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캔틸레버보의 형상비에 따른 1차원 보와 2차원 평면응력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비교

        강유진,심지수,조해성,신상준,Kang, Yoo-Jin,Sim, Ji-Soo,Cho, Hae-Sung,Shin, Sang-Jo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8 No.5

        항공기는 목적에 따라서 민간 항공기, 무인항공기, 전투기, 헬리콥터 등 다양한 항공기가 존재한다. 이 각각의 항공기는 특정한 목적에 맞게 형상 및 설계가 된다. 특히 항공기 개발과정에서 중요한 해석과정 중 하나가 구조해석이다. 하지만 항공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3차원 모델로 구조해석을 하게 되면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해석 효율성을 위해서 1차원 등가 보나 2차원 평면 응력 조건을 이용하여 실제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모델링한다. 하지만 이런 모델링은 실제 구조와 차이가 있으므로 실제 구조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조형태에 따라서 1차원 등가 보와 2차원 평면응력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EDISON에 업로드 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차원 구조해석과 2차원 구조해석을 검증하고 구조형태에 따라서 1차원 해석과 2차원 해석을 각각 3차원 MSC NASTRAN 구조해석과 비교하여 적절한 해석방법을 찾고자 한다. 비교결과 길이 대 높이 비가 증가할수록 1차원 해석과 3차원 해석의 오차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이 비율이 18보다 증가하였을 때는 1차원 해석이 2차원 해석보다 3차원 해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There exist different kinds of aircrafts, such as conventional airplane, rotorcraft, fighte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heir shape and feature are dependent upon their own assigned mission. One of the fundamental analyses performed during the aircraft design is the structural analysis. It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requires severe computations because of the recent complex trends in aircraft structure. In order for efficiency in the structural analysis, a simplified approach, such as equivalent beam or plate model, is preferred. However, it is not clear which analysis will be appropriate to analyze the realistic configuration, such as an aircraft wing, i.e., between an equivalent beam and plat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limitation for both the one-dimensional beam analysis and the two-dimensional plate theory. Thus, in this paper, the static structural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EDISON solvers were compared with the three-dimensional results obtained from MSC NASTRAN. Before that, EDISON program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from MSC NASTRAN program and other analytic solution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과학교육 기반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프로그램 실천 교사들의 이해 분석

        강유진,박지훈,박종석,남정희,Kang, Eugene,Park, Jihun,Park, Jongseok,Nam, Jeonghee 대한화학회 2021 대한화학회지 Vol.65 No.2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평가, 경쟁적 분위기, 과중한 업무, 시간 부족의 이유로 인성교육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로 인성교육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없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과학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제안점을 논의하는 연구가 흔치 않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그 효과가 논의된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한 교사들의 실천에 대한 것이다. 과학 수업에 CoProC 프로그램을 적용한 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CoProC 프로그램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성역량 성취도와 교사들의 두차례 인터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일반 교직 경력보다는 CoProC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개발, 수업 경험이 학생의 인성역량 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CoProC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수업에서 어려움, 평가, 피드백에 영향을 미친다. Scien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recognize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feeling difficulties such as evaluation methods, mood of competition, extra work and lack of time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based on answers from science teachers not experiencing character education. As a rare study of teacher experiencing, previous researches didn't fully address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about adop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classrooms. This study is about teacher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on site with the CoProC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program in science classes with which other previous studies shed new light. Five teachers, adapting the CoProC program in their science classes, participated in two interviews, sharing their student achievement in character education. Results showed that student achievement was high when their teacher had experienced th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classes of CoProC rather than their normal teaching career. Teacher recognition on the aims of CoProC influenced difficulties, evaluation, and feedback.

