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암환자의 신체 증상들과 정신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경제적 돌봄 요구도

        강명희,문영실,이영준,강윤식,김훈구,이경원,이원섭,강정훈,Kang, Myung Hee,Moon, Young Sil,Lee, Young Joon,Kang, Yoon Sik,Kim, Hoon Gu,Lee, Gyeong Won,Lee, Won Sup,Kang, Jung H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국내에서 재가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암환자들의 증상정도와 돌봄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진주시 재가암 서비스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은 보건소에 소속된 간호사들이 시행하였다. 증상의 평가를 위해 Edmontone Symptome Assessment System (ESAS)와 Numeric Rating Scale (NRS)가 사용되었으며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도의 평가를 위해 4점 Likert scale이 사용되었다. 결과: 2013년 10월에 단면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9명이 등록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5세였다(범위 17~89세). 대다수의 환자들이 초기에 진단 받았으며(n=188), 19명만이 진행된 병기였다. 절반 이상의 환자들이 혼자 거주하고 있었으며(n=115, 55%), 다른 보호자가 없이 스스로 돌보고 있었다(n=128, 61.2%). 식욕부진과 피로가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NRS 중앙값 각각 5, 4). 환자들은 경제적 문제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반면 영적인 돌봄이 가장 적게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n=138 [67.3%] vs. n=128 [62.1%]). 결론: 이 자료는 진주시 재가암환자들이 신체적 증상과 경제적 문제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ymptoms and care need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in Korea and to add to the scarce literature on this top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subscribed to home-based cancer care services in Jinju.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nurses at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with a numeric rating scale (NRS) was used to identify symptoms, and a four-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assess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needs. Results: Cross-sectional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13. A total of 209 patients participated and their median age was 65 years (range, 17~89 years). Most patients were diagnosed in the early stage of cancer (n=188); only 19 patients were diagnosed in the advanced stage. More than half the patients lived alone (n=115, 55.0%) and took care of themselves (n=128, 61.2%). Anorexia and fatigue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median NRS, 5 and 4, respectively). Patients needed economic support the most, whereas spiritual care was least needed (n=138 [67.3%] vs. n=128 [62.1%], respectively). Conclusion: Patients who signed up for home-based cancer care services in Jinju are struggling with a financial issue and physical symptoms. A customized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me-based care services.

      • KCI등재

        형용사 조어형태소-IOS

        강명희,Kang Myoung Heui 한국독어학회 2004 독어학 Vol.9 No.-

        Im $gegew\"{a}rtigen$ Deutschen gibt es zwei verschiedene Auffassungen $\"{u}ber$ das adjektivische Wortbildungsmorphem -Ios. $W\"{a}hrend$ -Ios einerseits als Halbsuffix betrachtet wird, will man es andererseits als Suffix betrachten. Die $Gr\"{u}nde$, die -Ios als Halbsuffix gelten lassen, sind die folgenden : 1. Es besteht eine semantische Verwandtschaft zwischen -Ios und dem freien Morphem Ios. 2. Anders als Suffix hat es ein $zus\"{a}tzliches$ semantisches Merkmal. 3. Die Bildungen mit -Ios haben die Fugenelemente. 4. Es konkurriert mit adjektivischen Halbsuffixen. Die $Gr\"{u}nde$, die -Ios als Suffix gelten lassen, sind die folgenden: 1. Im Unterschied zu -frei und -leer dient es zur wertungsneutralen Feststellung des Sachverhalts 'Nichtvorhandensein'. 2. Es besitzt eine einheitliche semantische Funktion. (BS+ -Ios = ohne BS) 3. Es $geh\"{o}rt$ zur Lautstruktur 'KVK'. Diese entspricht der Lautstruktur der adjektiven Suffixe -bar, -lich. -sam usw. Diese verschiedenen Merkmale von -Ios lassen das Morphem noch nicht als Suffix gelten.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사용자 인증 및 접근제어 모델

        강명희,유황빈,Kang Myung-Hee,Ryou Hwang-Bi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4

