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학습목표 분석

        강대중,박행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unit,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analyzed 59 learning objectives of the unit of th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ceptual knowledge exceeded majority from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Subsequently meta-cognitive knowledge accounted for 40.0%, while there was no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ccounted for only 5.0%. Second, the item ‘Understand’ was shown the most common from ite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bsequently items ‘Create’, ‘Apply’, and ‘Remember’ followed in the order, while there was no learning objectives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item ‘Analyze’. Third,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sixth-grade practical arts, ‘My career’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rom two dimensions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was as follows.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and creating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eta-cognitive knowledge followed in the order. This showed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given too much importance for some criteria out of 24 analysis criteria in total. Therefore, the career education of the subject, practical arts, needs to increase the ratio of learning objectives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higher order thinking by requiring solutions rather than correct answers to a problem, and to open a training program that help raise the ability of a teacher so that one can reconfigure the learning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발전적인 진로교육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목표 59개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의 유형 중에서 개념적 지식 유형이 절반을 넘었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 유형이 40.0%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사실적 지식 유형은 없었고 절차적 지식 유형은 5.0%에 불과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의 유목 중에서 ‘이해하다’ 유목의 학습목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창안하다’, ‘적용하다’, ‘기억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분석하다’ 유목과 관련이 있는 학습목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체계에 따른 2009 개정 교육과정 실과 ‘나의 진로’ 단원의 학습목표를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 즉 이차원적 분류 관점에서 분류한 결과, 개념적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메타인지 지식을 ‘창안하다’, 메타인지 지식 유형을 ‘이해하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석 준거 24개중 소수의 분석 준거에 학습목표가 편중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실과 교과의 진로교육은 정답보다는 해답을 요구하는 다양한 고등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 비율을 높이고, 학습목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강대중,염시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practical art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was conducted in schools and to provide suggestion for future enhancement in performance assessment of practical arts. This study analyzed detailed assessment plans of practical arts gathered from 109 elementary schools in 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played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assessment plans by each domain, large-unit, and small-unit. Second, in the home economics domain, 5 plans were incorrect in using the 7th curriculum instead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technology domain, 24 plans incorrectly used the wrong curriculum. Third, this analysis revealed that for higher validity and reliability, detailed description of evaluation elements is needed. Fourth, the current evaluation standard, which consisted of three to four levels, was too abstract and vague and therefore, led to lower validity and reliability. Fifth,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lthough observation and performance tests were predominantly used for evaluation in practical arts, paper-and-pencil tests were the usual method of choice. Finally, some of the assessment plans were exactly the same in content, some even displaying the same typographical errors. For assessing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ffective traits of students, current performance assessmen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would require an enhanced environment adjusted for performance assessments. Moreover, this study displayed that a paradigm shift,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assessment performances as assessments for learning, would be necessary for future enhancement. 초등학교 실과는 실천적 학습과 실천적 수행을 강조하는 교과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6학년 수행평가 계획서가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계획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여 실과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G광역시 초등학교 109개교의 2014학년도 6학년 1학기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의 영역, 대단원, 소단원별로 수행평가 시행 계획의 편차가 매우 컸다. 둘째, 2014학년도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제7차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잘못 표기한 수행평가 계획서가 가정생활 영역에서 5개, 기술의 세계 영역에서 24개가 있었다. 셋째, 수행평가 계획서에 평가요소와 평가관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에게 수행평가의 신뢰성을 보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평가기준을 3단계 또는 4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수행평가의 평가기준, 즉 상, 중, 하에 대한 기술이 추상적이고 구분이 모호하여 수행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과 수행평가에서는 관찰평가와 실기평가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지필평가의 비중이 높았다. 여섯째, 실과 수행평가 계획서 중에서 다른 학교의 수행평가를 100% 표절한 수행평가 계획서 유형이 많았으며, 심지어 오탈자까지도 표절한 계획서들도 있었다. 앞으로 실과 수행평가가 협력적 문제해결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수행평가 환경을 구축하고, 새로운 평가 패러다임, 즉 학습지향적 평가로의 전환을 위해 수행평가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수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대중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effects of school-level variable including career education and student-level variabl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study, PISA 2006 data containing the career education variable such as career experience and activity were used. The specific study targets were 132 high schools nested 4,222 students. Because it was classified into student level and school level, multilevel analysis was adop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variance based on school level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ourse variable contained in school level including caree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when student-level and school-level input variables were controlled. Secondly, in the student-level variable, the index related to ESC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of home and the scientific achievement showed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Among sub-variables useful for job, only (science)scientific job variable showing how much science subject is useful for scientific job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regular science class time and self-initiated science study tim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cientific achievement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ly,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school-level input variable, average ESCS and local scale of school showed the similarity to scientific achievement of result variable. Fourthly, in school-level course variable, only career (job)fair variable was negatively significant to predict scientific achievement among sub variables of career activity. It means that the school that did not perform career (job)fair showed higher scientific achievement than the school that performed it. In addition, the career leadership opportunity variable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cientific achievement but its effect on scientific achievement was higher than other variable when career education was compulsorily performed. The result proposes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erformed for student to feel it directly.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d the result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chool-level variable including career education and student-level variable.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변수와 학생 수준의 변수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진로체험 및 활동 등의 진로교육 관련 변수가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PISA 200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132개 고등학교와 이 학교에 내재되어 있는 학생 4,222명이다. 이 자료는 학생이 학교에 내재되어 때문에 다층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수준에 의한 분산 결과, 학생 수준의 변수와 학교 수준의 투입변수를 통제했을 때 진로체험 및 활동 등의 학교 수준에 있는 과정변수의 영향력이 매우 미미하였다. 둘째, 학생 수준의 변수에서는 가정의 경제 ․ 사회 ․ 문화적 지위(ESCS) 지수와 과학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 유용의 하위 변수 중에서 과학 교과가 과학 직업에 어느 정도 유용한가를 나타내는 (과학)과학직업 변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정규 과학수업시간, 자기주도적 과학공부시간은 과학성취도와 정적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교 수준의 투입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학교평균 ESCS와 지역규모는 결과변수 과학성취도와 유의함을 보였다. 넷째, 학교 수준의 과정변수에서는 진로(직업) 활동의 하위 변수 중에서 진로(직업) 박람회 변수만이 과학성취도를 예측하는데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진로(직업) 박람회를 시행하지 않은 학교가 박람회를 시행한 학교에 비해 과학성취도가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진로지도 기회 변수는 과학성취도와 통계적 유의함은 없었으나 진로지도를 의무적으로 지도할수록 과학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다른 변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투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진로교육 변수를 포함한 학교 수준의 변수와 학생 수준의 변수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PISA 2009 읽기성취도 데이터를 활용한 학교효과 분석

