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3월 혁명기 가톨릭 보수 언론의 독일 통일국가 안(案): 가톨릭교회에 기반을 둔 독일제국

        김필영 한국독일사학회 2011 독일연구 Vol.- No.21

        Als sich die Frankfurter Nationalversammlung mit der politischen Neugestaltung Deutschlands beschäftigt hat, ging ihre Mehrheit davon aus,dass Deutschland ‘ein Reich’ sein werde. Was sie darunter verstanden hat,war nicht einig. Wenn auch das Heilige Römische Reich deutscher Nation 1806 unterging, lebte die Reichsidee doch weiter. Sie wurde in der deutschen Einheitsbewegung im 19. Jahrhundert nationalisiert, aber je nach dem politischen, weltanschaulichen und religiösen Standpunkt des Betrachters mit unterschiedlichen Inhalten gefüllt. Viele strengkirchliche Katholiken sprachen sich 1848/49 für eine Wiederherstellung des alten Reiches aus. Sie nahmen das erneuerte deutsche Reich als ein mitteleuropäisches und die deutsche Nation als dessen Träger wahr. Ihre Auseinandersetzungen mit der Kaiserfrage fokussierten sich in fünf Aspekten: Deutschlands Größe und Einheit; historische Kontinuität;Konfession; Überwindung oder Verbindung mit der Revolution;Zentralisation. Mit diesen Elementen argumentierten sie für ein österreichisches und gegen ein preußisches Kaisertum. Die katholische Kirche bedeutete für sie das Fundament, auf dem die Geschichte Deutschlands aufruht, weil sie Deutschland seinen Namen und der deutschen Nation die Einheit gegeben habe. Nur wenn die deutsche Nation sich erneut unter die Obhut der katholischen Kirche stelle, könne Deutschland seine weltgeschichtliche Mission im Westen und Osten erfüllen. Ihre Zukunftsvorstellungen waren geprägt vom christlich-universalen Charakter des Reichs, doch im Mittelpunkt ihres Reichsgedankens stand Deutschland — in der Vergangenheit und in der Gegenwart.

      • KCI등재

        Beyond Cultural Border : German Missionary in Korea, Koreanologist in Germany, André Eckardt (1884-1974)

        김필영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0

        In the age of globalization, cultural contacts are increasing among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t seems demanding to overcome the idea that ‘culture’ is a homogenized and separate unit. Even so, a mono-cultural category and a separated cultural tradition coexist in many people’s minds as ever. How does personal border crossing experience affect these cultural understanding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and transcultural interactions or hybrid cultures through intercultural contacts in case of André Eckardt (1884-1974). Eckardt’s experience beyond the cultural border for the first time as a German missionary in Korea and as a scholar of Korean Studies in Germany later led him from the stage of perceiving Korean culture on the basis of his self-culture, the German culture to the stage of focusing on the interaction of the two cultures. Eckardt as a missionary in Korea had a dichotomous thinking and searched for contrasts and comparisons of the two cultures. However, he also paid attention to ‘cultural hybridity’ in cultures. Eckardt as a Koreanologist in Germany crossed ‘really’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and demonstrated intercultural and transcultural interactions with the changes of his research foci from ‘unilateral’ to ‘mutual’ and ‘hybrid.’ He became a mediator of the two cultures in his life working as a German missionary in Korea and Koreanologist in Germany. As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were derived from personal case of Eckardt, the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seem to be ‘mobile’ and ‘variable’. That is, there is always movement beyond the borders wherever and whenever the encounters occur. When more people cross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and their experiences are spreaded into a wider world, we can certainly expect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racism that resulted from the national and cultural borders will disappear someday.

