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수관망 시스템의 지진재해 복구 프로그램 개발

        강두선,유도근,김중훈,Kang. Doosun,Yoo. Do Guen,Kim. Joong Hoon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재해에 안전한 지역이라 확신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회기반시설인 상수관망 시스템의 지진재해에 대한 대응방안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지진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사전 보강 및 내진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자연재해를 완전히 대비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하면 재해가 발생한 이후에 상실된 시스템의 기능을 최대한 신속히 복구하는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발생 시 시스템의 신속한 대응 및 복원을 위한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한반도에 발생한 지진자료와 일본, 대만, 미국 등 해외에서 발생한 과거 지진피해 사례, 관련 데이터, 연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밀한 수리해석을 통해 지진발생 후 시간에 따른 시스템의 복구진행상황을 정량화하여 시간모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 모형은 재해발생에 따른 시스템의 상태를 Risk-free, Virtual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후 복구 측면에서의 시스템 복원력 증진을 도모하고 실무자들의 신속한 시스템 복구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복구순서 결정, 복구인력 및 장비 배치 등)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재해에 대비한 수자원 시스템의 지속가능성 및 복원성에 관한 연구

        강두선,김태웅,안재현,Kang. Doosun,Kim. Tae-Woong,Ahn. Jae-Hyu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예기치 않은 재해에 대비한 물 공급 수자원 시스템의 재해대비성에 대한 지표로서 시스템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복원성(resilience)을 (이후, S&R) 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물 공급 시스템을 크게 세 가지 규모(scale)로 구분하였는데, 1) 대규모 시스템은 수계 단위의 수자원 시스템을 의미하며, 2) 중규모 시스템은 권역별 상 하수 및 송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고, 마지막으로 3) 소규모 시스템은 지역별 물 배분 시스템을 의미한다. 제안된 정량화 지표를 간단한 수자원 시스템에 적용,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대규모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재해에 대비한 시스템의 기능 평가/검증 및 설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개념적으로만 소개되었던 지속가능성과 복원성에 대한 정량화된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기존 물 공급 시스템의 장래 지속가능성 검증, 재해 및 사고에 대한 복원가능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새로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는 최적화기법등의 목적함수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sets forth key concepts and advances working definitions for sustainable and resilient infrastructures (S&R-Infra), specifically for water systems. Three water infrastructure scales, such as large, medium, and small scales are considered,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by water resource system, regional water and wastewater infrastructure, and local water distribution system, respectively. All three scales are interconnected each other since water travels from sources to end users and returns the other way. This study is beneficial by suggesting indicators to evaluate system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against outer disturbances. After S&R definitions and potential indicators are provided, application examples are examined to demonstrate the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indicators. Applic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indices are useful for quantifying water system performance. While the approach is refined and applied to synthetic cases, it may be considered applicable to real-world systems as system performance indicators and/or system planning and design goals within an optimization framework.

