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ual Coating Improves the Survival of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during Exposure to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강주연,이도경,박재은,김민지,이중수,서재구,정명준,신혜순,하남주,Kang, Joo Yeon,Lee, Do Kyung,Park, Jae Eun,Kim, Min Ji,Lee, Joong-Su,Seo, Jae-Gu,Chung, Myung Jun,Shin, Hea Soon,Ha, Nam Joo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면역력 활성 조절, 콜레스테롤 수치 억제, 유당내성 강화, 항종양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으로 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일단 섭취하게 되면 위장관을 통과하는 동안 산도가 낮거나 단백질분해 효소가 많은 열악한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며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증식해야 한다. 이중 코팅 기술은 펩타이드와 다당류의 이중코팅으로 섭취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열악한 조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코팅 된 4종의 비피도박테리움 혼합물의 생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코팅이 되지 않은 비피도박테리움 혼합물과 담즙, 산 저항성 및 열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중 코팅 된 균주와 코팅이 되지 않은 균주를 산과 담즙 조건 및 $40^{\circ}C$에 노출 시킨 후 한천배지에 배양하여 생존생육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BacLigtht 키트를 이용하여 염색 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생균과 사균의 세포수를 평가하였다. 이중코팅 된 균주 혼합물의 경우 코팅이 되지 않은 균주 혼합물 보다 산, 담즙 내성이 더 높았으며, 열 안전성 또한 코팅 되지 않은 균주 혼합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들로 이중코팅 기술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안정성 및 섭취 후 위장관 트랙을 통과하는 동안 균주의 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obiotics have been reported to benefit human health by modulating immunity, lowering cholesterol, improving lactose tolerance, and preventing some cancer. Once ingested, probiotic microorganisms have to survive harsh conditions such as low pH, protease-rich condition, and bile salts during their passage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colonize and proliferate to exert their probiotic effects. The dual coating technology, by which the bacteria are doubly coated with peptides and polysaccharides in consecutive order, was developed to protect the ingested bacteria from the harsh condition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viable stability of a doubly coated blend of four species of Bifidobacterium by comparing its bile/acid resistance and heat viability in vitro with that of the non-coated blend. After challenges with acid, bile salts, heat, and viable cell counts (VVCs) of the dual coated and non-coated blend were determined by cultivation on agar plates or flow cytometric measurement after being stain with the BacLigtht kit$^{T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ual coated blend was much higher resistant to the acidic or bile salt condition than the non-coated blend and heat viability was also higher, indicating that the dual coating can improve the survival of probiotic bacteria during their transit through the GI tract after consumption.

      • KCI등재

        대졸자 특성과 취업 소요기간

        강주연(Jooyeon Kang),오유(You Wu),김기승(GiSeung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産業關係硏究 Vol.25 No.2

        본 논문은 Kaplan-Meier(1958) 생존함수와 Cox 비례헤저드 모형(1972)을 이용하여 대졸자의 특성과 취업 소요기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과 혼인여부가 취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며 이 영향의 크기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펙으로 일컫는 인적자본들 다수가 취업 소요기간을 단축시켰는데, 특히 직업훈련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편적인 스펙보다 향후 진로와 직접적 연관성이 큰 스펙으로의 투자를 독려하여야 하며, 취업시장의 공정성 확립을 위해 개인 인적특성 고려를 지양하는 사회적 풍조가 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college graduate’s characteristics regarded as a key to succeed in employment have actually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To analyze, we use Kaplan-Meier model(1958) and Cox regression(1972).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the human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influence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and those affects appears differently based on gender. Second, a lot of human capital factors such as GPA, certificates, OJT curtail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These findings show that we need to establish fairness of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acknowledge the effects of paper qualifications.

      •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Crossbar Array Architecture의 읽기 기준 전압과 Array 사이즈에 따른 누설전류 및 소비전력 분석

        강주연(Ju-Yeon Kang),한태희(Tae-Hee Han)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Due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era, the importance and demand for memory is increasing. DRAM, which is a conventional volatile memory, has advantages of high speed but it is not suitable for next generation memory technology because of increase of power consumption which come from periodic refresh and limited density. Nonvolatile memory is suitable for deep learning with high dens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 cross-point array architecture is also proposed to minimize F-square size,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expandability due to sneak current.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value of the leakag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read voltage and the total resistance value of the leakage current with respect to the crossbar array size.