      • KCI등재

        독일 예수회 인도학자 요셉 달만의 불교 인식과 인종주의

        김필영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5

        This study investigates German Jesuit Indologist Joseph Dahlmann (1861-1930)’s perception of Buddhism and racism. It is a case study of global historical research focusing on mutual influences of Buddhism by the Orient and the Occident, especially on ‘Aryan racism’. It is interesting for Dahlmann to have contacted with Buddhism in three ways. First, he was a German Indologist, second, he traveled East Asia, and finally he became a missionary in Japan. Although he had chances to meet Buddhism differently, but his perception of it remained unchanged, Christian-centric, Catholic, Europe-oriented, national and imperialistic. Dahlmann’s perception of Buddhism was influenced by ‘Aryan racism’. He asked two questions ab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Buddhism. Why did Buddhism disappear in India hundreds of years after it had been created? Why did Buddhism spread out in East Asia, while it disappeared in India? He answered these questions with Aryan racial thoughts. It was his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that Buddhism, based on the Indian Aryan culture, had declined, when it lost characteristics of it. Regarding the second question, he gave Buddhism a mission to deliver Aryan culture to East Asia, although it was inevitable for Buddhism to decline there, the more mixed with the non-Aryan peoples, the weaker the power. Dahlmann argued for necessity of modern civilization in India, while contrasting ancient India with backward Indi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nsisted that “Germany” instead of England and “Catholic church” instead of Protestant church in India should lead the cultural mission. He entrusted a civilizing mission in Non-European region to Catholic church which had been regarded as standing on the other side of modern civilization in Europe. 동양에서 기원한 ‘지구적 지성’으로 상정된 불교를 중심으로 동서양의‘상호성’에 대한 한 사례연구로서 독일 가톨릭 지식인, 예수회 인도학자 요셉 달만의 불교인식을 검토했다. 달만은 학문적으로 인정받은 인도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일생동안 불교를 문헌연구, 여행, 선교활동을 통해 접촉했던 인물이었다. 그가 문화적 타자인 불교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나타난 특징들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때 특히 19세기 후반 독일 인도학자들 대다수가 과학적 근거 없이 비교언어학에서 출발하여 공유했던, 고대인도 문화를 꽃피운 아리아인과 독일인의 기원이 동일하다는 ‘학문적 상상’에 기반을 둔 ‘아리아 인종주의’가 그의 불교인식에서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달만의 불교인식에서 첫 번째 특징은 그가 불교의 가르침 자체보다는 불교의 역사적 발전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의 예수회 선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연결되어 보이는데, 그는 불교의 역사적 발전에 대해서 두개의 질문을 던졌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왜 수백 년 후에는 사라졌는지, 정작 인도에서 사라진 불교가 왜 동아시아에서는 확산되었는지에 대한것이었다. 그는 이 두 문제에 ‘아리아 인종주의’와 가톨릭 신앙으로 답했다. 우선적으로 달만에게 불교는 ‘인도-아리아 문화’, ‘브라만 문화’에서 발전한것이었으며, 붓다는 ‘정교한 아리아 남성’이었다. 이러한 ‘아리아적 불교’가인도에서 쇠퇴한 것에 대해서 달만은, 불교가 자신의 아리아적 뿌리에서 멀어질수록, 즉 아리아적 문화기반을 상실할수록, 그리고 인도 불교예술 발전에서 추론해낸 로마가톨릭 전통에서 멀어질수록 세력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요컨대, 달만은 인도 불교의 쇠퇴를 불교에서 ‘아리아적 성격’ 이 약해지고, 대신 ‘비아리아적 새로움’이 강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달만은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는 동안 동아시아에서 불교가 확산된 이유로 ‘인도의 유해숭배’와 ‘니르바나’ 사상을 들었는데, 이 둘은 모두 인도-아리아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서 불교 고유의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그는 불교가 뛰어난 ‘아리아 문화’를 인도 외 지역의 ‘비아리아민족들에게’ 전파시키는 ‘문화적 사명’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했다. 비록 불교가 비인도 민족들과 혼합될수록 ‘쇠퇴’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보았지만 말이다. 이처럼 달만의 불교인식에서 그의 아리아 인종주의적 경향은 인도 불교의 발생과 사라짐 그리고 동아시아 불교의 확산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배경지식으로서 작동하고 있었다. 달만의 불교인식에서 두 번째 특징은 그가 인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서구화와 기독교화를 주창하면서, 서구 중심적 입장에서 동양에 대한지적, 물적 우월감을 보유한 오리엔탈리즘을 보이고, 비록 문화적인 분야에서이긴 하지만 제국주의적 팽창을 옹호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특히 ‘독일인’과 ‘가톨릭교회’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독일 민족주의적 태도와 가톨릭 선교관을 보여주고 있다. 정작 서구에서는 근대문명의 반대편에 서있는것으로 간주되었던 가톨릭교회가 비유럽 지역에서의 문명화사명과 관련해서는 스스로에게 문명화 사도 역할을 전가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 예수회 인도학자 달만은 불교를 문헌연구, 여행, 선교활...

