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영실,윤진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내용과 적합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2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0명이다. 분석기준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하거나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안전교육 내용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는 '대인관계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미디어 안전'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안전교육 방법의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활동유형은 '바깥놀이 활동'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가장 적합하게, '음률영역'은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은 '모범 보이기'를 가장 적합하게, '촉진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법은 '시뮬레이션'을 가장 적합하게, '토의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related instructional methods with regard to the ages of children they teach. It also looks into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related to such variables as the types of institution the teachers work for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in their charge. Subjects were 350 teachers at 21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Using related bibliographies and previous studies as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s prepared new analysis tools and revised existing ones for us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ontent, the teachers perceived "safety in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most important, and "media safety" as the least important. Second, as fo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activities" and "connections between homes and local commun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while recognizing the "area of melody" as the least appropriate. Regarding the teacher's role, the teachers perceived "model demonstr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promotion" as the least appropriate.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methods, the teachers recognized "simul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discussion" as the least appropriate. The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c data necessary for preparing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2015년 프랑스 시민교육 교육과정 분석 및 시사점 탐색
김영실 한국비교교육학회 2022 比較敎育硏究 Vol.32 No.1
[Purpose]This study explores the French citizenship education 2015 curriculum that utilizes a concept ‘culture’ in the official curriculum. Based on this work, this research tries to find useful implications for designing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where society is diversified and conflicts of values intensify. [Methods]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 social context in which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in France was identified. Second, the discourses of politicians and the reports submitted to the government claiming to solve the current social problems through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Third, in order to confirm the discourse in the field of recontextualization that makes pedagogic discourse, the research works of curriculum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the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reform were utilized. [Results]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ers introduced the concept of 'moral culture' to solve the edification problem in transmission of values and categorized the cont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to four cultures. First, it is a 'culture of sensitivity'. This culture emphasized adolescents developing empathy and the ability to label their own emotions. Second, it is a ‘culture of rules and laws’. This culture is designed so that students can know the rules to be followed in the class and school life and understand the principles on which they are based. Third, it is a 'culture of judgment'. It is created through actions such as comparing with his/her preferences of values. Fourth, the ‘culture of participation’ pays attention to students putting into practice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previous three cultures. [Conclusion]The French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provides useful examples to understand what kind of problems Korean citizenship education may face and what alternatives can be drawn ou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민교육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를 계획된 교육과정 차원에서 활용하는 프랑스의 교육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가 다원화되고 가치의 대립이 심화되는 한국에서 시민교육을 구상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랑스에서 시민교육이 강조되는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였다. 이후 사회문제를 시민교육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하는 정치인 및 정부 제출 보고서의 담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민교육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참여한 교육과정 학자들의 연구물과 2015년 교육과정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민교육 연구자들은 가치의 일방적 전달이라는 교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덕적 문화’ 개념을 도입하고 시민교육의 내용을 네 가지 문화로 유목화 하였다. 첫째, ‘감수성의 문화’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공감하는 감정과 자신의 감정을 분명히 알고 이름 붙이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강조했다. 둘째, ‘규칙과 법의 문화’는 학생들이 교실과 학교생활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알고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원칙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판단의 문화’로 이 문화는 학생들이 도덕적 선호를 명백히 밝히고, 다른 사람의 선호와 비교하는 행위를 강조한다. 