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기양 학맥의 상징과 현창, 《七灘亭十六景畵帖》

        정은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문화 Vol.- No.93

        The “Album of Sixteen Views around Chiltanjeong” was produced by Son Gi-yang's fifth-generation grandson, Son Sa-ik. The album consists of two versions. One of them is 16 landscape paintings worked by an unknown painter in Miryang, including the preface and poetry written by Yi Ik in 1754, while the other is the poems by Kang Se-hwang and Lee Hyun-hwan on 16 landscape views by Kang Se-hwang painted by Yi Ik's request. This album shows 16 landscapes around the Pavilion Chiltanjeong, but it is also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production of Gugokdo in the 18th century, which was proposed by his students to inherit his academic background, led by a scholars such as Yi Ik.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unite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o hold memorial service by scholars who succeeded Son Gi-yang in Miryang. Son Sa-ik's effort to link the “Album of Sixteen Views around Chiltanjeong” with Yi Ik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 of the school network that leads to Yi Hwang, Jeong Gu, and Yi Ik. It is not clear when Kang Se-hwang painted the paintings, but it is believed that it was painted when Kang actively participated in literary activities with members of the circle of Yi Jae-deok, a descendant of Yi Ik. Kang was close to the Yeoju Yi clan when he lived in Ansan.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this album c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Gi-yang’s school and the Geunginamin(近畿南人) school led by Yi Ik. This is an important example of how to represent the images of the scholarly lineage in the Yeongnam region of the 18th century. .

      • KCI등재

        유아를 위한 현대무용 프로그램 개발

        정은주 한국무용학회 2013 한국무용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현대무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유아를 위한 무용 프로그램은 발레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유치원, 문화센터, 공공, 사설기관에서의 무용교육 기회도 발레가 가장 많이 제공되고 있었다. 반면으로 유아를 위한 현대무용 프로그램은 창의성발달이나 놀이의 형태로써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었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현대무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 한 본 연구는 성장이 미숙한 유아들에게 전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통해 즐겁고 신나는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하 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현대무용의 기본적인 움직임 활동을 통해 상상력이나 창의성을 유도할 수 있는 동작들로 안무, 구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10가지의 기본 동작을 포함한 현대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유아 현대무용 프로그램은 유치원이나 문화센터 혹은 공공, 사설 기관에서 유아들이 현대무용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현대무용 전공자들이 대학 졸업 후 자신의 전공을 살려 유아를 지도할 수 있는 직업창 출의 발판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프로젝트 거버넌스가 대리인 갈등 및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 : 대리인 이론 관점

        정은주,김보람,정승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1 No.3

        Recently companies have increased the new projects to improve and innovate the business process in order to adopt the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oT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alysis, Cloud Computing, mobi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under rapid technological and socioeconomic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there are obstacles to achieve the project goals, corporate's strategy and objectives due to various kind of risk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rojects and conflicts of stakeholders participated on projects. Hence, the solutions are required to resolve the various kind of risks and conflicts of stakehold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roject governance, agency conflicts on the project success based on agency theory by using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we could find that the project governance impacts positively on project success and negatively on the agency conflicts. Further, the agency conflicts impacts negatively on the project success. Finally, we could find that the agency conflicts such as goal conflict, different risk attitude and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project manager and team members impact negatively on the project success. Meanwhile, the project governance impact positively on the project success, negatively impact on the agency conflicts such as goal conflict, different risk attitude and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project manager and project team members. In order to increase the project success rate, the project governance institutions such as PGB (Project Governance Board), EPMO (Enterprise Project Management Office), PSC (Project Steering Committee) are needed to prevent or reduce the agency conflicts between project manager and team members.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정은주,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科學敎育硏究誌 Vol.43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quiry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For this purpose, 20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classes were conducted in 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City. After selecting the inquiry problem,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process to collect data using digital inquiry instru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fter the classes: First, students perceived the step on 'inquiry design and execution' as the most useful in the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scientific ability and cooperation improved through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with the selection of inquiry problems being the most difficult. Third,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inquiry activitie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inquiry that can cultivate various abilities needed for students living in the future.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활동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도시의 초등학생 고학년 26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탐구 문제를 선정한 후 디지털 탐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탐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수업 후 인식 조사 설문과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서 ‘탐구 설계 및 수행’ 단계가 가장 유익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적 능력과 협동심이 향상되었고, 탐구문제 선정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활동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들을 함양할 수 있는 탐구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커뮤니티댄스 사례를 통한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 미국을 중심으로

