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원석(WonSeok Kang),황도삼(Dosam Hwa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최근 각종의 기계번역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만족할 만한 번역결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영기계번역 시스템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 상용화 시스템으로의 개발은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수작업으로 번역할 때, 번역하려는 문과 유사한 번역예문을 참고하게 되면 번역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번역하고자하는 문과 문형이 유사한 예문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한영 번역지원 시스템을 제시한다. 유사예문을 검색하는 방법으로는 문형조회 검색법과 2문자 인덱스를 이용한 문자조회 검색 법을 제시한다.
Wonseok Kang(강원석),Woocheol Kim(김우철)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일학습병행제의 관점에서 실시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각각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증가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고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등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증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학습근로자 340명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일학습병행제를 통해 받은 교육훈련에 대한 학습근로자들의 만족감이 업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통해 실시한 교육훈련에 대한 학습근로자들의 만족감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통한 업무몰입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근로자의 교육훈련 만족도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raining,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from the various aspects of the work and learning in a dual system. The study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work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rough the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 ) effect on the work engagement, and sta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prov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ork engagement resulted from the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which also mad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the work engagement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raining and train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learning worker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 ) effect. In conclusion, this paper presen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and also stated suggestions regarding future research.
Wonseok Kang(강원석)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1
본 논문은 게임이론으로 구성한 두 기업의 R&D경쟁을 특허획득의 확률적 모델로 재구성하고 두 기업의 특허획득확률 및 모방가능성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두 경쟁기업의 기대수익 및 R&D인센티브 변화를 시나리오별로 구분하여, 대칭 및 비대칭 R&D경쟁환경에서 기업들에게 각각 유리한 경쟁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칭 및 비대칭 R&D 경쟁모델을 비교한 결과, 시장 내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는 기업은 대칭 R&D 투자 환경에서 더 큰 R&D 인센티브를 갖는 반면, 열세에 있는 기업은 특허획득과 무관하게 비대칭 R&D투자환경에서 더 큰 R&D 인센티브를 갖으므로, 전략적으로 비대칭 R&D경쟁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In this paper, we reconstructed the R&D competition of two firms into a probabilistic model of patent acquisition using game theory, and we conducted sensitivity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probability of the firm’s patent acquisition and the change in the probability of imit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expected profit of the two competing firms and the change in the R&D incentives by scenario, proposing an advantageous competition strategy for each firm that is competing in a symmetric or an asymmetric R&D environment.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the symmetric R&D competition model and the asymmetric R&D competition model shows that the firm with a comparative advantage has a higher incentive to invest in R&D in a symmetric R&D environment, and a symmetric R&D investment would put them in an advantageous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ms without a comparative advantage would have a higher incentive to invest in an asymmetric R&D investment model regardless of the probability of patent acquisition, which makes them strategically advantageous to engage in an asymmetric R&D competition.
리더십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최근 10년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강원석 ( Kang Wonseok ),김지영 ( Kim Jiyoung ),김우철 ( Kim Woocheol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1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리더십은 부하직원에게 일에 대한 의미와 안정성, 가용성 등을 제공함으로써 업무몰입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업무몰입의 선행요인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리더십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축적된 연구와 이들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리더십별 업무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제한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리더십과 업무몰입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업무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메타분석에 활용 가능한 5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업무몰입에 큰 효과 크기를 가지는 리더십은 셀프 리더십, 진정성 리더십, 임파워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이 도출되었고, 감성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은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Various leadership is regarded as important precursor of work engagement by offering the meaning of work, safety and availability to the subordinate in a complex environment. Accordingly,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increase rapidly. However,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is needed.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leadership affect to engagement most. 108 research have conducted to examine the leadership-engagement relationship in South Korea and 53 research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self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revealed large effect size. Second, emo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ethic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showed that middle effect siz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research/pract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