      •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 비교

        강두선 ( Kang Doo Syen ),최종원 ( Choi Jong Wo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은 관계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처한 위치와 서로에 대한 인식이 달라 오히려 관계 악화라는 모순적 상황을 발생시킨다. 특히 고객 불만응대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을 대표하여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측면과 불만족한 고객을 일대일로 응대하면서 예상치못한 감정개입을 피할 수 없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을 모두 갖고 있어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와 상담사의 정확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현 상황을 이해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개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을 위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인식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커뮤니케이션 기술관련 변수를 고객센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여 각자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상대방은 어떻게 평가할 것으로 예측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는 상담사보다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소비자와 상담사는 서로의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소비자는 상담사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상담사는 소비자가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셋째, 상담사는 소비자의 평가를 정확하게 추측한 반면 소비자는 상담사의 인식을 정확히 예상하지 못했다. 소비자의 예상보다도 상담사는 스스로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소비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규범, 나르시시즘 순이었다. 스스로를 존중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일수록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또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 변수는 소비자의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주는 만큼 잘못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대한 평가도 객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대한 사전지식이 소비자의 평가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보다 주변사람이나 TV 또는 직접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가 소비자의 인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소비자와 상담사라는 문맥에서 검증하여 일반화 분야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나 상담사 연구에 있어 한 집단의 일방적인 시각만을 고려해온 기존 연구의 간극을 메꾸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의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와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Consumers and call center employees share the goal of improving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Ironically, however, the more they communicate, the worse their relationship is, due to the imbalanced power in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du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responding to the customer complaints make this situation worse. It is defined as public communication when call center workers deliver the messages based on the manual as a representative of a company. Yet, it can be claimed to be personal communication because call center employees experience unexpexted emotional intervention when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In this complex situation, it seems to be most important for improving relationship to accurately identify how call center communication is perceived from both perspectiv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which puts priority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for persuasion. By applying the variables of communication technique into call center communication, it will determine three aspects: 1)how they evaluate call center communication, 2)how much they perceive they will be different in evaluation, and 3)how well they predict each other`s percep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luating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n the two groups. Consumers show comparative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Seond, the two groups preceive their difference in evaluation. Consumers believe that call center workers will come up with higher scores in evaluation than theirs, while call center employees predict low scores from consumers. Third, call center workers predict consumers` perception well, while consumers do not accurately forecase the response from call center employees. Call center workers evalute themselves more positively than consumers perceive. Fourth,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 esteem, social norm and narcicism, affect consumers`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People who have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put more emphasis on other`s evaluation indicate more positive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Fifth, perceiv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consumers is influenced by those personal variables too. It means that more confident and norm-oriented consumers objectively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 prior knowledge of consumers complaining behavior explains more negative evaluation and bigger perceived gap between the two groups. Channels to earn information play a role in enhancing the differences. Offline word-of-mout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Academically, this study expands the generalizablity of co-orientation model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Practically, it bridges the gap of the extant literature that focuses on one-sided perspective when dealing with consumers or call center employees. The results will enable consumers, call center worke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establis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relationship.

      • KCI등재

        정보관리를 통한 의료기관-소비자 관계 수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의견선도성 개념을 중심으로

        강두선(Kang, Doo Syen),최누리(Choi, Nuri)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4

        매체의 다양화, 인터넷의 보급, 경쟁적 마케팅 활동 등으로 오늘날의 소비자는 늘어난 건강관련 정보만큼이나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시지 수신과 발신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전달하는 능동적 주체의 의견 선도성 개념에 주목하였다. 매스미디어와 소비자 사이의 단순한 매개자였던 의견 선도자들의 의견 선도성을 현대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과 유형화의 영향을 받는 미래 의도를 파악하여 의견 선도자들을 중심으로 의료기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인지된 의견 선도성과 정보탐색 효능감을 기준으로 네트워커, 구전정보 발신자, 조용한 탐색자, 비활성 공중으로 유형화하여 건강 정보 이용자들을 분류하였다. 먼저 거주지역, 교육수준, 성별에 따라 유형화 집단에 속하는 의료정보 이용자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일상에서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정도가 유형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매체 이용에 있어 비활성 공중과 비교했을 때 네트워커는 공공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모두를, 구전정보발신자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조용한 탐색자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히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의견 선도자에게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사교성도 검증되었다. 네트워커와 구전정보 발신자는 비활성 공중과 비교할 때 활발한 오프라인 활동에 참여하였다. 넷째, 온라인상에서도 구전정보 발신자 집단은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SNS에 방문하여 글을 남기는 등 비활성 공중보다 정보 교류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렇게 유형화된 집단은 미래의 의료기관 관련 선택 상황에서도 차이를 나타냈다. 의료기관 결정시 온라인상의 정보원, 홈페이지 구성항목, 의사결정 고려항목과 의료기관 주관의 오프라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도에서 집단 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활발한 메시지 전달자를 파악하여 그들을 통해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산하여 건강 담론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기관의 평판 관리 및 소비자와의 우호적 관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Due to media diversity, easy Internet access and aggressive marketing activities, modern consum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health information as much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s.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an opinion leader is now identified as an active agent of seek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while he/she played a role as a simple mediator between mass media and consumers in the past. Thus,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consumers from the opinion leadership perspective, identify the antecedents of the categorization, and measure future conceptual and behavioral responses. The findings showed tha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on seeking efficacy: networkers, word-of-mouth(WOM) information senders, quiet seekers and inactive public. First, residential location, education, gender and depression influenced who they were. Second, in terms of media use, networkers seek information through both of public and interpersonal media, WOM information senders through interpersonal media and quiet seekers through public media. Third, sociability, a conventional personality trait of opinion leaders, was examined. Networkers and WOM information senders were identified as active participants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work and health-related gatherings. Fourth, WOM information senders aggressively exchange information online using SNS. This classification have an impact on their future responses when facing a medical service choice. Each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iable online information source, appealing components on an official web-site of a medical service provide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a hospital. The results will be useful for health service providers to establish strategic communication plans for managing consumers' positive image toward them and build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 KCI우수등재

