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개발

        김성회,최성식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RP-E). In this study,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was defined as interpersonal relation in harmony with 4 social factors: the harmonic interpersonal behavior, the interpersonal emotion, the interpersonal cognition, and the interpersonal behavior.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in this investigation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four factors on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Choi & Kim, 2007).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grou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RP-E) was developed, based on the HITS theory (Kim Seong-Hoi, 2007),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grou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RP-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cursive systemic program development model(RSPD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HIRP-E 345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completed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scale(HI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oi & Kim, 2007). The 39 students who were within the low 20 percent rank in the HIRS score and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into three groups. Treatment group 1 is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group, treatment group 2 is the friendship relation program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Treatment group 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reatment group 2 in the degrees of overall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 factors such as the harmonic interpersonal behavior, the interpersonal cognition, and the interpersonal behavior except the interpersonal emotion. The treatment group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the treatment group 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reatment group 2 in the degrees of interpersonal ability.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본 연구에서는 타당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이를 준거로 기존의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프로그램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은 후, 기존 프로그램 개발모형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한 순환체제적인 활동이 특징인 14단계의 순환체제적인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개발하고 14단계의 순환체제적인 프로그램 개발모형 단계에 따라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기존 대인관계 프로그램들의 문제점인 대인관계 기술 중심의 단편적, 증상 처방적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김성회(2005, 2007)의 HITS 상담(Counseling for Harmony of Individual, Time and Space)이론에 근거한 개인 내적인 요소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소와 특정시간대의 사람과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된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비교집단(교우관계 개선 프로그램), 통제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과 직후에 평가 도구인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척도 및 초등학생용 대인관계검사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이 끝난 3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은 경험적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논의에서는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이 타당하게 구성된 근거와 경험적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된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드론의 GPS 정보를 활용한 불법주정차 위반 확인에 관한 연구

        김성회,김주현,김경석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드론은 기술의 발전과 시장의 성장에 따라 교통을 포함한 농업, 물류,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입되고 있다. 교통분야에서 드론은 교통정보 수집, 전용차선 위반차량 단속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적용 분야 및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적용 범위의 확대 방안 중 대표적 교통문제인 불법주정차 단속에 드론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고,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사업을 통해 화성시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불법주정차 계도 및 단속 실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불법주정차 단속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타 분야 대비 미흡한 수준으로 기초연구 수행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드론의 불법주정차 단속을 위해 드론으로 수집된 영상정보와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활용하여 위반차량의 위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추정된 위치정보가 주정차금지구역 내에 포함되어 불법주정차 위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김성회,박경희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IRH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needs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extracted sub-factors were interpersonal cognitions, interpersonal emotions, and interpersonal behaviors. In this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cale(Park & Kim, 2008).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is derived from Rogers(1961), Ruscher(1985), Tracy(2003), Corey(2005), HITS(harmony of individual, time, and space) theory(Kim, 2007). According to the HITS theory, a person can be explained in three dimensions, that is, individual, time, and space dimension. People can realize their ability at their maximum when they maintain harmony in these three dimensions. To maximize personal ability, harmony in the personal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the present space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procedures were as follows: confirmation of necessity for program development, survey of needs, formulation of goal and objective, sel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construction of content and composition of strategies, selection of comparative program,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 implementation of program, evaluation of program, decis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the follow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ade up of 10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3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into three groups.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group as a treatment group,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group as a comparative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as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0 University Students. Each student in the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a total of 10 sessions weekly.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k & Kim, 2008)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Jeon, 1994) were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ere administered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after 4 weeks to examine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30 data were finally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s, Multivariate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5.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f sub-factors such as the interpersonal cognition, the interpersonal behavior, and the interpersonal emotion.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내의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조화 및 관계에서의 조화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대인관계의 중요성, 대인관계의 개념 및 대인관계 조화의 개념을 확립하고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와 Y대학교에 재학중인 33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실제적 필요성도 확인한 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설정, 측정도구 선정, 프로그램 내용 및 전략 구성, 비교 프로그램 선정, 프로그램 예비 실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확정 및 관리의 11단계를 거처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과 가장 유사하게 인지와 정서 및 행동을 다루면서 대인관계 증진 효과가 있는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비교프로그램으로 선정한 후 D광역시 K대학교 재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비교집단(주장훈련 프로그램), 통제집단(무처치)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10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1주일 전인 사전면담 회기에 대인관계조화 척도와 대인관계 척도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최종회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대인관계조화와 대인관계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활용방안 및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국소적 인자에 대한 19년간의 후향적 연구

        김성회,김선재,이근우,한동후,Kim, Sung-Hoi,Kim, Sun-Jai,Lee, Keun-Woo,Han, Dong-H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1

