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학생 대상 조사의 효율성 및 연속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존 조사체계의 대안으로 패널 조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조사의 실행을 위해 조사계획, 조사내용, 시스템운영에 관한 사항을 다루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송대 패널 조사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향후 방송대의 학생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해 가능한 연구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III장에서는 방송대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조사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매년 또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실태조사에서 다루고 있는 자료의 특성이나 주요 논의 사항을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개선할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IV장에서는 기존의 방송대 실태조사 자료를 패널 자료로 변환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패널조사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2008년과 2010년 신편입생 실태조사와 재학생 실태조사에 모두 응답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에 지속적으로 응답한 비율을 조사하여 실제 패널 조사 시 응답 참여율을 예상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8년 재학생 실태조사와 2010년 재학생 실태조사 간 유사 또는 동일 설문 문항을 비교하여 응답자들의 평균반응이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두 개년도간의 응답의 변화가 실제 응답자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패널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조사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V장에서는 방송대 패널 시스템 설계와 운영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패널 자료의 수집 계획 및 내용 설계를 다루었다. 방송대패널조사연구는 2013년 방송대 신·편입생 중 약 6,000명을 대상으로 2019년까지 7개년도에 걸쳐서 추적 조사하는 성인학습자에 대한 종단적 교육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단순히 연령에 따른 생애주기보다 학업주기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학습과 삶의 변화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신·편입생을 조사대상으로 하는 단일 코호트를 설정하였다. 방송대패널조사연구는 최근 학교효과 연구에 널리 적용되는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적용하였다. ‘투입-과정-산출 모형’은 학생들의 교육과 학습을 통해 교육 결과가 산출되는 과정을 모형화 한 것으로 학생의 인지적, 사회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배경과 교육 경험의 차이를 반영하기 적합한 모형이다. 단기적으로는 학교교육의 성과가 학업성취도나 대학원 진학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장래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의 획득 및 변동이나 수입의 변화 등과 같은 사회적 이동 또는 성공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학교교육의 궁극적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방송대패널조사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조사연구 과정을 세분화하여, 연구 설계 관리, 조사 관리, 서비스 및 분석의 3가지 과정으로 나누었고, 이들을 시스템화하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우선, 각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각 시스템 안의 절차 및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방송대 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마지막 절에 제시하였다. 방송대 패널이 실제 실행되었을 경우 집행과정이나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사항들을 고려하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VII장에서는 방송대 패널 조사 모형을 토대로 향후 방송대의 학생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해 가능한 연구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방송대패널조사의 자료는 정책적 측면, 학문적 측면, 대중적 측면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정책적인 활용의 측면에서 방송대패널조사의 자료는 학내 구성원에게 제공되어 방송대의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학문적인 활용의 측면에서는 『방송대패널조사』 자료를 일반 연구자들에게 공개하여 이 자료가 성인학습자에 대한 양적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공모하거나 패널조사 설명회 및 학술대회를 개최함으로써 성인학습자 연구에 학문적 기여를 하고, 원격성인교육기관으로서의 방송대가 가지는 학문적 위상을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반 대중적 측면에서는 조사 결과에 대한 기초보고서나 통계 자료를 일반에 공개하여 방송대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를 도울 수 있고, 이는 일반 대중이 방송대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교육 책무성 차원에서 방송대에 관한 정보로도 공개될 수 있다.

      • Lactic Acid Bacteria의 Cycloxygenase-Ⅱ 저해효과

        강주연,신혜순 덕성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2009 藥學論文誌 Vol.20 No.-

        Probiotic bacteria, such as Lactobacilli, Bifidobacteria, Streptococci and Sacharomyces boulardii have multiple potential health effects including blocking gastroenteric pathogens, neutralizing food mutagens produce in the gastric intestinal,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lowering serum cholesterol and stopping intestinal dysfunction. For this study, we studied 6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LAB) of probiotic bacteria, which were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KCTC 13086, Lactobacillus fermentum KCTC 3112,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048, Lactobacillus ruteri KCTC 3594 and Streptococccus thermophilus KCTC 3927.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f cycloxygenase-Ⅱ(COX-2), both live-lactic acid bacteria(live-LAB) and killed-lactic acid bacteria(killed-LAB) were prepared on COX-2 assay in the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 As a result of COX-2 assay, S. thermophilus of live-LAB showed 96% inhibitory effect on COX-2 induction assay and 71% inhibitory effect on COX-2 activity assay. Interestingly L. casei of killed-LAB reveal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both COX-2 assays, Most of the live-LAB groups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 of COX-2 than killed-LAB groups.

