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擬話本小說 「莊子休鼓盆成大道」 연구 ‒ 남성 인물을 중심으로 ‒

        신은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6

        This work is a uihwabon novel by Pung Mongnyong who was active in Myung Period. Uihwabon novels, a new style narative form which remodelled existing hwabon-a kind of storytelling performance-based texts-as something for reading, comprise prologue, body and epilogue. This work is notable in the two aspects as follows: one is that in this work the figure of Jangja as a husband is more empathized than as a taoist, the other i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one to describe Jangja between the parts of prologue and epilogue and body part. Unlike in the body part the third-person narrator describes Jangja’s character, in the parts of prologue and epilogue the storyteller leads the story and describes Jangja with first-person narrator’s point of view, to the extent that the writer becomes easily involved in the story and the description of Jangja. As a result in the body part the character of Jangja tends to be “shown” by his dialogues and actions, in the rest two parts that tends to be “told” by the writer who disguises as storyteller. I would focus on Jangja’s figure that is “shown” in chapterⅡ and on Jangja’s figure that is “told” in chapter Ⅲ, thereby exploring Jangja’s character as a husband who is possessed with ‘infidelity delusion’ in chapter Ⅱ and that as a great person who achieved “awakening.” In chaper Ⅳ I would consider writer Pung Mongnyong’s way of thinking as a background to cause such a difference. 「장자휴고분성대도」는 명나라 때 문인 풍몽룡이 지은 의화본 소설이다. 의화본은 기존의 話本을 읽기 위한용도로 윤색하거나, 화본의 체제를 모방하여 讀物의 형태로 창작한 것을 가리키는데 화본처럼 입화 ‒ 정화 ‒ 결미로 구성된다. 이 작품은 여러모로 흥미를 유발하는데 이 글에서 특히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한다. 첫째 이작품에는 道家 사상가로서의 장자의 公的인 모습보다는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의 私的인 면모가 집중적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것과 둘째 장자에 대한 시각이 입화·결미 부분과 정화 부분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정화는 서술자가 3인칭 시점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가는 것에 비해 입화와 결미 부분은 설화인이 1인칭 시점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에 작자의 개입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장자의 모습이 정화에서는 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보여지는’ 양상을 띠고 입화와 결미에서는 설화인의 목소리를 빌린 작자에 의해 ‘말해지는’ 양상을 띤다. 그리하여 Ⅱ장에서는 ‘보여지는’ 장자의 모습에 Ⅲ장에서는 ‘말해지는’ 장자의 모습에 중점을 두고논의했다. ‘보여지는’ 장자는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는 부정망상을 지닌 남편의 모습이고 ‘말해지는’ 장자는 대도를 성취한 인물의 모습이다. Ⅳ장에서는 이같은 차이가 유발되는 동인으로서 작자 풍몽룡의 가치관, 사고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S. mutans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 및 탐식작용조절

        김민영,황혜정,강경희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이 치아우식원인균인 S. mutans에 미치는 항균 및 탐식작용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산 새싹보리가루와 솔잎가루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와 탐식작용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mutans 집락형성은 새싹보리 추출물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으나, 솔잎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HP-1 세포의 S. mutans에 대한 탐식작용을 확인한 결과, 새싹보리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솔잎 추출물에서는 면역세포의 탐식작용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솔잎 추출물은 치아우식예방을 위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nd phagocytosis regulation effects of Hordeum vulgare extract and pine needle extract on S. mutans, the causative bacteria of dental caries, were investigated. Ethanol extracts of domestic Hordeum vulgare powder and pine needle powder were used, and the antibacterial and phagocytic ability against S. mutans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As a result, S. mutans colony form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rdeum vulgare extract b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ine needle extrac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hagocytic ability of THP-1 cells for S. muta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ordeum vulgare extract, but the phagocytic ability of immune cells was improved in the pine needle extract. Therefore, it suggests that pine needle extrac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문화자본이 역량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자본의 유형을 중심으로

        김민영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focuses on cultural capital typology, which obtained by considering three aspects or dimensions. namely 1) different cultural genre, 2) cultural attitude and behavior, 3) and cultural size diversity. Applying cultural typology to search two major topics ; one is to test influence power of parent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other is to estimate affecting force of cultural capital to capacity building. Major finding as follows 1) Family background affect children's cultural capital in some aspect 2) Not only noble cultural capital but mass friendly cultual capital affect capacity building 3) Cultural capital affect three capacity significant especially in cognitive capacity independent of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These findings partly support not only class repoduction thesis, but also achievement or social mobility thesis. 본 연구는 청소년 다양한 문화할동에 주목하여 청소년 문화자본이 청소년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탐구하였다. 먼저 청소년 문화자본에 미치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분석한 다음, 청소년 문화자본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청소년 문화자본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으로부터 얼마만큼 독립적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화자본은 1)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문화장르, 2) 취향과 활동의 문화요소, 3) 문화자본의 양적 수준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청소년 역량으로는 정서적 역량, 인지적 역량 및 사회성 역량을 포함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09년 문화활동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로서 이 중 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발견으로는 1) 가족 배경의 영향은 문화적 취향에 있어서는 고급문화 영역에서 주로 나타난 데 비해서 문화 활동은 대중문화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르의 활동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2) 문화자본이 세 가지 역량에 미치는 설명력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지적 역량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문화활동에 비해서 문화취향의 효과가 두드러지며 문화수준이라는 양적 측면 못지않게 문화다양성의 영향력이 크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고급문화장르를 중심으로 대중문화의 다양한 장르를 포섭함으로써 효과가 증가하였다. 3)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문화 자본이 자녀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두 가지 설명 요인을 동시에 고려할 때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과는 독립적으로 청소년 스스로의 문화자본이 미치는 효과가 적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문화자본의 계급재생산론을 부인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상속으로 설명되지 않는 청소년 스스로에 의한 문화자본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