        강대중,염시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다층분석을 활용하여 PISA 2009 읽기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의 투입변수와 과정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학교효과와 관련 있는 학교의 인적․물적 자원, 학생의 가정 배경 등과 같이 개별 학교가 통제할 수 없는 투입변수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통제하여 학교 간에 존재하는 불평등 요인의 효과를 제거한 상태에서 학교효과지수(SEI)를 산출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OECD에서 주관하여 시행한 만 15세 대상의 PISA 2009 자료 중에서 우리나라 121개 고등학교 학교와 이 학교들에 소속된 3,619명의 학생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 2009 읽기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학생 수준의 변수는 성별과 경제․사회․문화적 지위(ESCS), 읽기 즐거움, 매일 읽기 참여시간, 그리고 읽기전략 중 요약전략과 통제전략이었다. 또한 학교 수준의 변수에는 설립유형, 학교평균 ESCS, 교사당 학생비율, 학생행동, 학교평균 읽기 즐거움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순평균 학교효과 점수와 학교 간에 존재하는 불평등 요인의 효과를 제거한 학교효과지수를 비교한 결과, 단순평균 학교효과에서는 하위권에 있던 학교들이 상위권으로 향상되었거나 상위권을 유지하는 학교들도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학교 간에 존재하는 불평등 요인의 효과를 통제하기 전과 후의 학교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효과 및 학교효과지수를 종합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by using multi-level analyse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nput and process variables of the student- and school-levels on reading achievement in PISA 2009. By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put variables of individual schools, such as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relevant to school effect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chool effects indices were unaffected by the unequal factors between school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of 3,619 students from 121 high schools in South Korea. It was extracted from the PISA 2009 data which was conducted by the OEC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ISA 2009, gender, ESCS, reading enjoyment, the duration of daily reading participation; and, among reading strategies, summarization and controlling strategies were the variables that statistically affected reading achievement. In addition,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average ESCS of the school, the student-teacher ratio, student behavior, and reading enjoyment of the school were significant variables at the school level. Second, this study estimated the school effects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contextual input variables of each school. This indicated that effective schools showed two distinctive factors: the student behavior and reading enjoyment of the school. Last, this study presents discussion and conclusions with respect to school effects.