넷째, ‘참여의 문화’는 학생들이 이전의 세 가지 문화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천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결론] 프랑스의 시민교육 교육과정은 한국의 시민교육이 추후 어떤 문제 제기에 직면할 수 있으며 도출해낼 수 있는 대안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유용한 사례를 제공한다.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 현상 비교연구: 1990년대 한국과 프랑스의 시민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영실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problematization of social problems as a motiv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form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mechanism in which society affects the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discourses on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and France around the 1990s were examined based on Bernstein's grammar of pedagagic discourse. In both countries, the discourses that were elaborated in relation to important social events and arrived at national curriculum use discursive strategies which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importance of its discourses. In this study, the attempts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education resulted in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France. However, in the case of Fr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autonomy of edu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South Korea. The field of recontextualization in France creates actively alternative discourse and reflects them in the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needs of society into the curriculum. The author proposes researches to explor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ve autonomy of education in each country and to reveal the paths in which Korean society has influenced the curriculum since the 1990s.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의 동력으로서 사회의 문제를 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 현상에 주목하고, 이와 관련해 사회가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대를 전후한 한국과 프랑스의 시민교육 관련 담론들을 Bernstein의 교육적 담론의 문법 방법론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두 나라 모두에서 중요한 사회적 이벤트들과 관련해 생성된 담론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데에는 현 상황을 국가적 위기라고 진단하거나 과거 사회의 모습을 미화하는 등의 담론적 전략이 활용되었는데, 이는 제안된 담론의 사회적 중요성 전파에 기여하였다. 사회의 문제를 교육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는 한국과 프랑스 모두에서 교육과정 개정으로 귀결되었다. 하지만 프랑스의 경우, 사회의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에서 교육의 장이 대안적인 담론을 만들어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등의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이 한국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 및 1990년대 이후 더 복잡해진 한국 사회에서 사회가 어떤 경로와 과정으로 교육과정에 영향을 끼쳐 왔는지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자대학생들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김영실,임성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3
In Korea, recent women's educational standard is more higher than any other period but rate of using human resources is the lowest level among the OECD nations. As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the career choice attract attention. Traditionally, job is classified female-dominated job from male-dominated job, and most women still avoid male-dominated job. If this unequal concentrated phenomenon is relieved, diversity using of human resource will be available. For the purpose, this study try to determine the experience structur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female undergraduate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work negative or positive on the process to use for the career consult. Grounded theory based data analyses resulted in 61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from the recorded data of 8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The core category was “For the special life, keeping challenging with the will”. A paradigm model consist of the casual condition, central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s/reactions and the result was proposed. And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five stages with time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stage of awareness about the trait and aspiration, the stage of internal determination, the stage of support and accept, the stage of challenge and overcome, and the stage of affirmation and confiden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김영실,최건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4
언어유형으로 볼 때, 중국어는 문법적 기능의 지배를 받기 보다는 의미의 지배를 받는다. 반면, 한국어는 해당 형태의 조사에 의해 격이 실현되는 언어이다. 중국어把-구문이 전달하는 의미기술들은 한국어와 일정한 대응관계를 이룬다. 본 논문은 把-구문을 그 의미기술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문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관점에서 把-구문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모국어 학습자를 대한 把-구문 교수안을 제안하였다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4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6 No.-
