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밀교의 정토관

        김영덕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8 No.-

        Like the lotus-treasury world of the Avataṃsaka-sūtra, the Vajradhātu-mandala of the Vajraśekhara-sūtra shows the ornamentation of the Buddha land, which is the most majestic among the majesties. The Buddha land is the world overlapped by the enlightened of the inner dhātu and the unenlightened of the outer dhātu. The link between the two worlds is the great compassion that gives the discriminated world a light of nondiscrimination. In the Avataṃsaka-sūtra, the Pure Land is overlapped by the secular world just as the view of the Buddha is overlapped by the view of sentient beings. By doing so, the confrontation concept, namely purification of the Pure Land and impurity of the defiled world, is lost. In the Vajraśekhara-sūtra,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dharmadhātu. Therefore, all sentient beings are incorporated into the mandala. All things that go against each other such as good and evil, purity and impurity, are parts of the mandala formation, and since they are nondual, all of them become purified. So Esoteric Buddhism aims to transform all defiled worlds with the consummate skillful means. Numerous gates of dharani arise from the letter A, and the sentient beings and all natural worlds are formed in turn with the single sound of A. As we can see it in that all the worlds including the six realms are in the mandala and its ultimate is Bodhisattva, the whole world is a pure land, and the world to be made into the pure land is the essence of Esoteric Buddhism. 『화엄경』에서 설하는 연화장세계와 마찬가지로 밀교의 『금강정경』에서 설하는 금강계 만다라는 장엄한 불국토의 장엄을 설하고 있다. 그 불국토는 깨달음의 세계라는 內의 법계에 일체중생이라는 外의 법계를 겹친 세계이다. 두 세계를 연결짓는 고리는 무분별에서 분별의 세간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大悲이다. 『화엄경』에서 니련선하 보리수 아래와 보광명전이 겹쳐지고 중생의 시각과 부처의 시각이 겹쳐지듯이 정토와 예토는 겹쳐진다. 그럼으로써 정토의 청정과 예토의 부정이라는 대립 개념은 사라진다. 『금강정경』에서는 법계에 따로 차별이 없기에 모든 세계의 중생들을 만다라에 편입시킨다. 선과 악, 淨과 染이 그대로 만다라 구성에 참여하여 정과 염을 하나로 아는 것에 의해 공동으로 정토화하고 있다. 만다라의 諸尊은 비로자나여래의 대비에 의해 투영된 영상으로써 한 몸을 자재하게 일체세계에 나투며, 일체제불과 일체불국, 그리고 모든 세계를 그 몸에 받아들이기도 한다. 구경방편이기에 밀교에서 모든 예토는 정토로 바꾸어 나가야할 예비 정토이다. 만다라를 건립하는 토지가 마을이나 읍성을 조성하는 것과 같은 이치인 것은 현실세계에 정토를 구현하려는 밀교가의 의도 외에는 아니다. 아자로부터 무수한 다라니문이 생겨나며 아자의 ⼀⾳聲에 의해 중생과 器世界가 차례대로 성립하기 때문이다. 만다라에서 궁극이 방편행의 보살이며 만다라에 육도를 비롯한 모든 세계가 들어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일체가 정토인세계, 그래서 정토로 만들어가야 할 세계가 밀교의 정토이다.

      • KCI우수등재
      • 한국 전통 가무악 일체성 연구 – 가곡을 중심으로 – ·

        김영덕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6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5 No.-

