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수 저염분 순치과정에서 먹이섭취가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유생에 미치는 영향

        김수경,심나영,조지현,김종현,김수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01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6 No.3

        저염분 순치기간에 먹이를 섭취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초기 유생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순치기간에 염분농도에 따른 유생의 생존율은 차이를 보였지만 각 염분구간별 먹이섭취 유무에 따른 생존효과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먹이섭취 시 유생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cholesterol, triglyceride의 증가가 있었으며 삼투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glucos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저염분 순치기간 동안에 스트레스, 조직손상 및 대사작용의 지표가 되는 BUN과 creatine의 감소가 있었다. 먹이섭취로 인한 소화효소의 활성이 먹이를 섭취한 실험구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유생발달과 함께 중요한 소화, 순환, 생식기관이 형성되며 탈피 성장을 위한 신진대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생시기에 저염분 순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feeding on postlarvae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uring the identified acclimation time to low salinity. A total of 5 different salinity groups with or without feeding (32, 24, 16, 8, and 2 psu, 1 liter, triplicates) were prepared, and 30 shrimp were settled at PL21 (postlarvae) and placed in each group. After 24 hours of the experimentation process, the survival rate of the fed and starved groups was observed to be lower in the 2 psu group compared to other salinity groups, with the rate of 86.6% and 81.1%, respectively. The condition index of glucose and triglyceride,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osmoregulation and as energy sources, was 4.2-7.6 times and 2.7-3.4 times higher in the fed groups than the starved groups at all the levels of salinities. The creatine level increased by 1.1-1.5 times in the starved groups as compared to the fed groups. Likewise, the activity of all the digestive enzymes like, lipase, α-amylase, trypsin, and alkaline protease were clearly higher in the fed groups (ANOVA, p<0.05). Apparently, it was observed that feeding is effective for the postlarvae of shrimp, which shows a characteristic fast metabolism and larval development, during the acclimation period to low salinity.

      • KCI등재

        바이오플락 탈질수가 어린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의 생존율 및 생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수경,장진우,조영록,김준환,김수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01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enitrified biofloc water on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rimps. Biofloc rearing water contains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can rapidly stabilize the water quality and energy saving if reusable due to high water temperatures. Rearing water contain floating bacteria with both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Therefore, when the carbon source is added in limited air supply, the anaerobic state is activated and the denitrification process is possible. In this study, the denitrification water had the following properties: ammonia (6.9 mg L-1), nitrite (0.3 mg L-1), nitrate concentration (9.2 mg L-1), high pH (8.42) and alkalinity (590 mg L-1).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eawater (SW, control), a mixture of Seawater and denitrified biofloc water (DNW) in the ratio of 3:1, 1:1 and DNW only. All experiments were done in triplicate. As a result, the survival rate never changed even when 100% of the denitrification water was utilized. However, a body fluid analysis showed that creatine and BUN were increased due to index of stress and the tissue damage resulting from the high denitrified water content. Body fluid ions (Na+, K+, and Cl-)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denitrified water content increase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denitrification water be mixed with a certain ratio (less than 50%) in the future as it may affect the osmotic pressure control in shrimps. 안정된 바이오플락 사육수에는 대량의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사육수온이 높아 재사용이 가능할 경우 빠른 수질안정화 및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 바이오플락 사육수 내 부유하고 있는 자가 및 타가 영양세균은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탄소원을 넣고 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혐기성 상태로 만들면 탈질과정이 가능 하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플락 탈질수의 특성은 암모니아(6.9 mg L-1), 아질산 (0.3 mg L-1), 질산농도 (9.2 mg L-1), 높은 pH (8.42), alkalinity (590 mg L-1)였으며 이 탈질수를 첨가한 사육수의 물리적 환경 변화가 어린새우의 생존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탈질수를 100% 사용하여도 생존율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림프를 포함한 체액 분석결과 탈질수 혼합에 의한 조직손상 및 스트레스 지표인 크레아틴, 혈중 요소성 질소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탈질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새우 체내 이온(Na+, K+, Cl-)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향후 삼투압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탈질수를 일정비율로 (50% 미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흰다리새우 유생의 저염분 순치방법에 따 른 생화학적 특성변화

        김수경,심나영,장진우,전제천,김수경,신윤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017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5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change of th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ostlarvae 15 stages, under different acclimation methods up to the endpoint of 4 practical salinity unit (psu). Besides using sea water as the control, two acclimation methods, fast acclimation (50% salinity reduction every 8 hours) and slow acclimation (50% salinity reduction every day), were adapted. Results show that the survival rate, glucose and blood uric nitrogen of each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ion profile differed according to the acclimation methods. Magnesium and sodium of shrimps acclimated to low salinity in both the methods, showed lower concentration than shrimps at 32 psu sea water. Especially, Na+ concentration, which directly influences the osmolality of shrimp, decreased sharply in the fast acclimated group during the first eight hours (from 32 psu to 16 psu). To reduce acclimation stress, it is recommended to take more than eight hours during the first step for reducing the salinity.

