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ypertension Risk with Abacavir Use among HIV-Infected Individuals: A Nationwide Cohort Study

        김정미,김정미,방지환,신주영,양보람,이중엽,박병주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8 Yonsei medical journal Vol.59 No.10

        Purpose: A hig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reported for HIV-infected individuals. While a link between abacavir and CVD risk is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abacavir and hypertension remains unclear. This study evaluated hypertension risk with abacavir use in comparison to non-abacavir antiretroviral treatment (ART). Materials and Methods: From a nationwide cohort of HIV-infected individuals on their initial ART, 6493 who were free of hypertensionat baseline were analyzed. The use of ART was treated as a time-varying covariate measured as a daily unit. Incidence rate of hypertension was calculated,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adjusted hazard ratios (H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incident hypertension overall and among subgroups. Results: From the 6493 participants, 24072 person-years (PY) of follow-up were contributed during 2008–2016. The incidence rates of hypertension were 4.6 and 3.6 per 100 PY for abacavir and non-abacavir ART users, respectively. The population attributablefraction of abacavir use on hypertension was 12%. Abacavir exposure did not elevate the risk of hypertension among overall study population [HR, 1.2 (95% CI, 1.0–1.4), p=0.061]. However, those with poor ART adherence, defined as a medication possessionratio <50% [HR, 1.9 (95% CI, 1.5–2.4), p<0.0001] or requiring prophylactic antibiotics [HR, 1.2 (95% CI, 1.0–1.3), p=0.023], were at risk of hypertension induced by abacavir, as were men, individuals aged ≥40 years, and patients visiting tertiary hospitals in urban areas. Conclusion: When present, poor ART adherence, requiring prophylactic antibiotics, male sex, and older age may warrant additionalconcern for hypertension in patients treated with abacavir.

      • KCI등재

        역대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비교연구

        김정미,김재화,원광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6 No.-

        위기는 개인이나 조직을 좌초하게 만드는 한편,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어떠한 위기관리 전략을 취할 것인가는 개인이나 조직, 기업에 큰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국정을 책임지는 정부의 경우,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일반 국민에게 안정감을 주고 문제 사안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슬기롭게 대처하는 기회로 작용하지만, 부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정부와 국민 간에 불신만 초래하는 결과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역대 정부가 가족비리 사건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선택하고 있으며, 각 정부의 이미지 회복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현 정권인 노무현 정부, 김대중 정부, 김영삼 정부의 가족비리 사건인 노건평씨 투기의혹사건, 김홍업 및 김현철 비리사건에 대한 본인, 대통령, 대변인의 발언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인 발언은 <조선일보>, <경향일보>, <한겨레신문> 기사 중 각 분석대상의 발언을 직접 인용한 기사 125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무현, 김대중, 김영삼 정부는 가족 비리라는 책임성이 가장 높은 사건에 대해 부인, 변명, 합리화 등의 방어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위기관리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위기관리 전략 사용에 있어 각 정부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우선 김영삼 정부의 경우, 부인전략보다는 사건의 공격성을 축소하는 전략을 좀 더 많이 사용하여 사건의 책임을 외부에 돌리려는 경향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정행위와 사과 등 수용전략을 취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일부나마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노무현 정부의 경우, 수정행위와 사과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점은 큰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건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거나 불가피했다거나 좋은 의도에서 생긴 일이라고 주장하는 등의 책임 회피 전략을 역대 정권에 비해 가장 높게 사용하고 있는 특색을 보였다.

      • KCI등재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 신체둔화행동, 경력단절위험 간의 관계에서 자녀 문제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정미,김재철,조현경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1

        본 연구는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과 경력단절위험 간의 관계에서 신체둔화행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자녀 문제행동이 조절적 기능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분석할 수 있는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알고리즘을 Mplus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신체둔화행동은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과 경력단절위험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신체둔화행동에 대한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의 효과는 자녀 문제행동이 높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이 신체둔화행동을 통해 경력단절위험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자녀 문제행동이 많아짐에 따라서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자녀 문제행동을 만2세~만5세 유아를 키우는 취업기혼 여성과 담임교사가 관찰하여 질문지를 측정하여 타당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며, 향후 성차에 기반 하여 취업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촉진, 아버지 양육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hysical relaxation behavior has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areer breakdown risk of married women,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a controlling function. In this study, a controlled medium effect verification algorithm for analyzing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a Mplu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body slowdown behavior was found to b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areer breakdown risk of working wome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hild problem behavior, the greater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mother's body relaxation behavior. Third,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among working women on career-shortening risks through body-degrading behavior is found to be greater with more child-related behavior.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act of child problem was observed by working women and teachers raising infants aged 2 to 5 to measure questionnaire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a program for promoting economic activity for married women based on future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해모니터링 능력