      • Bifidobacterium angulatum으로부터 α-galactosidase의 정제 및 특성

        강대중,민해기,강국희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3 論文集 Vol.44 No.1

        α-galactosidase는 (α-D-galactoside galactohydrolase: EC 3.2.1.22)는 다당류나 올리고당인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와 guar gum 등의 α-galactosidic 결합을 하고 있는 당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장내세균중 우익균이며 우세균주인 Bifidobacteria로부터 α-galactosid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여액으로부터 ammonium sulfate분획, 핵산의 제거,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및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등의 4단계 정제과정을 거쳐 정제한 결과 약 8배로 정제되어 단일 단백질로 분리하였다. 또한, 효소분해산물을 알아보기 위하여 TLC에 의하여 당분해 및 올리고당의 생성을 알아보았다. 정제효소의 활성 최적온도는 37℃, 최적 pH는 7.0이었다. 효소활성이 K^+, Zn^2+과 같은 금속이온과 8-Hydroxyquinoline, Sodium Bisulfite 등에 의해선 그다지 저해되지 않았으나, Hg^+, Cu^2+과 p-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해선 저해되었다. 효소의 분자량이 301, 995, 합성기질인 PNPG에 대한 K_m은 0.069mM, V_max는 347.22μmol/min.mg protein이었다. To elucidate enzymatic properties of α-galactosidase (EC 3.2.1.22) from Bif.angulatum. α-galactosid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protamine sulfate precipitation,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and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purified α-galactosidase was found tobbe homogeneou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enzyme, estimated by sepadex G-200 gel filtration, was about 301,995.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nzyme reaction was pH 6.5 to 7.0 at 37℃. The purified enzyme was stable at 45℃ or below and in buffer at pH 6 to 7.0. The activity was inhibited by mercury, copper ion, and p-chloromercuribenzoic acid. The kinetics of this enzyme, with p-nitrophenyl-α-D-galactoside as substrate, was determined : K_m was about 0.069mM and V_mas was 347.22 μmoles/min mg protein.

      • KCI등재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과정을 다룬 신문 사설의 프레임 연구

        강대중,이경림,정제영,양영유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news media set up the educational policy agenda by analyzing four major newspapers' editorials about the public debate on the college admissions reform. We analyzed the editorials dealing with the public debate on the college admissions reform published in Chosun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from 31 August 2017 to 17 August 2018. We found that there were six stages in the progress of the debate. However, the editorials did not deal with all stages. Also, by using Martin and White’s (2005) appraisal system to analyze the editorials, we found that Chosun Ilbo and Dong-A Ilbo relatively used judgment appraisal of critical agents, while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used appreciation appraisal. All four of them chose to contract the dialogical space by not permitting a different idea or perspective. Chosun Ilbo focused on the Minister of Education himself to criticiz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nkyoreh related the debate with the macro societal problems like unequal labor market to show their positive stance on the current adminstration. Dong-A Ilbo and Kyunghyang Shinmun evaluated the public deliberative process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 and philosophy on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agenda-setting by the news media.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한 대입제도 개편 과정을 다룬 국내 네 개 신문의 사설을 분석하여 언론이 교육정책 의제를 설정하는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8월 31일 교육부의 대학입학제도 개편 유예발표부터 2018년 8월 17일 교육부의 대학입학제도 개편안 발표까지 1년여 동안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 실린 대입제도 개편 관련 사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입제도 개편 과정은 크게 여섯 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전 과정이 고르게 사설의 주제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각 신문 사설의 프레임을 이해하기 위해 Marin & White(2005)의 평가어 체계를 분석 틀로 연구한 결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주체의 행위를,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사물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또, 모든 신문의 사설이 이견의 여지를 허용하지 않는 대화적 공간 축소 방식을 활용하였다. 평가어 분석을 통해 조선일보는 적극적으로 개인을 경유함으로써, 한겨레는 거시적 사회문제와 대입제도를 연결함으로써,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은 각 신문의 구체적인 교육철학에 기댐으로써 공론화와 대입제도 개편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정책 의제 설정 과정을 둘러싼 신문 사설의 프레임을 평가어 체계를 활용해 분석하고, 언론의 교육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