        연구 목적: 임플란트의 성공과 실패는 숙주 관련 요인, 위치 관련 요인, 수술 관련 요인, 임플란트 관련 요인, 수복물 관련 요인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그 중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골질, 임플란트 표면, 길이 및 직경, 초기 안정성, 보철물 유형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임플란트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991년 2월부터 2009년 5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5인의 외과의가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하고, 1인의 보철 전문의에 의해 보철 수복이 이루어져 적어도 6개월 이상 보철물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가 이루어진 879명환자, 2796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료 기록부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환자의 식립 당시 나이와 성별, 임플란트의 제조회사, 표면, 직경 및 길이, 식립 부위 및 골질, 초기 안정성, 보철물의 유형, 생존 기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국소 인자의 유형, 분포 및 국소 인자와 생존율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 생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평가 인자 내 항목들의 생존율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임플란트의 실패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오즈비 (odds ratio)를 구하였다. 결과: 1. 총 879명에게 식립된 2796개의 임플란트 중 150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4.64%로 나타났다. 그 중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91.76%, 거친 표면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96.02% 이었다. 2. 식립위치,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의 직경, 초기 안정성, 보철물 유형, 환자의 연령 및 성별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5). 3. 식립 부위의 골질, 임플란트 제조사별 거친 표면 특성, 임플란트의 길이 및 기계 절삭 표면을 제외한 거친 표면 임플란트의 직경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5). 4. 특히, 실패율이 높은 경우는 상악 구치부에 식립 시 (8.84%), 기계 절삭 표면의 임플란트 식립 시 (8.24%),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 중 wide 직경을 사용하는 경우 (14.47%), 초기 고정이 불량한 경우 (28.95%), 상악에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기계 절삭 표면 26.69%; 거친 표면 10%) 및 telescopic denture (기계 절삭 표면 100%; 거친 표면 27.27%)로 수복하는 경우, 60-79세 환자에게 식립하는 경우 (6.90%), 남성에게 식립하는 경우 (6.36%) 이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vide long-term data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factorial local factors and the survival of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During 19 years (1991 to 2009), 2796 implants were placed in 879 patients. From dental charts and radiographs,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patient's age at implant placement, gender, implant system, surface, length, diameter, location of implant placement, bone quality, primary stability, type of prosthesi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data and implant survival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Chi-square test, odds ratio. Results: 1. Among the 2796 implants, 150 implants failed that resulted in a cumulative survival rate of 94.64%.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smooth surface implants (91.76%) was lower than rough surface implants (96.02%). 2. Anatomic location, implant surface, diameter of smooth surface implant, primary stability, type of prosthesis, patient's age and gend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lant survival (P < .05).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ant survival was found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factors: implant length, bone quality, diameter of rough surface implants and type of rough surface according to implant manufacturer (P < .05). Conclusions: Local factors such as anatomic location, implant surface, diameter of smooth surface implant, primary stability and type of prosthesi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lant survival.

      • KCI등재

        부부조화 척도 개발

        김성회,이진아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Harmony Scale for Married Women(CHSMW) for Korean. This study was taken four steps. First, 118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open-ended questions and interviews. Seco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4 counseling experts rated those items.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117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235 married women, and 61 items were eliminat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orth, the scale consisting of 61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781 married women, and 61 items were eliminat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inally, items of the scale were reduced to 49 items. Factor analysis showed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Four factor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factor 1(12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emotion, factor 2(11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cognition, factor 3(13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behavior components and factor 4(13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activity. Internal consistency(Chronbach's α) of total score showed .829 and Chronbach's α of 4 factors demonstrated .761~833. The split half reliability of the CHSMW was .731. To examine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546 married wome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SMW was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scale (r = .637) and negatively related to married couple conflict scale( r = -.607). Thus, the CHSMW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the harmony for married couple in Korea situation.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개인이 내면적으로 최선의 상태인 조화를 이루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도 최선인 부부조화를 이루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척도의 고찰, 주부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질문지와 면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요인의 수는 4개가 가장 적절하여 4요인 118문항의 1차 예비척도를 구성하고, 상담심리전문가 4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국어교사 2명에게 문항표현의 적절성을 검증받아 수정·보완하여 117문항으로 구성된 2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서울, 대구,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주부 23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4요인 61문항의 3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 78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과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4요인 49문항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부부조화 정서요인(12문항), 요인 2는 부부조화 인지요인(11문항), 요인 3은 부부조화 행동요소요인(13문항), 요인 4는 부부조화 실천요인(13문항)으로 명명하였다. 부부조화 척도 전체에 대한 Cronbach의 α계수는 .829이고, 요인 1은 .833, 요인 2는 .814, 요인 3은 .825, 요인 4는 .761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부 546명을 대상으로 부부조화 척도와 부부갈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부부조화 척도와 부부갈등 척도는 -.607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부조화 척도와 결혼만족도 척도는 .637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임으로써 변별 및 수렴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