목적: 본 연구는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을 고려한 뇌졸중 환자 12명으로, 인지운동치료를 하루 30분씩 주 5회, 총 4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중재 전 사전 평가로 상지운동기능(FMA)과 일상생활활동(MBI) 평가를 실시하였고, 중재를 적용한 4주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를 종료한 날로부터 4주후 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지 기능은 중재 전·후·추적의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일상생활활동도 측정시기(중재 전·후·추적)에 따라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의 지속성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인지운동치료가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Methods: Twelve participants were considering standard of selection, subjects received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for 30mins in a day, 5 times in a week, for 4 weeks. Prelimina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Fugl-Meyer Assessment (FMA),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re was 4 weeks of mediation period between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 evaluation. Follow up evaluation was also following by end of the medi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 the ADL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DL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by time of measure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improve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nd the improvements were durable. So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is considered as a useful way in clinical occupation therapy.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4;6;41-46)
김영실,이영주,김지윤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2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4 No.-
Objective: It try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depending on the effect of Sensory-cognition-training on the stroke patient`s upper limb function(ULF). Methods: This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from 22nd of September to 12th of October, 2012 on 2 stoke patients by using multiple-baseline design. Treatment of patient 2 started in the middle of patient 1`s treatment session. Material of surface, pressure and distance were applied for the Sensory-cognition-training. MFT and MBI were used for Sensory-cognition-training on the stroke patent`s ULF and to compare ADL for an objective evaluation.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CTE) profile was used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Results: For ULF, subject 1`s evaluation was improved by 4 points in the final evaluation, but the subject 2 had no changes. ADL of subject 1 improved by 4 points in the final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imary result, and that of subject 2 improved by 3 points. Recovery of subject 2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subject 1 for CTE profile, but it can be known that both had improvements.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ensory-cognition-training on stroke through proprioception, tactile and pressure sense had positive effects on ULF and ADL.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2;4:21∼29) 목적: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감각인식훈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22일부터 2012년 10월 12일까지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다중 기초선 연구설계(multiple-baseline design)로 실시하였다. 치료시점을 다르게 하여 대상자 1의 치료회기 중간 지점에 대상자 2의 치료를 시작하였고 감각인식 훈련으로 표면소재, 압각, 거리 인식훈련 3가지를 적용하였다. 객관적 평가로 상지 기능은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MFT), 일상생활 활동은 일상생활자립도 평가 도구(MBI)를 사용해 비교하였고, 주관적 평가로는 인지운동 프로 파일(profile)을 사용하였다. 결과: 상지기능은 대상자 1에서 초기평가에 비해 최종평가에서 4점 향상되었으나, 대상자 2는 변화가 없었다. 일상생활동작은 대상자 1에서 초기평가에 비해 최종평가에서 4점 향상되었고, 대상자 2에서는 3점 향상되었다. 인지운동 프로파일은 대상자 1에 비해 대상자 2의 회복정도가 적었으나 모두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사례연구에서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상지의 고유수용성감각, 촉각, 압각을 통한 감각인식훈련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감각인식 중재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김영실,임준택 한국골프학회 2017 골프연구 Vol.11 No.3
[목적] 골프를 다양한 형태로 접하기 쉬워짐에 따라 골프로 인한 손상을 입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골프로 인한 손상에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골프 엘보우(Golf elbow) 16명, 방아쇠 손가락(Trigger Finger)10명, 무릎 통증(Knee Pain)14명 총 40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줄기세포의 면역원성이 제거되고 펩타이드와 성장인자들을 함유한 줄기세포추출물을 1주에 1회씩 총 1달간에 걸쳐 골프손상부위의 압통점을 찾아 주입하였다. 영상의학적 평가로 손상 개선유무와 Vas Score평가로 개선 건수와 개선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골프손상에 줄기세포추출물을 주입했을 때, 초음파 및 엑스레이 사진 영상의학적 평가는 실험대상자의 82.0%에서 개선소견이 관찰되었고, Vas Score 평가 시 모든 실험대상자 100%가 실험 전 대비 유의한 수준으로 통증이 개선되었고, 평균 통증 개선율55 65은 69.9%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 골프손상의 경우 관절, 인대, 힘줄 및 근육에 염증을 동반한 통증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줄기세포추출물은 각종 펩타이드와 성장인자들이 가지는 항염증 및 재생기능에 의해 통증을 개선하고, 섬유화에 의한 반흔조직을 줄여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Golf has been a popular physical activity in various forms but it has been known that many recreation and professional golfers have golf injuries and most of golf injury has been diagnosed as chronic injury. [Method] Immunogenicity of the stem cell was removed and the stem cell extract contained various peptide and growth factors. Stem cell extract was injected into the injured area by 4 times per week during 1 month. After 1 month,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improvement rates by using ultrasound, x-ray image, and VAS scores. [Result] Ultrasound and X-ray image results showed an improvement in 82.0% of participants. VAS score results showed an improvement in all of participants(100%), and average VAS score pain improvement rate was 69.9%. [Conclusion] Most golf injuries has pain and inflammation around joint, ligament, muscle, and tendon area. It is considered that the stem cell extract containing various peptide and growth factors w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because it has anti-inflammative and regenerative effect which can result pain relief and decreased scar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