      • KCI등재

        노인의 구강건강과 영양상태 관계성 연구 : 사회자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수경,김지원,이현주,신혜리,김영선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oral health and their nutrition status. Then, we would examine if the social capital has their moderating effects on the moderator variables. For the study, the 2014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was used. Regarding the final analysis participants, they were selected by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elderly’s need of aid by their children or spouse, which are the groups classified by 2017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KHIDI). To reac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by each group.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irst, it was confirmed that both oral health and nutrition status are related. Second, the social capital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and nutrition status in the both the group 2 (Active Seniors in Risk), who is self-contained but needs the aid of their health, and the group 3(Non Active Seniors), who needs the aid by their children and spouse on their daily lives and healths, of all 4 groups. This research’s result has a very essential point in the fact that it finds out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expanding the oral health management and social capital to improve the elderly’s nutrition status, by thorough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oral health, nutrition status, and the social capital.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구강건강과 영양상태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자본이 변수들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자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7)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 정도와 건강에 대한 자녀 및 배우자의 도움 필요 여부에 따라 제시한 집단기준에 의거하여 최종분석대상자 6,61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집단별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건강과 영양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네 집단 중 자립적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건강에 대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Active Seniors in Risk, 집단 2)과 일상생활 수행과 건강에 대해 자녀 및 배우자 모두의 도움을 받는 노인(Non Active Seniors, 집단3)에서 사회자본은 구강건강과 영양상태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영양상태, 사회자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구강건강 관리와 사회자본 유지 및 확대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의 양성평등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김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In Korea, the national demand on women’s economic activity is growing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decline of birth rate and potential labor. Also women’s economic activity is expected as the momentum for national development with their competitive performance in emotional approaches. Responding these social trend,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re aggressively expan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aspects and problems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suggest the resolutions on it. As a research materials, the annual performance reports of action plan for gender equality from 2015, of 18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2015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subject and nonsubject education program and divided into four types; gender consciousness empowerment, career development guide, business performance training, and employment capability empower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os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universities are not settled yet since the education programs are enforced by government, not spontaneously participated by those universities’ members themselves. Second, the range and scope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are too broad to categorize the education programs. Third,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obviously run as nonsubject program more than subject program so that it cannot be long-term education with coherence. Fourth, only the large-scale universities actively run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with retention of their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ifth, the subject programs are focused on gender consciousness empowerment; unlike the nonsubject programs on career development guide and gender consciousness empowerment therefore the support system for education programs does not exist. Reflect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here are the resolution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o expand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in university campus, to categorize and systemiz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regular subject program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to build up government policy for activating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develop the balanced and effectiv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reflecting the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감소추세에 따라 여성경제활동의 국가적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감성적인 접근에 경쟁 우위를 갖는 여성 인적자원의 경제 참여 확대는 국가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도 양성평등교육 확산을 위한 노력이 가세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 논문은 대학의 양성평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학의 양성평등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18개 국립대학의 2015년 양성평등조치계획 추진실적 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이 때 교과 및 비교과를 구분하고, 젠더의식강화교육, 진로설계지도, 직무능력훈련, 취업역량강화교육의 4가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5가지로 제시되었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의 양성평등교육은 성 인지적 관점에서 대학구성원이 중심이 되기보다는 정부의 요구에 의해 확대되고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방향이 아직은 정립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둘째, 대학에서의 양성평등교육이라는 범위가 광범위하다는 특징으로, 그 범주화가 사실 어려운 문제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양성평등교육은 정규교과보다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어, 양성평등교육이 장기적이고 일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넷째, 우리나라 대학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대학 내 제도적·조직적 인프라 확보의 차이로 인해 대규모 대학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었다. 다섯째, 대학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교과는 젠더의식강화에, 비교과 프로그램은 진로설계지도와 젠더의식강화에 편중되어 운영되고 있어,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이 부재하였다. 연구결과에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내 성 인지적 관점 확산,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범주화 및 체계화, 양성평등교육 정규교과 확대, 대학의 양성평등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 수립, 남학생, 여학생의 차이를 감안한 실효성있는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명상집단치료가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불안민감성 및 불안통제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수용-전념치료와 알아차림명상을 중심으로

        김수경 한국명상상담학회 2013 명상심리상담 Vol.9 No.-

        Purpose: This study hypothesized process variables of ACT for Anxiety and examined the effects of a counseling program on anxiety, which was also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Methods: This program applied mindfulness, breathing meditation, communion meditation and so on with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In doing so,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general public for 8sessions. This analysis included 27 form the treatment group and 27 from the control group.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more decreases in anxiety, depression, anxiety sensi-tivity, and anxiety controll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CT and Mindfulness have therapeutic effects on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