        우리의 전통사회에서는 노래(歌)‧무용(舞)‧기악(樂)이 함께 어우러져 삼위일체(三位一體)의 종합예술형태로 이어져 내려 왔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이 세 가지 공연 형태는 연행 현장에서 가‧무‧악이 잘 어울려져 일치를 이루고 있는 사실에 비해, 가‧무‧악의 종합적 학술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실은 구전심수하던 전통사회에서 가‧무‧악을 혼용해 가르치고 배웠던 사실과 다르게, 현대사회에서 학교교육으로 대치하는 과정에서 가‧ 무‧악의 각 전공자들로 분리되어 가르치고 배워왔기 때문이 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각 전공자들의 수적 향상은 늘어난 긍정적 인 결과가 형성된 반면, 깊이 있는 연행과 가‧무‧악을 혼용해 연행할 수 있는 능력들을 점차 잃어가고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순점을 밝혀보기 위해 먼저 ‘가곡(=노래)보’의 읽는법을 살펴보았다. 현재는 ‘정간보’라는 악보명으로 교육되고 또 노래하고 있지 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세조실록악보(世祖實錄樂譜)』「서문」에 나 오는 “16정6대강보”로 분석해야만 가능하다. 실제 『세조실록악보』는 ‘16정6대강보’로 이루어져 있다. 무용(=정재)에 나타나는 기록 또는 악 보들에서 ‘16정6대강보’의 적용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기악은 그런 다음에 비교하여도 늦지 않다. 그 이유는 이미 사람이 직 접 입으로 표현하는 노래 반주와 몸으로 표현하는 무용 반주에 포함되 어 있기 때문이다. ‘16정6대강보’을 살펴보기 위해 ‘매화점 장단과 장구장단’을 분석해보 면 16정6대강의 ‘삭대엽’곡들과 10정6대강의 ‘편’곡들과 동일하게 6대강 이 적용되며 정간수만 16정과10정의 차이가 있어 ‘편’곡들이 ‘삭대엽’곡 들보다 빨라 각 곡들의 빠르기 속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16정6대강도 둘로 나누어져 ‘전반각=1‧2‧3대강’‧‘후반각=4‧5‧6대강’으 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화점 장단과 장구장단’ 이 16정6대강의 장구를 치는 형식과 내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삭대엽’ 1곡‧‘편’ 1곡‧‘장진주’ 1곡을 표본으로 추출해 분석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그리고 ‘‘무용(=정재)’창사 보”에도 적용해 본 결과, ‘가‧무‧악’에 적용되는 “‘16정6대강’의 분포도”를 추출해낼 수 있어 일체성을 볼 수 있었다. In the Korean traditional society, songs, dances, and instrumental musics were handed down as comprehensive arts, forming a trinity. Though the three forms of performances are in unity because songs, dances, and musics are harmonious, the comprehensive academic study is not conducted so. It is because in the school of the modern times, songs, dances, and musics were taught and learned on the focus of respective majors, though they were taught and learned in a mix of style in the ancient times when they were transferred and received mouse to heart. As a result, in an affirmative aspect the number of majors increase, but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decreases gradually, to perform songs, dances, and musics in a mix of style, however they are formed in a deep style. For the purpose of disclosing the contrarieties, this study at first examined reading method of 'gagokbo(歌曲譜, song score)'. Though educators teach and singers songs musics by the score named 'jeongganbo(井間譜), it is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accomplished by analyzing "16 jeong 6 daegangbo(十六井六大綱譜)" stated at 「the preface」 of "Sejosillokakbo(世祖實錄樂譜)" (King Sejo Chronicles Score)" In reality, Sejosillokakbo(世祖實錄樂譜) is composed of '16 jeong 6 daegangbo(十六井六大綱譜)'. It is necessary, by analyzing the records and scores appearing at dances (=jeongjae, 呈才), to examine how '16 jeong 6 daegangbo(十六井六大綱譜)' is applied . It is because they are included at song accompaniments expressed by mouses and dance accompaniments expressed by bodies. This study analyzed 'maehwajeomjangdan and janggojangdan(梅花點長 短과 杖鼓長短)' to examine '16 jeong 6 daegangbo(十六井六大綱譜)', and knew that the songs of 'sakdaeyeop(數大葉)' included in 16 jeong 6 daegang(十六井六大綱) and the songs of 'pyeon(編)' included in 10 jeong 6 daehang(十井六大綱)' were applied to 6 daegang(六大綱) the same. Only the number of jeonggan(井間) had difference in 16 jeong(十六井) and 10 jeong(十井), and the songs of 'pyeon(編)' were faster than the songs of sakdaeyeop(數大葉). It means that they express the speed of respective musics. In addition, 16jeong 6daegang(十六井六大綱) is divided into two. 'Gak of the first half(前半刻) =1,2,3 daegang(大綱), and gak of the second half(後半刻)=4,5,6 daegang(大綱). In the course, the form and the content of 'the beat of maehwajeom and the beat of Janggo(梅花點 長短과 杖鼓長短)' were defined as those of 16 jeong and 6 daegang(十六 井六大綱). On the basis of them,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objectively two samples, one music 'sakdaeyeop(數大葉)' and one music 'Jangjinju(將進酒)'.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analysis to "dance (=jeongjae, 呈才) changsabo(唱詞譜)".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verify the unity because it was possible to extract the dispersion of "16 jeong 6 daegang(十六井六大綱)" applied to 'songs, dances, and musics'.

      • KCI등재
      • 열 발광으로 옛 토기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발

        김영덕,손보기,한창균,이계헌,이용구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1 博物館紀要 Vol.- No.7

        옛 토기의 연대측정을 하는 방법으로 토기의 작은 조각을 간 시료와 TLD 200의 열 발광을 열 발광 측정장치를 써서 자연 열 발광과 연간 열 발광을 측정하고 이것들을 비교하여 옛 토기의 연대를 재는 작업을 하였다. 발굴된 옛 토기의 시료를 75~105㎛의 고른 크기의 가루로 만든 다음 열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경주 황성동에서 발굴된 토기와 황룡상서 발굴된 토기조각을 이용하여 토기의 연대를 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대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