        스포츠 보도 노출과 선수 인지가 관광지로서의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두선(Doo Syen Kang)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1

        Consumers make purchase decisions based on perception rather than fact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consumers choose travel destinations, which often require more research and planning than making any other consumer purchases. Specifically organic image naturally created by the unbiased information, which is obtained by news, sports, documentaries and movies, plays more important roles in motivating consumers to travel than induced images created by inten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advertising and travel public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wareness, national image, and brand attitude, focusing on Yuna Kim’s outstanding performance at Vancouver 2010 Winter Olympics. The results show that media exposure to Yuna’s performance had a positive impact on change in the affective and symbolic national image of South Korea as well as the brand attitude toward South Korea as a travel destin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robust foundation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marketing PR plans to improve negative images and enhance positive images that may eventually encourage consumers to visit South Korea.

      • KCI등재

        위험지각태도모델을 활용한 음주 관련 인식 및 행동 유형화 연구

        강두선(Kang, Doo Syen),이은희(Lee, Eun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심각한 사회적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음주가 문화의 한 부분으로 관대히 용납되는 한국사회에서 절주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전한 음주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발판으로 절주캠페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효과적인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해 소비자의 음주관련 인식과 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보다 효율적인 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표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지각태도모델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세분화한 다음 음주와 관련 있는 변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교차 분석하여 목표 대상을 선별하고 이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다양한 건강관련 집단 세분화에 사용되는 위험지각태도모델이 음주 관련 소비자 분류에서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건강에 대한 위험지각이 절주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절주 효능감이 이러한 관계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음주에 대한 위험지각과 절주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교차하여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각 집단이 술과 관련된 인식과 행동(관여도, 음주 동기, 정보탐색, 음주량, 음주횟수) 및 인구통계학적 요인(성별, 나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음주로 인한 건강상의 위협은 느끼지만 절주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회피집단은 사회생활에서 음주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여 일회 음주량과 주간 음주횟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남으로서 캠페인의 핵심대상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세분화된 소비자 중 핵심 대상을 목표로 다양한 전략적 절주 캠페인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As drinking alcohol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ocial life and is even integrated into a part of culture in Korea, a variety of the widely recognized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drinking, such as liver cancer, drunk driving and domestic violence, are regarded as having a lesser priority in policy making and budget allocation, compared to a smoking-related problems. Under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the comprehensive PR campaigns appear to be the most appropriate communication tool for educating and encouraging people to reduce their alcohol consumption and establish the healthy drinking habi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llect systematic data for planning a strategic communication campaign by segmenting public with the framework of Risk Attitude Perception(RPA), identifying target audiences and determining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framework is applicable to segmentation of consumers based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risk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intention to refrain from drink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four groups divided with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show statistically different responses towards drinking-related lifestyle, like involvement, drinking motive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frequency, and amount of drinking. The results will aid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to identify their target audiences, develop persuasive messages, and determine efficient communication channels for the achievement of campaign goals. More implications for anti-drinking campaigns are discussed.