      • KCI등재

        지역주민의 애착도가 관광개발영향인식, 혜택,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폐특법 대상지인 강원도 남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신동주 ( Dong Ju Shin ),강유진 ( Yu Jin K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역개발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중인 강원도 폐광지역 주민의 지역애착도와 관광개발영향인식, 혜택, 지지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대상지역인 정선군,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은 지역 애착도는 관광개발영향인식의 경제적 긍정과 부정, 사회적 긍정, 환경적 긍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부정과 환경적 부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관광개발영향인식의 경제적 긍정과 환경적 긍정은 혜택에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나 경제적 부정과 환경적 부정은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긍정과 부정은 혜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혜택은 지지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감정적, 기능적 가치 모두는 동기와 만족 간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임을 시사해준다. 그리고 폐특법에 의해서 대체산업으로 관광개발이 이루어지는 강원도 남부의 지역주민들은 특히 경제적 영향에 매우 민감하며 관광개발의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만 혜택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혜택을 통해서 크게 지지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강원도 남부 폐광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지만, 할당표본을 하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4개 지역의 할당표본을 통해 지역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fluence of residents`` local attachment that affects recognition, benefits, and support of tourism development explicitl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ets theoretical basis of local attachments, recognition, benefit, and support with related literature research. With this method, it sets the research models, the hypotheses, and empirical analyses of survey of Kang-won southern local residents of abandoned mine areas. This study sets three hypotheses. First, ``Residents`` attachment in abandoned mine areas will make an influence for an recognition of development of tourism.`` Second, ``Residents`` attachment in abandoned mine areas will make an influence for the benefit of development.`` Finally, ``Residents`` attachment in abandoned mine areas will make an influence for the support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local residents`` 3 kinds of attachments such as identity, dependance, and social familiarity, partly made an influence for positive social and cultural recognition through the hypothesis I. In hypothesis II, and III, the fact that the attachments make an influence for the benefits of development and support, was shown. Through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from other precedent studies for relationships between local attachments and development recogn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se differences might be caused by regional speciality that Special Law has been applied on this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relevant social phenomena in order to get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development in the local.

      • KCI등재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에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인생전환점, 삶의 맥락, 적용전략을 중심으로-

        강유진 ( Eu Jin Kang ),한경해 ( Gyoung Hae Ha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Korean elderly women in old age through examining their life trajectories. This study used personal narratives extracted from tape-recorded interviews of 13 elderly women and analyzed the key issues focused on life transitions in their subjective life experience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Korean elderly women have experienced several kinds of life transitions due to many other reasons, e.g. abandoning somepathways for wars or poverty. Their lives are fabrications of their inner and outer life worlds:self, family, and society. Also we have to understand their lives in such complicated life fabrications. Second, Korean elderly women`s life courses revealed elderly women`s abilities to adapt to their environments and overcome adversities. The alteration process, the self endeavor to reconcile the present with the past may help some informants to overcome their harsh environments and adapt themselves successfully to their old age. These results show that life in old age is founded on the continuum that link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on this continuum the elderly interact with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 KCI등재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강유진(Yoojean Kang)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1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 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parents providing daily care to their grandchildren. More focus on the role of various mediators such as caregiving perception and resources were given to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between providing care and psychological function. I us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2008 Korean National Survey of Welfare Need in the Elder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circumstances of caregiving. Grandparents who cared their grandchildren on behalf of dual career parents emerged predominantly from them.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ype of caregiving was related to external factors. Grandparents shouldering greater responsibility for their grandchildren showed lower levels of resources such as financial conditions and social support, an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caregiving, which in tum was associated with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more financial resource and neighborhood support directly influenc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caregiving. To enhance resources and empower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community-based intervening mechanism incorporating various environments and effective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grandparents should be discuss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 및 인성의 구인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강유진 ( Eugene Kang ),전란영 ( Ranyeong Jeon ),김지나 ( Jina Kim ),김희화 ( Heehwa Kim ),박종석 ( Jongseok Park ),손정우 ( Jeongwoo Son ),조혜숙 ( Hyesook Cho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4

        인성교육은 주로 도덕교과에서 교육하는 주제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최근에는 다른 교과에서도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과학교과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과학교과 고유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이나 인성구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 과학교과 전공 대학교수, 및 연구소 연구원을 포함한 과학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서 인성의 필요성 및 인성 구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문가들은 과학자들의 활동에 내재된 인성, 학교현장의 요구, 탐구적 지식 습득을 위해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인성의 도덕교육적 측면과 시민교육적 측면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본질적 인성의 구인 4가지(정직, 공감, 관용, 자아존중), 실천적 인성의 구인 7가지(개인적 차원; 성실, 책임, 자기조절: 사회적 차원; 배려, 개방성, 소통, 협력)를 제시하였는데,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과 중요도를 인정받았다. Recently it has been claimed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pplied not only in ethics but also in other disciplines including science education. With several attempts at character education in previous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he examination of its requisite and components is need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cessity and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to be improved upon in science class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focus interviews of expert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researchers. They recognize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dopted in science education with three backgrounds: scientist activities,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and inquiry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class are comprised of four essential character elements including honesty, sympathy, tolerance, and self-esteem, and seven practical character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personal qualities: sincerity, responsibility, and self-control and social qualities: consideration, opennes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ir validity and importance are accepted by experts.