        강대중,조성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8 No.2

        Theoretical thought on adult and/or lifelong learning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largely indebted to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s in the past few decades.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dealing with the topic of learning in adulthood flooded with Western, typically North American, theories and concepts. Is it indeed unproblematic to use Western frameworks in understanding domestic phenomena of learning in adulthood? To tackle this question, we looked into 15 academic journal articles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are explicitly taking Jack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chose Mezirow’s theory because its undoubted status as a solid theory has recently faced serious challenge in Western scholarly communities. In the analysis of the chosen journal articles, we focus on how those articles used Mezirow’s theory in terms of its core elements. We concluded that Mezirow’s theory has been largely misappropriated. We used Edward Said’s concept of “traveling theory” to discuss possible reasons for this (mis-)appropriation. We suggested that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influe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ory-use as well as theory-making.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강대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초임교사 167명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조사대상자의 성별, 평가 관련 연수 이수여부, 평가활동 자신감, 평가 전문성 중요도의 정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여성 초임교사가 남성 초임교사보다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이 달라지는 구체적인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관련 연수를 이수한 초임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 간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평가 관련 연수의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상반된 것이지만,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단순한 평가관련 연수 경험여부가 아니라 평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이 중요하다는 전제조건이다. 셋째, 평가활동에 자신감이 높은 초임교사가 보통이거나 그렇지 않은 초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의 중요도를 낮게 생각하는 초임교사보다 보통이거나 높게 생각한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았다. 다섯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의 전문성 기준선과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비교한 결과, 기준선에 비해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초임교사 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양질의 초임교사 맞춤형 평가연수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by analyzing the levels of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167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surveyed, and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level of literacy in assessment of students based on gender of subjects, completion of training,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and extent of importance of literacy in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female beginning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male beginning teachers. However,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specific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depending on gender of beginning teachers.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between beginning teachers who completed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and beginning teachers who did not. This is contrary to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experience with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However, the precondition needs to be considered that substance of training program related to assessment is important, not the experience with simple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Third, beginning teachers with higher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beginning teachers with moderate or lower confidence. Fourth, the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in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moderate or higher importance to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compared to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less importance to specialization in student assessment. Fifth, we compared the literacy baseline for testing the literacy of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and th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scores of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rea, compared to other area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 period to ensure operation of high quality training on assessment which is tailored to beginning teacher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강대중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assessment literacy statu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the purpose of proposing future plans for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study, 218 seniors currently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t G city took the assessment literacy test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cy perception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result differed from previous study which showed that male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taken courses on educational assessment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ve not taken such cours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higher confidence level in educational assessment showed higher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Fourth, a comparison between the assessment literacy standards set by the KICE test and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generally lower, and that their level were lowest in the domain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ditional implementation of an curriculum with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ssessment literacy of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를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교육대학교 4학년 218명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요 배경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학생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남학생 예비교사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기존의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둘째, 교육대학교 교육평가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예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자신감이높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상의전문성 기준선과 비교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은 모든 영역에서 낮았으며, 특히 평가 도구의 개발영역의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의 양성 과정에서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계획및 운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