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적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노년기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 축적된 불평등 이론(Cumulative disadvantage theory)의 검증

        김진현,한지나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mulative impact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on depression trajectories in later life.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tilized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oeconomic disadvantages from childhood to old age on depression trajectories among 4001 older adults aged 65 and older in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from wave 1(2006) to wave 7(2012).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oeconomic disadvantages in childhood had cumulative effects on socioeconomic disadvantages in old age, and the cumulative socioeconomic inequalities from childhood to old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t baseline. However, people with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at baseline showed a faster decline in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indicating that the gaps in depression due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tend to diminish when people age. This result was further discussed by cumulative disadvantage, convergence trajectories, and paradox of well-being theories 본 연구는 축적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노년기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차(2006년)에서 7차(2012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축적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기와 현재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이 우울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노년기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축적된 영향을 미치고, 아동기와 노년기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높은 초기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기 우울감 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우울감의 변화율이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경제적인 차이에 의한 우울감의 차이가 더 좁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축적된 불평등 이론, 수렴이론, paradox of well-being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원통형 점적기의 압력과 경질미로의 길이에 따른 토출 특성

        김진현,우만호,김동억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6

        점적기의 성능은 압력보상 기능에 따른 유량 균등성에 의해 좌우되고, 유량의 균등성은 점적기 내부 의 위치에 따른 공급압력이 일정할 때 이루어진다. 점적기의 압력보상은 탄성을 가진 연질의 실리콘과 미로가 동시에 결합된 경우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경질 미로만으로 구성된 점적기의 경우 에는 미로의 길이와 내부구조에 따라 유량이 크게 달라진다. 경질 미로만으로 구성된 점적기의 경우에는 연질의 실리콘을 동시에 결합한 점적기보다 공급 압력에 따른 유량의 오차가 훨씬 크게 나타나므로 간편한 반면에 성능에서는 불리한 조건을 가진다. 경질미로로 구성된 점적호스의 경우 공급 압력과 미로의 길이와 단면에 따른 최적 설계를 통하여 적절한 조건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점적기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질미로로 구성된 점적호스의 성능평가를 구명 하기 위해 원형의 미로를 길이별로 8단계(#1~#8)로 나누어, 공급압력(0.5~3.0bar) 변화에 따른 출구유량을 실험적 방법과 이론적 해석(CFD)으로 구하였다. The performance of drip irrigation devices depends on flow uniformity related to the function of pressure compensation. The flow uniformity can be secured when the internal fluid pressures at the positions of the flow holes are maintained uniformly. The pressure compensation effect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s can be optimized with the combination of soft silicon and labyrinth structures. However, for a drip irrigation devices composed of only hard labyrinth structures, the flow rate is changed largely with the length and the internal geometry of the labyrinth structure. Although a drip irrigation devices with only hard labyrinth structures can be fabricated simply, the changes of flow rates with internal fluid pressures are much larger than thos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s with soft silicon. Because the drip irrigation devices with only labyrinth structures can be utilized widely through the optimization of the fluid pressure, the length of the structure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m, the study on the optimiz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s. In this study,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for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rip irrigation devices had been conducted. In the experiments and numerical calculations(CFD), the variable parameters were the lengths of the labyrinth structures(#1~#8) and the fluid pressures(0.5~3.0 bar).

      • KCI등재후보

        한방의료서비스의 건강보험수가 산출방법과 추정

        김진현,Kim, Jin-Hyun 대한예방한의학회 2008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2 No.3

        Objectives : This paper analysed the alternative methods of calculating conversion factor for oriental medicin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estimated the conversion factor(reimbursing price level) of the oriental medical services, based on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and macro economic data. Methods : Comparing cost accounting method, SGR model, and index model to estimate conversion factor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ix empirical models were derived depending on the scope of revenue considered in financial indicators. Classifications of data and sources used in the analysis were identified as officially released by the government. Results and Conclusion : Cost accounting analysis and SGR model showed a two digit decrease in the physician fee schedule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while index model indicated a positive increase in the fee reimbursed. As expected, SGR model measured an overall trend of health expenditures rather than an individual financial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index model properly estimated the level of payments to oriental medical doctors. Upon a declining share of health expenditures on oriental medicine, a global budget system fixed to a flat rate of total budget could be an opportunity as well as a challenge.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김진현,김인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이직의도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 강원, 경기권의 5개 종합병원 이상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303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16일에서 2014년 1월 3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ANOVA를 이용한 차이검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3.39점, 소진은 7점 만점에 3.64,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2.84점을 보였으며, 감정노동, 소진 및 이직의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며, 소진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미혼인 경우, 지위가 낮을수록, 고정근무보다 교대근무자가, 임상경력은 1년 미만, 부서이동 경험이 없는 간호사, 급여 수준이 300만원 미만인 경우 소진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직의도의 경우 소진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임상경력에 있어서는 3-5년 미만의 경우에서 비교적 높고, 15년 이상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돌보는 환자 수가 30명 이상인 경우에 이직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감정노동과 소진을 완화시키고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무 차원의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이직예방 관리방안 마련이 요구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subjects are 303 nurses who work in 6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enter method multiple regression using for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emotional labor was 3.39, burnout 3.64, and turnover intention 2.84. There was justice correlation in mind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General feature showing significance difference of emotional labor portion was none. I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portions, it's relative to age, education level, job position, clinical career, working pattern, transfer experience, annual incom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with its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