        모바일 디바이스, PDA 센서들의 확산은 실생활 공간이 지능적이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공간으로 전환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보안문제 특히 적절한 인증 및 접근 제어 기술의 부재로 말미암아, 실생활에서의 이러한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에 있어, 방해 요소가 되고 있으며, 또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보안 대책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장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위한 익명성이 보장되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제안 모델은 공개키 암호 기술이 아닌 MAC 기반의 익명 인증서와 보안 연계 토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컴퓨팅 연산 능력이 컴퓨팅 연산 능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모델이다. 또한 암호 연산 처리 측면에서, Kerberos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PDAs and sensors has enabled the construction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ransforming regular physical spaces into 'Smart space' augmented with intelligence and enhanced with services. However, the deployment of this computing paradigm in real-life is disturbed by poor security, particularly, the lack of prop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techniques. Also, it is very important not only to find security measures but also to preserve user privac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el with anonymity for the privacy-preserving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Our model is suitable for distributed environments with the computational constrained devices by using MAC-based anonymous certificate and security association token instead of using Public key encryption technique. And our Proposed Protocol is better than Kerberos system in sense of cryptographic computation processing.

      • KCI등재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에 대한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장지은,윤성혜,Kang, Myunghee,Jang, JeeEun,Yoon, Seonghy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1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통합하여 의미 있고 창의적인 산출물을 개발함으로써, 과학적 탐구 태도를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육의 형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주요 학습성과 변인으로 거론되는 과학적 탐구 태도를 교육성과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변인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인 영재교육프로그램 참가자 64명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경험과 학습몰입은 교육성과인 과학적 탐구 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은 과학경험과 과학적 탐구 태도, 교육지원과 과학적 탐구 태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 향상을 위해 과학경험 기회의 제공, 긍정적 교육지원의 필요, 학습몰입 촉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as the emerging field, is a form of education that helps learners to develop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by developing meaningful and creative output through the integr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elements. Based on the literature, the authors of the study used science experience,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as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outcome variable which is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The authors collected data from 64 fourth and sixth graders who studied physical computing at an institu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Korea and then analyzed the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science experience and learning flow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In addition, learning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xperience an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upport an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propose that to promote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i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for improving science experience,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in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전문분야와 교수경험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이수지,김민정,김민지,Kang, MyungHee,Lee, SuJie,Kim, MinJeong,Kim, MinJi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1 의학교육논단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tors' domain and teaching expertise on learning outcomes in a problem based learning (PBL) environment. Four tutors and 25 first-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utors' domain expertise was classified by clinical or non-clinical which is basic medicine and teaching expertise by previous tutoring experiences or not.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tutors' domain expertise. Students grouped with an experienced clinical tutor attained higher achievement scores than those with an experienced non-clinical tutor, while those with an inexperienced non-clinical tutor attaine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both inexperienced clinical tutors and experienced non-clinical tutors. Students with clinical medicine tutors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scores than those with non-clinical medicine tutors. In particular, students grouped with an experienced clinical tutor gained higher satisfaction scores than those with inexperienced non-clinical tutors, and among the inexperienced tutors, students tutored by a clinical tutor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a non-clinical tutor. Different intervention styles were also found depending on tutors' domain and teaching expertise. Experienced tutors gradually reduced the tutoring intervention, whereas the novice provided more as the semester proceeded. Moreover, experts with a clinical medicine degree preferred direct teaching, whereas, non-clinical tutors preferred facilitating. Also, experienced tutors in the clinical medicine facilitated critical awareness than the other tutors.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program for novice tutors to improve PBL in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초기불교에 나타난 4무량심설의 유형별 분석 - 아함경 중심으로 -