      • KCI등재

        문화적 ‘타자’ 이해: 독일 가톨릭 신학자 될링어 (Ignaz von Döllinger, 1799-1890)의 유대 관을 중심으로

        김필영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Diese Studie sucht nach Strategien, das Verständnis kultureller ‘Andern’ in ein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trotz seiner Schwieriekeit zu erhöhen. Als eine Fallstudie untersucht sie die zeitlichen Verwandlungen der Rezeption von Juden vom deutschen katholischen Theologen und Kirchenhistoriker Ignaz von Döllinger(1799-1890). Döllinger als ‘Kirchenpolitiker’ für kirchliche Freiheit vom Staat in den 1840er Jahren bevorzugte die Verteidigung der bayerischen katholischen Landleute gegen die schlauen und überlegenen Juden vor der ‘Judenemanzipation’, obwohl er das Bedürfnis anerkannte, die Lage der Juden zu verbessern. Döllinger als ‘Kirchenhistoriker’ an der Universität München in den 1850er Jahren untersuchte die Geschichte des Judentums in der Antike und die Geschichte der Päpste im Mittelalter. Er stellte fest, dass die Juden mit ihrem Hochmut, mit ihrem Auserwähltsein als das heilige Volk und Wuchern, eine Feindschaft von Heiden selbst verdient haben, obwohl er einige gute Seiten vom Judentum entdeckt hat. Döllinger als ‘Exkommunizierter’ und Redner der Bayerischen Akademie in den 1880er Jahren betrachtete Ursachen der Feindschaft gegen Juden in Europa nicht mehr als den Hochmut der Juden, sondern als den Hochmut der Christen, besonders Maßnahmen der Päpste und Konzilien, in Bezug auf die mittelalterliche Geschichte. Er wollte wahrscheinlich Papst Pius IX. kritisieren, indem er feststellte, die Juden hat der Christ erst so gemacht. Man kann sagen, seine persöhnlichen Verwandlungen beeinflusste Döllingers Rezeption der Juden stark. Seine Ausgrenzung von der katholischen Kirche veranlasste ihn dazu wahrscheinlich. Um die ‘Integration’ in einer multikulturellen Gesellschaft zu erreichen, braucht man ins Herz zu nehmen, was Döllinger von Sophokles‘ Antigone zitiert hat: Nicht mitzuhassen, mitzulieben bin ich da. 문화적 ‘타자’ 이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타자’ 이미지의 구성적 성격과 역사적 변화를 통해 재고해 보는 한 사례연구로서 본고는 19세기 독일 가톨릭 신학자 될링어의 유대 관을 검토해 보았다. 그의 유대인 이미지는 그의 개인적인 입장과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그가 1840년대 가톨릭교회의 자유를 위해 활동한 ‘교회정치가’ 시기에 보유한 유대인 이미지는 부정적이었다. 비록 그가 유대인의 처지 개선 필요성을 공감하고 이들에 적대적인 기독교인의 공격에 반대하지만, ‘유대인 해방’보다는 ‘교활’하고 ‘우월’한 유대인으로부터 ‘기독교인 농민 보호’를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1848년 혁명 후 이전 상황이 복고된 1850년대 교회사학자로서 될링어가 유대인과 유대교 역사 연구를 통해 가진 유대인 이미지도 여전히 ‘부정적’이었다. 비록 그가 역사 연구를 통해 유대교의 장점도 인식하는 등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도 했지만, 유대인 역사에서 유대인이 ‘오만’과 고리대금 때문에 이방인으로부터 적대시되었고 이것이 ‘정당’하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교회로부터 파문당한 후 스스로 ‘배제’와 ‘고립’을 경험했던 1880년대 될링어는 중세 유대인 역사를 끌어와서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기독교인의 오만’ 때문이라고 설명하면서 유대인에게 ‘우호적인’ 이미지를 보인다. 반유대주의의 원인을 유대인이 아니라 기독교인, 특히 교황과 교회에서 찾는데, 이것은 그의 파문에 기인해 보인다. 그가 당시 유대인의 상황이 아니라 중세 유대인의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책임을 교황에게 전가하기 때문이다. 될링어의 경우처럼 문화적 ‘타자’ 이해에 있어서 관찰자의 개인적인 입장 변화가 타문화 이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비록 될링어가 유대인을 ‘우호적’으로 인식할 때조차도, 그에게 ‘유대인 보호’보다는 ‘교황에 대한 공격’이라는 관심사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개인의 신변변화가 동일한 상황을 정반대의 입장에서, 즉 ‘역지사지(易地思之)’의 관점에서 볼 수 있게 만듦으로써 문화적 ‘타자’에 대한 이해를 높였던 것은 사실이다. 될링어의 타문화 이해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 중의 하나는 바로 기독교적 ‘사랑’에 기반을 둔 ‘공정성’의 강조이다. 그의 기독교적 ‘사랑’은 인간이 ‘미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랑하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소포클레스의 말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 ‘사랑’은 될링어가 이해한 공정성을 통해서, 즉 타문화 보유자가 받은 교육과 선입견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그가 자신과 사고, 신앙, 행동에서 다른 점을 참아내고, 그가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존중해 줌으로써 보다 잘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될링어의 이러한 주장은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회구성원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