      • KCI등재

        기사 속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비교: 상호지향성모델을 중심으로

        강두선 ( Kang Doo Syen ),이유나 ( Lee Yoona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소비자의 서비스 만족과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맞물리며 소비자 불평행동에 대한 두 집단 간 인식의 간극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기업을 대표해 소비자 문제 해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콜센터 상담사들에게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불만족한 고객은 개선을 요구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부적절한 행동은 상담사들에게 상처를 남긴다. 소비자의 요구는 수용되고 해결되어야 하고 업무에 불만족한 상담사들은 이직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비용은 기업만의 몫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정확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일 주제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현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좀 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본이 될 것이다. 연구는 집단간 비교를 위해 소비자 상담이나 피해보상을 처리하는 상담사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중립적으로 조작된 기사를 바탕으로 기사 속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해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사에 나타난 소비자에 대한 객관적 평가는 다르게 나타났다. 상담사는 소비자보다 더 부정적으로 소비자를 평가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자신과 상대 집단 간에는 커다란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관적 인식의 차이는 소비자 집단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상담사는 소비자를 정확하게 추측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는 상담사를 실제보다 더욱 부정적으로 추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담사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외재적 통제주체, 업무상 느끼는 시간적 압박, 감정소진 등이 있었으며 제3자 효과도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사가 느끼는 소비자와의 주관적 인식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시간적 압박, 상사지원, 업무경력 등의 환경적 요소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연령, 연 가계소득, 상담 업무 분야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가전에 대한 불만행동을 다룬 기사였기 때문에 가전 분야 상담사들이 다른 분야 상담사들에 비해 소비자와의 인식 차이를 더욱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흥미롭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자와 상담사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Consumers and service workers appear to increase the differences in evaluating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The differences become more salient to call center workers who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customer service and emotional labor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mpany. In an increasingly service-oriented marketplace, call center workers should cope with entitled customers under the assumption of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This kind of imbalanced power creates psychological damage and intention to quit to call center workers. Companies seem to pay the cost inccured to solve customers` problems and replace quit workers. Yet, consumers will take up the cost at the end.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when evaluating the complaining consumer in a news article. It will be conducive to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planning for long-term relationship building to identify the current perceptional status of the two groups. Based on the co-orientation theory,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s the complaining customer shown in a newspaper article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The results indicate the three relationship of agreement, congruency and accuracy. First, each of the two groups`s beliefs actually do not agree with the other. The two groups evaluate the issue(i.e., complaining customer) very differently. Consumers perceive the customer more positively than call center workers do. Second, each group imagines the other`s interpretation of the issue and the two groups perceive they will disagree on the issue each other. However, the perceived level of disagreement is higher in the consumer group. Third, call center workers have an accurate perception of consumers` orientation toward the issue, while consumers do not have a correct estimate of call center workers` views. The paper als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ll center workers`` beliefs and their perceived disagreement with consumers. The findings show that locus of control, time pressure and burnout influence their perception towards the compalining customer. Call center workers also reveals the third-person effect that involves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n oneself, and the influence on others. They believe that their colleagues are more vulnerable to entitled customers. In addition, organizational factors rather than personal factors, such as time pressure and supervisor support affect their perceived gap between consumers and themselves in assessing the consumer`s behavior in the article. Demographics such as age, annual household income and work field, also partially explain their disagreement with consumers. Interestingly enough, call center workers dealing with claims of electronics and appliances appear to be more sensitive to the space between consumers and themselves, because the customer in the article is complaining of a smartphone.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 into what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need to do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communicating their views of the issue they coorient to reach the consensus and agre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