        정은주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community dance in America and to find out how to revitalize local dance. For this purpose, Marylee Hardenberg,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Mississippi River revival through a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Pat Granny's Dance program for Prisoner called 'Keeping the Faith' and Brooklyn's Care for the disable in a community dance program by Mark Morris were examined. In conclusion, the methods of activating local dances include first, use of specific places to create site-specific performance, seco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risoner which can communicate with local publics and third, development various community dance program for disable. 이 연구는 국내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댄스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서 미국 커뮤니티댄스의 사례를살펴보고 이를 통한 국내 로컬댄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널드후테라의 『누구나 다함께-미국커뮤니티댄스』에서 거론된 안무가들 중 커뮤니티댄스를 통해서 커뮤니티 안에 속해진 개인의 예술적 경험이나 정체성의 재발견 혹은 힐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맥락에서의 커뮤니티라는 ‘공동체’ 시각에서 환경, 교육, 사회 등과 관련된 ‘의식변화’에 중점을 둔 작업이라판단되는 3개의 다른 지역의 작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3개의 사례는 미시시피 지역에서 활동하는메릴리 하덴버그(Marylee Hardenbergh)의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한 커뮤니티댄스, 시애틀 지역에서 활동하는 팻 그라니(Pat Graney)의 재소자를 위한 커뮤니티댄스 그리고 브루클린 지역에서 활동하는 마크 모리스(Mark Morris)의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티댄스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국내 로컬댄스의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통해 커뮤니티라는 공동체가 삶의 터전 안에서 지켜나가야 할 장소, 그리고 그것이 환경보존으로 이어지는 인식을 변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특정대상인 재소자를 위한커뮤니티댄스 교육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재소자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와더불어 재범률 가능성을 축소시킬 수 있고 교정시설 주변에 거주하는 커뮤니티의 불안감과 재소자에대한 편견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변화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장애의 종류에 따른 다각도의 커뮤니티댄스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통한 로컬댄스의 활성화이다. 다각도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로컬지역으로 확산시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장애인이라는커뮤니티의 사회적 고립을 막고 장애인뿐만 아니라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대시킬 수 있을것이다. 이와 같이 미국 커뮤니티댄스의 사례들을 통해 로컬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사례들을참고하여 국내 커뮤니티댄스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안무가들이 자신의 커뮤니티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로컬의 특성을 갖는 또 다른 관점의 커뮤니티댄스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인폼드 컨센트(Informed Consent): 충분한 설명에서 “충분한 이해”에 기반한 동의로의 확대