        강명희(Kang, Myung-H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초기불교 4무량심설의 일반적인 유형은 마음을 시방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설정과 더불어 개인 마음의 선행적 해탈을 원칙으로 세우며, 자(mettā) ․ 비(karuṇā) ․ 희(muditā) ․ 사(upekkhā)의 점진적 마음을 무한대로 펼치는 무량심을 중시한다. 방향설정은 시방이 상징하는 모든 방향에 방사하는 것이며, 개인 마음의 해탈은 무결(無結), 무원(無怨), 무에(無恚), 무쟁(無諍)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일반 유형과 더불어 아함 중심으로 전반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첫째는 범천과 관련된 설이다. 아함은 붓다 당시에 4무량심을 닦아서 범천에 태어나는 여러 사례를 기술한다. 특히 4무량심과 결합한 범천설은 출가자보다는 재가자 위주의 수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는 해탈과 결합한 설이다. 4무량심은 6근이 6경을 만났을 때 수많은 경험에서 일어나는 마음을 해탈하는 수행법으로, 신념처의 수행법 범주에서 시설된다. 그동안 학계는 4무량심이 무량심해탈이라고 명명되는 점에 주목한 바 있는데, 중아함경 은 대심해탈과 무량심해탈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대심해탈은 대상에 대하여 마음의 크기를 키우는 의해(意解)를 중시하면서 설명되며, 무량심해탈은 4무량심의 일반적 유형으로 설명된다. 대심해탈에서 나타나는 의해의 마음은 아비달마와 유가행파에서 발전된 승해작의(勝解作意) 수행의 초기적 형태로 보인다. 셋째는 4선정과 결합한 설이다. 아함의 4무량심은 4선 다음에 기술되는 특징을 보인다. 제4선정의 우뻬카(upekkhā, 평정, 捨)가 획득되어야만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평등하게 구현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The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establishes principles similar to the direction setting through which the mind focuses on the outside and the pre-solution of on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emphasizes apramāṇa, which shows that gradual minds, lik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are directed to infinity of the outside. The direction setting intends to eradicate all 10 directions,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oneself include nonconclude(無結), nonhatred(無怨), nonwrath(無恚), and nonquarrel(無諍). By these two, Buddhist ascetics practic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endlessly. If we analyze general examples of Nikāyas and Āgamas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pramāṇas, as discussed above, we can arrang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first type is related to the world of Brahmā. Āgamas show that people living in the days of Buddha were born into the world of Brahmā by the practice of Four Apramāṇas. In particular, this type is described more in the examples of general people(lay) than the monk. The second type is examples related to vimutti. When six sensory organs meet six sensible objects, the Four Apramāṇas are explained to be delivered from, and explained as the practice of Kāyasmṛtyupasthāna. The fact that Four Apramāṇas is described as Apramāṇavimutti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while Mahacetovimutti and Apramāṇavimutti are explained discretely in Madhyamāgama (Zhong-ahanjing). Mahacetovimutti is explained as the action of Manasikara(意解), which develops the size of the mind. Apramāṇa-vimutti is explained as a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The mind of Manasikara of Mahacetovimutti is understood as the early type of the Manaskā ra practice and the Adhimukti practic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Yogācāra school. The third type is related to Catur Jhāna.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have a feature that they are described next to Catur Jhāna in both the Nikāyas and Āgamas, because when upekhā in the fourth Jhāna is removed, the mind can be realized to the object without distinction. Early Buddhist texts explain Four Apramāṇas between Catur Jhāna and Catur Arūpasamādhi.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are sometimes related to Catur Arūpasamādhi, but the examples are related to Buddhas students, not to Buddha himself.

      • KCI등재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 ( Kang Myoung-hee ),서현 ( Seo Hy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A시 K어린이집 2개 학급의 만 5세 유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5명)이며,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 16회의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생활주제와 관련한 미술활동을 평상시 그대로 실시하였다.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배윤진, 김현주(2009)가 수정하여 만든 ‘교사용 유아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채호와 최인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리더십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을 증진시켜주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 the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has on the personality and leadership of children aged five.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36 children aged five attending K child care center in A city.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each included 18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was selected and then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was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art activit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which was the same as the class method which had been used in K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personality, the children’s personality test instrument for teachers which Bae Yun-jin and Kim hyun-ju(2009)was used. In order to test children’s leadership, the children’s leadership test instrument for teachers developed by Lee Chae-ho and Choi In-su (2008) was used. In conclusion,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is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can be used in the child education field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 KCI등재

