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민병권 동서미술문화학회 2023 미술문화연구 Vol.27 No.27
The ink-and-wash painting has been developing for a long time as a painting that has contained a pivotal oriental thinking system. However, the social transformation that emerged from the influence of the West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content and form of oriental painting, and among them, the ink-and-wash painting, which was the pivotal genre of traditional painting, was the most influenced. In this process, the ink-and-wash painting gained its status as a modern painting as it acquired a modern aspect as an ink-and-wash paint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flux of Western formative methods in Korean ink-and-wash painting. In the introduction, an art history review was conducted, which led to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Hyungshin theory in the ink-and-wash painting, and in Chapter 2, a new formative experimen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odern era, focusing on the concept of Ui-gyeong (意景) and Hyung-Sa (形似). In Chapter 3, the concept definition, content, and formal changes of the ink landscape were investigated for the inflow of Western molding methods in modern and contemporary ink landscape paintings in Korea,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realistic materials, perspective, and contrast. In Chapter 4, the meaning of modern ink scenes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examples of ink form experiments in abstraction, installation art, pop art, and realism, and through this,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rt was defi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how ink-and-wash painting, which was represented by a literary artist as Ui-gyeong (意景) and Sa-Ui (寫意), was established as an ink-and-wash landscape through consideration of how it was established as an ink-and-wash landscap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민병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identity through examining forms that arise from reinterpretationof 'vibrant energe' in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s. Central ideological focus has beenplaced on 'vibrant energe' as this has constantly been a primary formal principle in ink painting. Furthermore, the fact that Western abstract forms like Art Informel and Action Painting whichmarks the beginning of Korean contemporary art having influenced the formal principle of Koreanink painting, a very traditional art, is very noteworthy. Hence, this study interpreted theinevitable transformation from cultural historical view. To achieve this, it has attempted to offerthe basis on the background of study through Korean and Chinese art historical research inrelation to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placed central importance on the significance of 'vibrantenerge'. The main body explores the expression of reinterpretation of 'vibrant energe' in Koreancontemporary ink painting through four main keywords - 'strokes of typeface', 'reinterpretation offormal aesthetics', 'breaking down of extraordinary character', and 'interpretation abstractsignifier'. The study analyzes the formal change and content of painting that appear inreinterpretation of 'vibrant energe' in contemporary ink paint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the formative methods of oriental and western are merged to create a new formative aesthetic inthe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vestigates theidentity issue in diverse changes taking place today, and that illuminates and diagnoses thepast, future, and present of the ink painting genre,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raditional art. 본 연구는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을 통하여 나타는 형식들을 고찰함으로써 정체성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가 현대 수묵화 장르에서 ‘기운생동’이란 중추적 개념을 되새겨 본 이유는 그것이 변함없는제1의 조형원리로 현재까지 작용하여 왔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미술의 시작인 앵포르멜 및 액션패인팅과 같은 서구 추상 양식들이 전통적 예술인 수묵화의 조형원리인 기운생동에 까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매우 눈여겨 보아야할 미술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 수묵화의 변모가 일어날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문화사적 시각으로 해석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기운생동의 개념 변화 양상과 그 의의를동양회화의 중심이었던 중국과 한국의 화론 연구를 통하여 시대적 흐름과 연계하여 알아봄으로써 연구의 배경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한국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 표현을 ‘서체의필획’, ‘형상 심미의 재해석’, ‘일기(逸氣)의 형상 해체’, ‘추상적 기호 해석’이라는 네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을 통하여 나타난 내용과 형식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현대 수묵화에서는 동양과 서구의 조형방법이 서로 융합되며 새로운 조형적 미감을 창출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의 본질적 개념으로서의 기운생동이 오늘날 다양한 변화 속에서의 정체성 문제를 고찰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하여 전통화단의 중심축인 수묵화 장르의 과거와미래, 그리고 현재를 조명하고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민병권,김이태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rivacy concern on the online-shopping mall.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view, a customer's attitude toward direct marketing, a customer's desire to information control, and a customer's prediction of negative effect as antecedents that affect the privacy concern. Also, consequences are a firm's reputation and a customer's purchase experience. Then relate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data from 165 online shopping mall customer. The results for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a customer's attitude toward direct marketing affected negatively the privacy concern, 2) a customer's desire to information control and a customer's prediction of negative effect affected positively the privacy concern, 3) a firm's reputation negatively related to the privacy concern, 4) a customer's purchase experience positively related to a firm's reputation.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에서 최근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고객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염려와 관련하여 온라인 쇼핑몰 업체들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다.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로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직접마케팅 태도, 정보통제 욕구, 정보노출에 대한 부정적 결과예측을 도출하였으며, 결과변수로는 기업명성과 구매경험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쇼핑에서 직접마케팅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통제 욕구 및 정보노출에 대한 부정적 결과예측은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업명성과 구매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의 중요한 결과변수인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특히 프라이버시 염려는 기업명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 업체가 고객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마케팅에 대한 태도 등 원인변수에 대한 관리와 더불어 결과변수인 기업명성에 대한 관리가 고객의 반복적 구매경험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고 있다.