      • KCI등재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PBL모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강주연,남연화,노형관,김용 한국기록관리학회 201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which are large in number and have diverse provenance. The PBL model, which is a basic model for this program, is appropriate for suggesting a number of records and inducing the use of archives.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rule of PBL but is divided into two parts: a pre-class level and an in-class level. The archives list for this program is selected from the archives map, which consists of a horizontal axis of provenance and a vertical axis of creation tim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rogram is to vitalize and expand the use of archives and to inspire a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proposing a propose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f a historical event and the probability to use in a real class. 출처가 다양하고 양적으로 방대한 5.18민주화운동기록물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할 교육 모형은 PBL모형으로 다양한 기록물을 제시하고 기록관의 활용을 유도하기에 적합하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PBL의 기본 형태를 따르되 단계를 다시 이분화하여 수업이전단계와 수업구현단계로 나누고 수업이전단계를 세분화하여 제안하였다. 제시될 기록물은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구성되는 격자형 기록물지도를 사용하여 기록물 목록을 확보한 후 기록물을 선별하도록 한다. 본 교육 프로그램의 실현은 기록관 이용의 활성화와 기록물 활용의 확장, 학습자들의 역사의식 고취 등의 기대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제기록물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제안이라는 점과 학습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사 요구도에 관한 델파이조사

        강주연,정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교사 발달단계에 따라 자기장학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체계화한 자기장학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 과정에서의 요구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학계와 현장의 유아교육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수립 시, 생존기, 적응기, 성숙기 교사의 요구도 모두 목표 및 일정계획하기, 연구과제 정하기, 실태파악 및 구체적인 방법 모색하기, 평가 및 피드백 방법 정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실행과정에서 교사들의 요구도는 생존기, 적응기, 성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따라 분석하였다. 셋째, 결과협의 시, 생존기, 적응기, 성숙기 교사들은 목표 및 실행과정에 대한 반성, 추후 자기장학의 방향 및 과제 계획하기, 원장(감), 동료교사와 피드백 결과 공유하기에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에 대한 요구도를 반영한 체계적인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truct a self-supervision model according to teacher development stage.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hree times on 25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planning stage in process of a self-supervision, all teachers demand to plan goals and schedules, to decide research tasks, to decide a variety of methods and feedback methods used in self-supervision. Second, at acting stage of self-supervision, all development stage teachers make different demands in goals, tasks, methods, and feedbacks. Third, in the negotiating results stage in process of self-supervision, all teachers demand to reflect about goals and self-supervision process, to plan tasks, and to share results with others. These findings provide a framework to develop a self-supervision model for man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Z세대’ 관련 뉴스데이터 의미연결망 분석

        강주연,이이든,김지수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emantic structure built in relation to Generation Z by extracting and analyzing news data containing Generation Z keywords from the portal site Naver. To this end, data including Generation Z keywords was collected from Naver News Data for a total of nine years from 2010 to 2019. Based on the 8,678 pieces of collected data, primary and secondary refining and pre-processing were conducted. Python 3.6.5 wa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TEXTOM and UCINET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0 to 2019, the number of search results for Generation Z revealed an increasing tendency. Second, The top words for Generation Z news data search results are 'millennial', 'brand', 'digital', 'consumer', 'video', 'trend', 'birth', 'content', 'fashion', and 'marketing' in that order. Words describing the emergence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words related to consumption were domina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nection-centered analysis, the words with the highest centrality index among the key words of Generation Z are 'millenial', 'brand', 'digital', and 'youtube’. Fourth, A total of four groups were form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Generation Z search results. By determining the structure and connectivity of the semantic connection network, Group 1 was named a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Group 2 was the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 Z and companies, Group 3 was Generation Z and youth, and Group 4 was communication platforms of Generation Z. In summary, through analysis of news data related to Generation Z, various semantic connection networks for Generation Z could be identified and various implications could be drawn. 본 연구는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서 Z세대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Z세대와 관련하여 구축된 의미구조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9년 동안 네이버 뉴스데이터에서 Z세대 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8,678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차, 2차 정제 과정 및 전처리과정을 실시하였고 연결 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Python 3.6.5,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는 TEXTOM, UCINET6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해서 뉴스데이터 검색결과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Z세대 뉴스데이터 검색결과에 관한 상위 단어는 ‘밀레니얼’, ‘브랜드’, ‘디지털’, ‘소비’, ‘영상’, ‘트렌드’, ‘출생’, ‘콘텐츠’, ‘패션’, ‘마케팅’ 순으로 Z세대의 등장 및 특성을 설명하는 단어와 소비와 관련된 단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 Z세대 핵심 단어 중 중심성 지수가 가장 높은 단어는 ‘밀레니얼’, ‘브랜드’, ‘디지털’, ‘유튜브’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Z세대 검색 결과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총 4개의 그룹이 형성되었다. 의미연결망의 구조와 연결성을 확인하여 그룹1은 Z세대의 전반적 특성, 그룹2는 Z세대와 기업, 그룹3은 Z세대와 청소년, 그룹4는 Z세대의 소통 플랫폼으로 명명하였다. 종합해보면 Z세대 관련 뉴스데이터 분석을 통해 Z세대에 대한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관련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