        팀 기반 학습성과에 대한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 사회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강명희 ( Kang Myunghee ),강민정 ( Kang Minjeng ),윤성혜 ( Yoon Seonghy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현대사회의 교육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진행하는 팀 기반 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팀 기반 학습성과인 인지된 성취도와 만족도의 향상에 영향을 줄 핵심 예측변인들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예측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 사회실재감이 예측 가능변인으로 선정되었고, 예측력 검증은 2016년 1학기 대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46명을 14개 팀으로 구성하여 진행된 팀 기반 학습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순 매개분석 등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성수용도와 사회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를, 사회실재감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실재감은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와 인지된 성취도, 다양성수용도, 학습정서와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팀 기반 학습에서 대학생들의 다양성수용도와 학습정서 향상을 위한 학습 과정 설계와 더불어 사회실재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촉진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Depending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aradigm, team-based learning is being actively applied in practice.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promoting team-based learning,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predict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Based on the literature, the study supposed openness to diversity, academic emotions and social presence as predict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46 students from 14 teams that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then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method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to diversity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Seco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satisfaction. Third, social presence mediated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learning outcomes (perceive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urth, social presence mediated between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results,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openness to diversity, academic emotions and social presence in instructional design are proposed.

      • KCI등재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계차별관의 유형과 특징

        강명희 ( Kang Myeo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유가사지론』 계차별관은 「성문지」 중심으로, 5문(門) 수행 즉 5정심관의 하나로 기술되며, 불교의 수많은 수행법 중 유일하게 자연환경을 일심(一心)의 수행으로 체계화한 것이 그 특징이다. 그러므로 계차별관은 자연명상을 통하여 심리를 치유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기제들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의 계차별관은 여타의 경론들과 비교해 볼 때, 체계적이고 다양한 유형들을 선보이고 있다. 첫째, 번뇌를 깨끗이 하는 정행소연(淨行所緣)의 하나로 계차별관이 기술된다. 『유가사지론』은 정행소연의 계차별관을 닦으면 `아만`의 번뇌심리를 치유할 수 있다고 한다. 둘째, 정행소연에 포함되는 5정심관은 모두 6종 위빠사나 즉 의미[義], 현상[事], 모습[相], 품류[品], 시간[時], 도리[道理]로써 심사(尋思)해야 한다고 하며, 6종 위빠사나의 형식은 계차별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유가사지론』 관법의 특징은 6종 위빠사나와 같이 다각도의 유기적 관법을 활용함에서 나타난다. 번뇌심리를 치유하는 단계에서는 하나의 위빠사나로 관찰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6종 위빠사나로 관찰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셋째, 계차별관은 가행(加行)과 함께 닦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때의 가행은 사마타의 정(定)과 삼매와 밀접하게 관계하며, 계차별관은 『유가사지론』의 9종가행 중 상응가행(相應加行)과 관습가행(串習加行)과 관계한다. 상응가행을 통하여 `아만`이라는 번뇌심리를 치유한다고 하며, 이때 소연에 합일해 나가는 삼매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상응가행 다음의 관습가행은 소연에 일치하려는 사마타와 삼매의 연습을 의미하는데, 『유가사지론』은 이로써 5개(蓋)를 끊어낼 수 있다고 한다. `아만` 번뇌심리를 치유하는 상응가행의 계차별관은 대승경전에서 이미 밝힌 수많은 대치법(對治法)의 계차별관 유형과 거의 일치한다. 넷째, 『유가사지론』의 계차별관은 유가사(瑜伽師)의 3단계 중 처음 업을 닦는 자[初修業者]의 수행이라고 국한한다. 처음 업을 닦는 자가 닦는 계차별관은 내외(內外)의 6계관찰을 승해심소로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확대되는 과정에는 유정 뿐 아니라 비유정에게도 적용되며, 계차별관의 내외관찰 중 처음의 관찰순서는 드넓은 자연을 포괄하는 외계(外界)로부터 출발해야 함을 주장한다. Dhatu-prabheda-smrti(界差別觀) is explained as one of the five gates practice(五門修行), that is to say,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心觀) in sravakabhumi(聲聞地) of Yogacarabhumi-sastra. In many buddhist practices, Only dhatu-prabheda-smrti systematizes the natural environment as the practice of One Mind(一心). So we can say that dhatu-prabheda-smrti has many psychical healing mechanisms which use the natural environment. dhatu-prabheda-smrti is explained as 4 kinds of forms in Yogacarabhumi-sastra. The first, dhatu-prabheda-smrti as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which removes klesas is explained.