      • KCI등재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한 정량적 홍수피해 평가

        강유진(Kang,Yu Jin),왕원준(Wang,Won-joon),이하늘(Lee,Haneul),김경탁(Kim,Kyung Tak),김수전(Kim,Soojun),김형수(Kim,Hung So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우리나라는 매년 태풍과 호우 등에 따른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이로 인해 도심지의 인명;재산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홍수피해 규모를 저감하기 위해서 한정된 예산에서 효율적으로 재난관리를 하기 위한 일환으로 치수사업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 기법(이하 다차원법)을 사용하여 태풍 차바로 인한 울산광역시 침수 피해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다차원법에 적용되는 토지피복도는 자료의 해상도;갱신주기 등과 관련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내 및 국외 연구사례를 살펴본 결과;홍수 관련 분야에서 격자자료가 활용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공간분석자료인 도로명주소 전자지도;100 × 100 m 격자단위 공간분석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한 경제성분석 결과를 기존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서 격자자료의 경우에는 중심점 방식과 면적비 방식으로 적용하여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격자자료(중심점 방식)가 경제성 분석에 적합한 공간분석자료임을 확인하였다. In Korea;flood damage occurs every year due to typhoons and heavy rains;resulting in increasing damage to human lives and properties in urban areas. To reduce the scale of flood damage;economic analyses of flood-control work are conducted as part of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 limited budget. In this study;a quantitative evaluation of flood damage in Ulsan due to Typhoon Chaba was conducted using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D-FDA). However;the land cover map applied to MD-FDA has limited data resolution and update intervals. Exam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cases to complement these spatial analysis data showed that grid data were being used in disaster-related field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grid data are suitable for quantitative assessment through economic analyses conducted using new spatial analysis data such as road name address digital maps and 100 × 100 m grid-based spatial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enter-point-method grid data constitute spatial analysis data suitable for economic analysis.

      • KCI등재

        비대면 실험실습 수업 경험과 비대면 상호작용 경험의 현상학적 분석 : 공과대학 신입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강유진(Kang, Eugene)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to explore the online distance experiments and interaction of engineering freshmen, and to identify practical difficulties, resulting in to derive implications. Seven freshmen from engineering colleg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of which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he types of non-face-to-face experi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were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mixed face-to-face experiment, and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Students were completely isolated in time and space in complete non-face-to-face experiment. In biweekly mixed face-to-faceexperiment, isolation was halved. In fusion face-to-face experiment, isolation was removed. Non-face-to-face interactions can be characterized by restrictions on simultaneous activities, on rapport formation, and on observa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allow students to manage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 their own in non-face-to-face experiments. Second, support is need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forming rappor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on-face-to-face interaction. Third,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 stud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

        강유진 ( Kang¸ Eugene ),정도준 ( Jeong¸ Dojun ),박지훈 ( Park¸ Jihun ),김지나 ( Kim¸ Jina ),박종석 ( Park¸ Jongseok ),남정희 ( Nam¸ Jeonghee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4

        COVID-19 팬데믹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 시스템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다. 준비 없는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로 볼 때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교육의 목표와 방법, 과학탐구활동을 포함한 비대면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와 초등교사의 대응, 비대면 수업 경험 후 비대면수업의 장단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과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포함하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시행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53명)와 포커스 인터뷰(9명)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3가지 결론과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에 따라 일방향 강의와 쌍방향 강의를 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조사나 토론 등 강의 외의 수업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탐구활동의 어려움으로 현장 피드백의 어려움, 준비물 확보의 어려움, 안전 확보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개인 실험을 위한 실험 꾸러미와 실험 영상을 제공하고 온라인에서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협동적 논의와 피드백을 통해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의 장점으로 IT 기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가능하고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단점으로는 탐구활동이나 협동학습과 같은 대면 기반 수업이 어렵고, 학생의 이해 정도를 알 수 없어서 피드백이 어려우며,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어렵고, 학습 격차가 벌어진다고 인식하였다.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education systems worldwide, including in Korea. Due to COVID-19’s social distancing policies, the education system was suddenly switched to distance learning, resulting in many problems in primary schools without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education techniques, responses to issues in science classes, including inquiry activiti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roles after experiencing distance learning. Survey and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d previously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such as online content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The study findings showed three conclusions: 1) Prim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one-way and interactive lectures in online classes. It is vital to improve a teacher’s digital literacy to improve other teaching methods such as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in online classes. 2) Prim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the challenges of field feedback, inquiry item preparations, and safety in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classes, by providing individual experimental packages and videos and using online discussion and feedback among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3) Prim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various types of classes using IT device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were possible as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As for disadvantages, it was acknowledged that inquiry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immediate feedback, and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challenging. Furthermore, learning gaps were wider in distan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