        정은주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2

        Informed consent is a legal principle implemented during the 1974 Nuremberg Code and developed during subsequent medical lawsuits, and currently established as a code of conduct for subject safety and protection during medical/research experiments. Informed consent is also widely used in Korea but controversies exist on its nature and applicability. This paper determines the origin of such controversy in the absence of “comprehension” of informed consent under the Korea societal context. It starts by addressing the problem of interpreting “informed” as only the transferal of just the information itself. This paper thus (1) searches the dictionary meaning and common usage of “informed consent”; (2) evaluates international methods used to promote research participants understanding in consent processes such as Teach Back, iMedConsent, and Emmi Program; and (3) considers literature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bove methods. Ultimately, for the current research atmosphere in Korea that emphasizes the researcher’s “sufficient explanation” to change into that emphasizing “sufficient comprehension”, the researcher must not only inform the subject, but also check whether the subject has been sufficiently informed. Achieving this requires breaking away from conventional theory to practical research and attempts on the realistic usage of informed consent. Finally, the researcher must perceive communication with the subject as primarily important during the consent process and confirm that the subject has understood the explained information. The subject’s comprehension may differ due to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and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quantity and time spent on consent is necessary. 인폼드 컨센트는 1947년 뉘른베르크 강령을 통해 도입된 이후 의료소송에서 하나의 법리 개념으로 발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법제적 개념을 넘어 의료ㆍ연구 등의 현장에서 대상자 안전과 보호를 위한 행동지침으로서 정착되었다. 국내에서도 인폼드 컨센트가 연구 및 의료현장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으나 그 성질과 가능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존재한다. 본 글은 인폼드 컨센트를 둘러싼 문제들의 발생 연유를 인폼드 컨센트의 요소 중 ‘이해’가 결여된 현실에서 찾는다. 즉 인폼드 컨센트에서 인폼드의 의미가 ‘정보를 전달하고 대상자가 자율적으로 동의’하는 바로만 통용되거나 또는 ‘정보(information)’란 의미가 지나치게 강조되는 현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본 고는 (1) 인폼드 컨센트란 용어가국내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와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고, (2) 국외에서 동의 과정 중 대상자의 이해 증진을 위해 도입된 Teach Back, iMedConsent, Emmi Program 등의 방안을 검토하며, (3) 이해향상과 관련 상기 방법들의 유효성을 분석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충분한 설명’을 강조하는 국내의 인폼드 컨센트 현장이 ‘충분한 이해’로까지 확대되기 위해서는 동의 과정 중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정보를 informed (설명ㆍ제공)하는 행위 뿐 아니라 대상자가 해당 정보를 informed (이해)했는지에 대한 확인까지 포괄되어야 한다. 또한 대상자들의 이해 증진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소정의 기준과 가이드라인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인폼드 컨센트와 관련한 이론적인 연구에서 탈피하여 인폼드 컨센트의 실제적인 사용과 적용에 대한 실용적인 연구 및 시도들이 동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동의 과정에 있어 대상자와의 긴밀한 대화가 이해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숙지하고, 본인이 적절히 설명했는지에 대한 점검 과정으로서 대상자의 이해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이해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공할 정보 양과 동의 취득에 소요되는 시간의 적정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를 위한 만다라 연상화 미술치료 사례

        정은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dala Associative Drawing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of a middle aged woman.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a 50-year-old housewife, this program lasted from March, 2012 to June, once a week for 10 sessions at A art therapy institute. First,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TAI(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used in the preliminary, middle, subsequent and follow-up of the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Mandala and Associative Drawing were analyzed and compared on every single session. Thir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subject' words and deeds showed throughout the art therapy process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attitude of the art therapist were analyz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positive change on BDI and STAI scores. Second, there were the positive results from the insecure and anxious attitudes to peaceful, joyful, secure, receptive, goal-oriented and autonomous attitudes on formal scales and contents scales as drawing analysis criterion. Third, the attitudes of anxiety, guilty, compliant, depression were reduced, the comprehensive, receptive attitudes, concentrating on her art works and not repressive but expressive attitudes were increased on the art therapy process. there were positive changes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by continuous sincerity, receptive respect,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of the art therapist internalized to the client. Mandala Associative Drawing was effective on the middle aged woman. It is the proposal that Mandala Associative Drawing will be applied on diverse variables to generalize and continuous study. 본 연구는 만다라 연상화가 중년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50세 가정주부이며,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A 미술치료연구소에서 주 1회 총 10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우울과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첫째, 우울검사(BDI)과 불안검사(STAI)를 사전․중간․사후․추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만다라와 연상화를 회기별로 분석, 비교하였다. 셋째, 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와 행동에서의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회기별로 분석, 비교하고 치료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불안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만다라와 연상화의 그림 분석에서 우울, 불안의 태도가 평화, 안정, 수용, 목표, 자율의 내용으로 변화하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 과정의 언어와 행동 면에서 불안, 죄책감, 원망, 우울의 태도가 감소하고 이해와 수용, 집중하는 태도와 욕구를 억압하지 않고 표현하는 태도가 증가하였다. 치료과정에 나타난 치료자의 일관적 성실성, 수용적 존중과 공감적 이해가 내담자에게 내면화되어 우울과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 만다라 연상화 미술치료는 중년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제언하면,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만다라 연상화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