민병권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카본싸이클 자원화 기술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는 크게 자연의 광합성을 모방하여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직접적으로 고부가 화합물을 생산하는 solar-fuel 기술과 목재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전환하여 고부가화합물을 생산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특히 본 발표에서는 광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로부터 화합물을 생산하는 디바이스 설계 및 촉매 기술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민병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rgest part of formative change in contemporary Korean ink painting, the 'epic expression' and the resulting issue of identity. The 'epic expression'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Korean ink painting genre is attributable to the shift in the artist's choice of theme and material from traditional portraiture of emphasizing the spirit of the portrayed subject to the change in life style in the contemporary age. In addition, the phenomenon of change of contents which is derived from the daily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theme of the work, which led to more diversifi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ep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and presented the grounds for the background of the study by examining the art history. The main body of the research divides the characteristics of 'epic expression' in contemporary Korean ink painting into 'daily life narrative', 'fundamental investigation of existence' and 'critical view of social reality', providing a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identity of Korean ink painting which has become removed from the tradition and settled into the contemporary art. By this approach, the research not only overcome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have defined the genres for many years through various 'epic expressions' in contemporary Korean ink painting, but also deeply explores various internal worlds that can be felt in 'daily life' of contemporary Koreans, drawing attention to new aesthetic values which has emerged as part of Korean culture. Hence, the study researched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 of 'epic expression' by its content and form, and examined the post-modernist identity by analyzing the expansion of Korean ink painting genre. By studying the expressive form of contemporary Korean ink painting through 'epic ex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attempt to illuminate the Korean ink painting today which explores diverse formal methods. 본 연구는 현대 한국화의 조형적 변화 중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 ‘서사적 표현’과 그로 인한 정체성 문제를 고찰해보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한국화 장르에 있어 ‘서사적 표현’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전신사조(傳神寫照)가 중시되었던 전통적 인물화의 작화관점에서 벗어나 현대인들의 삶의 변화가 주제와 소재 선택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일상적 삶에서 유추하여 나타난 내용적 변화양상이 작품 주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더욱 다변화 양상을 가져오게 되었던 계기도 이와 같은 현상 때문이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국화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을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 까지 시대별로 구분하여 미술사적인 고찰을 해봄으로써 연구의 배경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론에서는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서사적 표현’의 특성을 ‘일상적 내러티브’, ‘존재의 근원적 탐구’, ‘사회 현실의 비판적 시각’으로 나누어 고찰해봄으로써, 전통적 특성에서 벗어나 동시대 미술로서 정착된 한국화의 정체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다양한 ‘서사적 표현’을 통하여 오랜 세월동안 장르의 특성으로 내려져 왔던 관념적 특성을 타파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시대 한국인들의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내면세계를 심도 있게 다룸으로써 생겨난 새로운 미적 가치들이 한국화에 접목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서사적 표현’에 대한 대표작가의 작품을 내용과 형식상으로 나누어 연구하여 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나타난 한국화 장르의 확장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해봄으로써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의 정체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처럼 ‘서사적 표현’을 통한 현대 한국화의 표현에 대한 고찰을 해봄으로써 오늘날 다양한 조형방식을 모색하고 있는 한국화 장르를 집중 조명하고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LF-2 Bifunctional photoelectrode by bilateral fabrication of photovoltaics and electrocatalyst
민병권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A photoelectrode for solar-chemical production system was constructed by Cu(In<sub>x</sub>Ga<sub>1-x</sub>)(SySe<sub>1-y</sub>)<sub>2</sub> (CIGS) thin film. Particularly, low cost solution process was applied to synthesize CIGS thin films which were also tried to be fabricated on low cost and earth abundant material substrate, stainless steel (SS). Since the SS can act as an electrocatalyst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the CIGS on SS would have bifunctionality of photo-charge generation and overpotential reduction for water oxidation. To prepare highly efficient bifunctional CIGS photoelectrode the electrocatalytic properties of S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cess for the CIGS film synthesis. We found that the harsh oxidation of S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OER active-surface structure of NiOOH.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of bilateral synthesis of the efficient photoelectrode composed of CIGS and OER catalyst in a single substrate. The details will be discussed in the pres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