        김정미,Kim Jung-Mee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1 No.-

        Comprehension monitoring is a process of message evaluation and a very important skill of communication. Comprehension monitoring is a necessary language skill in classroom, as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assess their own understanding of task instructions and teaching cont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mprehension monitoring skill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compared to age-matched children and language-matched children. 18 vignettes and 6 displays were constructed. Children were asked to choose one object or 'DK' card from a display after the children listened to the vignett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LI didn't have problem in comprehending unambiguous utterance and using prior statement. However, they had problem in monitoring comprehending ambiguous utterance compared age-matched children. Their performance were similar to language matched younger children. With respect to their performance,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were discussed.

      • 광유도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김정미,전수동,백금문,조영필,윤화룡,권경태,Kim, Jeong-Mi,Jeon, Su-Dong,Back, Geum-Mun,Jo, Young-Pil,Yun, Hwa-Ryong,Kwon, Kyung-Ta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0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OSLD) for dosimetry Materials and Methods: InLight/OSL $NanoDot^{TM}$ dosimeters was used including $Inlight^{TM}MicroStar$ Reader, Solid Water Phantom, and Linear accelerator ($TRYLOGY^{(R)}$) OSLDs were placed at a Dmax in a solid water phantom and were irradiated with 100 cGy of 6 MV X-rays. Most irradi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n SSD set up 100 cm, $10{\times}10\;cm^2$ field and 300 MU/min. The time dependence were measured at 10 minute intervals. The dose dependence were measured from 50 cGy to 600 cGy. The energy dependence was measured for nominal photon beam energies of 6, 15 MV and electron beam energies of 4-20 MeV. The dose rate dependence were also measured for dose rates of 100-1,000 MU/min. Finally, the PDD was measured by OSLDs and Ion-chamber. Results: The reproducibility of OSLD according to the Time flow was evaluated within ${\pm}2.5%$. The result of Linearity of OSLD, the dose was increased linearly up to about the 300 cGy and increased supralinearly above the 300 cGy. Energy and dose rate dependence of the response of OSL detectors were evaluated within ${\pm}2%$ and ${\pm}3%$. $PDD_{10}$ and PDD20 which were measured by OSLD was 66.7%, 38.4% and $PDD_{10}$ and $PDD_{20}$ which were measured by Ion-chamber was 66.6%, 38.3%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ation of OSLD, OSLD was evaluated within ${\pm}3%$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enregy and dose rate. The $PDD_{10}$ and $PDD_{20}$ are measured by OSLD and ion-chamber were evaluated within 0.3%. The OSL response is linear with a dose in the range 50~300 cGy. It was possible to repeat measurement many times and progress of the measurement of reading is easy. So the stability of the system and linear dose response relationship make it a good for dosimetry.

      • 응용행동분석 모형에 근거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적용효과

        김정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4 특수교육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을 둔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자로서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응용행동분석 모형에 근거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제작되었고 워크샵 형태의 부모교육이 실시되었다. 부모교육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개별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지도받았고, 제작된 개별아동 프로그램은 각 가정에서 단계적으로 부모에 의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H연구소 부설 조기치료교육원에 등록된 아동 중 감각 운동능력, 자조기술, 그리고 언어학습 능력에 결손을 보이는 아동 2명과 그 부모들이었다. 그리고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복식 기초선 설계법의 변형인 Multiple-probe techinque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 모형에 근거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제작되었고, 둘째 부모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녀의 문제행동을 기능적으로 분석하여 개별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셋째, 부모들은 아동의 표적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시켰다. 한편, 단기간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시간적 제한과 부모에 의한 자료수집으로 인한 체계적인 연구결과 분석의 제한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하여 가정-중심적 치료 접근을 적용하는 것은 치료의 일반화에 효과적이며, 더불어 가정-중심적 접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실제적인 중재 환경에서 전문가와 부모간의 지도감독이 이루어질 때 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수 있다는 점이 제언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parents-participated program based on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the parent-participated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it to parent through a parent-education workshop during four weeks, and the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as estimated by evaluation the results of parental intervention for their children in their home. The participants were tw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ir parents. The important techniques used in developing program were task-analysis, chaining, shaping, prompting and fading, and positive reinforcement. Multiple probe technique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ffective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introduced, (2) the parent-participated program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enhancing parents as the interventionist for their children, (3) home-based intervention in this study proposed it to generaliz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therwise,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fessional need to visit periodically parents and their children at their home, and then coach their educational interaction in their routine sit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