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부재활운동이 태권도 선수의 요부기능과 요부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영국 한국선수트레이너교육연구소 2007 KATA 학술지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mbar rehabilitation exercise based on scientific and effective training programs, and to contribute improvement of athletic competence for Taekwondo player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five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flat back group: M = 1, F = 1) who felt a lumbar pain. According to each posture, the subjects were performed lumbar rehabilitation training for eight week, and the effects of lumbar rehabilitation training analyzed lumbar extension strength, and change of lumbar pain were as follows: 1. The lumbar extension strength of All subjects increased during period of eight week rehabilitation training, especially the female flat back subjects found a high rate of improvement. The male flat back subject found the continuous rate of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male subject found a high rate of improvement at the early stage of training. In general. after rehabilitation training lumbar extension strength of whole subjects was increased at the level of p<.05. 2. After rehabilitation training the lumbar posture of whole subjects was returned to normal condition at the level of p<.01.

      • KCI등재

        교통계획모형과 GIS를 이용한 지역간 도로 배출지도 작성

        김영국,우승국 한국교통연구원 2014 交通硏究 Vol.21 No.1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creating the maps of greenhouse gas (GHG) and air pollutant emission for interregional road networks. The maps could be used for pre and post evaluation of transport policies. Transport sector has estimated such emissions using the amount of fuel consumption; a Tier 1 method. However, the GHG emissions on a road network may not be efficiently estimated by that method as it is not practical to monitor road network fuel consump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adopted a Tier 3 method. The adopted method requires traffic volume and speed information by various vehicle types and the emission map building requires emission information for all interregional roads. The KTDB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designed b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was adopted to provide volume and speed information for all interregional roads. This data was used as GIS input data and an emission map was built. Because the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is adopted, a change in transport systems or policies can be easily evaluated. The map presentation provides a good visual and quantitative tool for policy decision makers. This study presented a case study in which interregional O/D volume increased by both 5% and 10%. The emission increases are evaluated and the results discussed. 본 연구는 지역간 도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지도형태로 표시(배출 지도)하는 방법론을 정립하여, 정책입안자가 교통정책의 효과를 계량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 연료사용량에 배출계수를 곱하는 Tier 1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지역간 도로에서는 소비되는 연료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없기 때문에 Tier 1 방법을 지역간 도로의 배출량 산정에 사용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구간의 교통량과 속도 등의 활동도 자료를 사용하여 배출량을 추정하는 Tier 3 방식을 채택하였다. Tier 3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교통량과 속도 자료가 필요하다. 배출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모든 지역간 도로에 대해 차종에 따른 교통량과 속도자료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출량을 작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간 도로 전체에 대해 교통량과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교통계획모형(한국교통연구원의 KTDB 모형)을 사용하였다. 교통계획모형에서 산출된 교통량과 속도자료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각 링크별로 산출한 후 이들 자료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배출지도를 작성하였다. 교통계획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량이 산정되었기 때문에 교통량의 증감, 네트워크 변화 등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이 용이하다. 또한 배출량을 지도형태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가 수요 관리 등의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그 효과를 시각적/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 분석의 사례로 전체 지역간 교통수요가 5%, 10% 증가한 시나리오에 대하여 각 광역지자체의 지역간 도로 배출량 변화를 추정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를 둘러싼 주요 쟁점과 과제

        김영국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아주법학 Vol.7 No.4

        2007년 7월 1일 자로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가 시행된 후 육 년 이상의시간이 흘렀다. 동 제도 도입 당시에는 제도가 도입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차별이 많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며 노동위원회에 수많은 차별시 정신청사건이 제기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노동위원회에 제기된 차별시정사건의 수는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며 최근 몇 년간은매년 100건 내외에 머물고 있다. 비정규근로자수를 고려한다면 비정규직차 별시정사건 수는 거의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차이가 차별시정제도 시행 직전에 비해 줄어들지 않고 있어 차별시정제도 도입 효과로 인해 제기되는 사건수가 적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노동위원회에 제기된 많지 않 은 사건 중 상당 수의 사건이 신청인 부적격, 비교대상근로자 없음, 불리한처우에 대한 합당한 사유 있음 등으 로 각하되거나 기각되고 있는 것 또한현 실정이다. 따라서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고자 도입한 비정규직차별시정제도의 입법취지를 고려한다면 비정규 직 차별시정제도의 신청인 적격과 비교대상근로자 범위를 확대하고 차별적 처우가 인정되는 합리적 사유에 대한 정비는 물론 현행 구제신청기간의 정비 등 현행 차별시정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 방안의 강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도체 손실을 고려한 매우 짧은 쌍극자 안테나의 특성 해석

        김영국,이해영 대한전자공학회 1995 전자공학회논문지-A Vol.32 No.7

        Electrically-short wire antennas, widely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s and EMI measurements, have low rediation efficiency and gain due to the ohmic loss predominant over the radiation power. A very short dipole antenna for wideband EMI measurements has been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Moments with the incorporatio of the ohmic loss calculated by the Phenomenological Loss Equivalennce Method(PEM). The calculated results show the rediation gain and efficiency very with the ohmic loss in a wide range of frequencies. Thses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optimum design of very small antennas and probes for mobile communications and non-disturbing EMI measurements.