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the practice of dhatu-prabheda-smrti as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can remove the klesa of ahamkara. The second,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The five types of mindfulness(五停 心觀) which is a part of Carita-visodhana-almabana(淨行所緣) should be contemplated as 6 kinds of vipasyana: meaning(의), phenomenon(事), figure(相), form(品), time(時), reason(道理). This is the distinct feature of organic meditations in Yogacarabhumisastra. Yogacarabhumi-sastra explains that, in the step that removes klesas, we should contemplate using not one vipasyana but all 6 kinds of vipasyana. The third, Yogacarabhumi-sastra says that dhatu-prabheda-smrti should be practiced together with prayoga which means dhyana and samadhi here. The process of samadhi that unites practice objects along with each klesas is regarded as important in samyukta-prayoga(相應加行). The next thing, abhyasta-prayoga(串習加行) means the practice of samatha and samadhi for the unite with a object(所緣), can remove 5 kinds of Cover(五蓋). The practices suited to klesas is a kind of Dechibop(對治法), or the healing way suited to klesa of Mahayana buddhism. The fourth, dhatu-prabheda-smrti is limited to the practice of the beginner of practice (初修業者) among the three stages of Yogacarya(瑜伽師) The feature of dhatu-prabheda-smrti which the beginner of practice exercises is a enlargement to adhimoksa(勝解) of the contempl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內外) of six categories(六界). The process of a enlargement refers to not only living thing, also lifeless matter, and the first step of the contempl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is the outside world that includes a vast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 ( Myung Hee Kang ),김혜선 ( Hye Sun Kim ),이정민 ( Jeong Mi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1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은 현장 학교의 과학실험실 미비와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과학수업시수 축소에 따라 현실적으로 실행이 어려워진 과학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과학교육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의 부족은 실험실이 아닌 시뮬레이션으로 과학실험을 대체하는 것에 대한 과학교사들 결정을 지원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규명해 보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A 여자 중학교 1학년 학생 107명(실험집단 53명, 통제집단 54명)이었고, 실헙집단은 Gizmo라는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5주 동안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 강의식 과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습성과는 그래프 활용 능력과 학업성취도로 측정하였으며, 예측변인으로는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활용수업은 기존 과학수업에 비해 높은 학습성과를 창출하였고, 학습몰입은 인지적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결과는 웹 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의 학습성과에 대한 실증적 자료 제공과 더불어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이 높은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선정의 중요성을 제안하며,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설계자와 개발자는 학습몰입과 인지적실재감을 높여줄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recent times, web-based simulation games have been highlighted as a means of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som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instruction involve helping students develop powerful models so that they can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how effects of a web-based simulation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n our research, my colleagues and I use flow and cognitive pres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using graph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We selected 107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Korea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control group: 54, experimental group: 53).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lecture group and the web-based simulation group in post-graphing skills (F=13.74, p<.05). Second, as a result of our correlation analysi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low,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graphing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flow has an effect on graphing skills (ß=.44, p<.05) and cognitive presence (ß=.75, p<.05). Cognitive presence acts 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graphing skills (ß=.51, p<.05), however, flow has no influence on those skills (ß=.06, p>.05). Fourth, cognitive pres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Flow has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ß=.39, p<.05) and cognitive presence (ß= .75, p<.05). Based on these result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cognitive presence acts 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ß=.45, p<.05), however, flow has no influence on that achievement (ß=.05, p>.05). Therefore, these results support cognitive presence 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b-based simulations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flow and cognitive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