      • KCI등재
      • OC-SVM기반 탑승자 칵핏모듈 충돌 상해위험도 예측알고리즘 연구

        강주연(Juyeon Kang),이동현(Donghyun Lee),박성근(Seongkeun Park),한창민(Changmin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논문에서는 칵핏모듈과 탑승자 충돌에 따른 상해위험도 예측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상해위험도는 충돌 충격 값 ‘64G’를 기준 값으로 정하고, 64G미만은 상해위험도 ‘보통’, 64G 이상은 ‘위험’으로 구분한다. 상해위험도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은 OC-SVM을 선정하였으며, 영상데이터 3종류(A/L/T Section)와 수치 데이터 2종류(충격 속도, 충격 각도)를 Concatenation연산 후 OC-SVM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활용된다. 영상데이터의 경우 InceptionResNetV2[2]의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부분만 추출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Concatenation연산 전에 영상데이터 내부 특징 추출 과정을 진행한다. 제안한 예측 알고리즘은 테스트 데이터 선정 방법에 따라 (1) 40차종 중 19차종 선정, (2) K개의 데이터 선정, 총 2가지 경우를 기반으로 성능을 검증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 활동을 통한 교사 전문성 변화 양상

        강주연(Kang, Ju-Yeon),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생존기, 적응기, 성숙기의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 활동을 통하여 교사의 전문성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D지역의 공,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생존기(0~1년) 교사 4명, 적응기(2~4년) 교사 4명, 성숙기(5년 이상) 교사 4명 총 12명을 선정하였고,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10주간 16차시에 걸쳐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존기 교사의 경우 원장 및 원감 선생님의 지도, 조언을 통한 구체적, 실제적 지원을 바탕으로 한 협력적 자기장학의 실시로 ‘교사 되어가기’의 여정을 보였다. 적응기 교사의 경우 문제점을 스스로 찾아 해결점을 모색해나가는 적극적인 자기장학의 실시로 ‘보다 유능한 교사 되어가기’의 여정을 보였으며, 성숙기 교사는 지속적인 자기반성으로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는 자율적, 독립적 자기장학의 실시로 ‘반성적 실천가 되어가기’의 여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자기장학의 실시가 교사의 전문적 역량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self-supervi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of survival, adaptation, and maturi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teachers were selected as following: 4 survival teachers(0~1year), 4 adaptation teachers(2~4years) and 4 maturity teachers (over 5 years), and self-supervi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were conducted over 16 times during 10 weeks period from May to July,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survival teachers, they showed the journey of ‘becoming a teacher’ by executing a cooperative self-supervision based on specific and practical support through guidance and advice from principal and vice-principals. The adaptation teachers showed the journey of ‘becoming more competent teacher" through active self-supervision finding out problems oneself and search for solutions. As for maturity teachers, they showed the journey of "becoming a reflective practice" by self-regulating and independent self-supervision, aiming to enhance professionalism through continuous self-ref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mplementation of self-supervisio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will bring positive change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젊은 세대(아동, 청소년, 청년) 관련 언론 보도의 비판적 담론 분석: 1980-2019

        강주연 ( Joo Yeon Kang ),이광호 ( Kwang Ho Lee ),송민경 ( Min Kyoung Song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젊은 세대를 지칭하는 용어인 아동, 청소년, 청년이 언론 보도 내에서 사회 통념상 어떠한 의미와 이미지를 가지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결합하여 아동, 청소년, 청년 관련 언론 데이터상의 담론과 맥락을 확인하고 실제 사회현상과의 연결점을 고찰하였다. 데이터는 1980년부터 2019년까지 아동, 청소년, 청년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기사 제목과 요약문 364,604건을 활용하였으며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담론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에서는 젊은 세대에 대해 ‘연령’이 아닌 ‘상황’을 기준으로 아동, 청소년, 청년이라는 용어를 선택했다. 둘째, 아동, 청소년, 청년을 정확하게 관통하고 있는 사회적 지원영역은 ‘교육’이었으며 한국사회에서 젊은 세대의 모습은 교육을 통해 ‘길러져야 하는 존재’로 나타났다. 셋째, 40년간의 언론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젊은 세대의 종합적 이미지는 ‘의존에서 자립 준비 단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동이 가지는 종합적 이미지는 ‘보호와 돌봄의 존재’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청소년은 ‘문제와 참여의 이중적 존재’였다. 청년의 경우 ‘의존과 자립의 이중적 존재’였다. 결론적으로 아동, 청소년, 청년은 각각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결국엔 생애주기의 전반을 살아가는 존재이기에 이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젊은 세대의 사회 통념적 의미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젊은 세대에 관한 혼란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image of the terms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referred to as the young people of our society in media reports under social norms. To this end, text mining and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combined to identify the discourse and context of media data related to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and connect them to actual social phenomena.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364,604 articles and abstracts from 1980 to 2019 containing terms such as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from Chosun Ilbo, Dong-A IIbo, Kyunghyang Shinmun, and the Hank yoreh before the discourse was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 used the term, young people which refers to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based on the “situations” rather than “age.” Second, the area of support that precisely discerned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was “education.” It appeared that in our society, young people are often regarded as “beings to be nurtured.” Third, the comprehensive image of young people includes “beings in the preparation stage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media data accumulated for about 40 years. Specifically, children appeared as “beings of protection and care,” youths appeared as “beings of the duality of problem and participation,” and early adults appeared as a “dual existence of dependence and independence.” In conclusion, children, youths, and early adults have their own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live the first half of their lives. That explains why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help them grow. Based on the conventional meaning and image of young people found in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iscussion to find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