      • KCI우수등재SCOPUS

        결명자(決明子)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영국,방진기,유홍섭,이승택,박종선 한국약용작물학회 199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5 No.2

        결명자(決明子)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와 손파종(播種)을 비교(比較)하여 성력효과(省力效果)를 보고 조(條), 주간(株間)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시험(試驗)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播種量)은 손파종구(播種區)에 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의 주간거리(株間距離) 20 및 25cm 처리(處理)에서 적었다. 2. 파종(播種)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 60×20cm 처리(處理)에서 손파종(播種)보다 ha당(當) 121시간(時間) 절약(節約) 되어 효율적(效率的)이었다. 3. 립모수(粒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 차이(差異)에 따라 그 밀도(密度)가 넓어질수록 적었고, 경장(莖長)은 년도(年度)에 따라 다르며, 주간(條間)이 넓어짐에 따라 다소(多少)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립중(粒重)은 조간(條間), 주간(株間)이 넓은 소식(疎植)에서 증가(增加)되었다. 4. 수량(收量)은 조간(條間) 60cm 주간(株間) 20c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다. 5. 적산온도(積算溫度)는 경장(莖長),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강수량(降水量)은 그들 형질(形質)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6. m2당(當) 립모수(粒毛數)는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및 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량(收量)은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a labor saving for conventional hand sowing and respond to major agronomic traits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y in 1993 and 1994. Each trial was a randomized block split plot with row spacing as the main plots and hill spacing as subplots. Sowing rate appeared lower in 20 or 25cm hill spacing using machine seeder than in hand sowing. Sowing time required reduced more 121 hours per hectare in 60cm row, 20cm hill spacings using machine seeder than in hand sowing. Increasing row and hill spacings reduced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unit area(m2). Both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grain weight per plant and showed highly increase in wide planting. Best yield obtained in 60cm row, 20cm hill spacing using machine seeder. Accumulative mean air tempera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em height,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yield, otherwise accumulative rainfal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nes. A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unit area(m2) and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pods per plant, grain weight per plant and yield. Yiel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grain weight per plant.

      • KCI등재

        CO2 농도 증가에 따른 벼의 생육 반응

        김영국,구본철,김석동,신진철,최민규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2

        The effects of CO2 enrichment on growth ofrice (Oryza sativa L.) were examined. The plants weregrown in growth chambers with a 12-h photoperiod and aday/night temperature of 28/21oC of the seedling stage and30/23oC after the panicle initiation stage. The plants wereexposed to two elevated CO2 of 50, 70 ppm and ambientlevels (350 ppm). At early growth stage of thre varietiesvated CO2 increased plant height, tiler, leaf area and dryweight. The photosynthetic rate was decreased at 24 daysafter treatment (DAT) compared to 11 DAT. The elevatedCO2 increased plant height and dry weight at panicle initi-ation stage (PIS) and heading stage (HS) of thre varieties(Ilpumbyeo, Chucheongbyeo, Hwaseongbyeo). The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evapotranspirationrate were decreased at the long days of treatment thanthat of short days. At entire stages, the elevated CO2increased the water use efficiency of rice plant becauseevapotranspiration rate was lowered at the elevated CO2than ambient levels. 대기중의 CO2 농도 증가에 따른 벼의 생육단계별 생육 및 광합성 관련 반응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1. 벼 유묘기에는 CO2 농도가 증가하고 처리기간이 길어질 수록 일품벼, 추청벼, 화성벼 모두 초장, 경수, 엽면적이 증가하였고 처리후 18일경에는 대비구에 비해 500 ppm, 700 ppm 에서 건물중 35~47% 증가하는 경향이었다(3품종 평균).2. 벼 유모기의 광합성율은 높은 CO2 농도에서는 증가되었으나 처리기간이 길어져서 생육이 진전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3. 유수형성기 및 출수기에는 CO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건물중은 증가되었으나 SPAD값과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은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4. 출수 직전부터 55일간 처리한 벼의 수량은 대비구에 비해 500 ppm, 700 ppm 처리구에서 세 품종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5. CO2 농도에 따른 광합성 속도 및 증산량은 농도가 높아지고 광합성속도가 빨라질수록 증산량은 낮아져 수분 이용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