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의 중ㆍ고등학교 규칙 내용 분석의 시사점

        금주(Cho Kum Ju)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1

          우리나라 학교생활규칙은 두발 및 복장에 대한 규제 및 집회ㆍ결사의 제한으로 학생들의 자유권을 침해하고, 징계시 절차상의 미비로 학생들의 보호 복지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등 인권 침해적 요소를 담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 캐나다, 호주, 중국, 대만, 일본 등 다른 나라의 경우, 중ㆍ고등학교 규칙들은 어떤 요소들을 담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므로써, 외국 사례의 특징들을 추출하고, 앞으로 우리나라 학교생활규칙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BR>  외국의 학교생활규칙 내용 분석 결과, 학교생활규칙의 구성 요소는 분석 국가별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과 두발 및 복장 규제로 인한 학생들의 인권 침해적 요소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는 유사점을 보였다. 그러나 각 나라마다 정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학교생활규칙들에 비해 상세하다는 특색을 띠고 있다. 따라서 학생 인권의 보장을 위해서 처벌에 대한 기준과 징계시 소명 절차를 포함 학교생활규칙의 상세화, 더 나아가 체벌의 금지, 학교생활규칙 자율 제정 방안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he school regulations of korea encroaches on the freedom right of students by controling their hair and dress and by limiting the meeting and the association, and has an infringement upon human"s right elements that can"t guarantee the student"s protect welfare because the school has the defectiveness of the process when students are punished. On this opposite, this thesis tried to abstract the feature of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to get the suggestion of an improvement direction that korea middle and high school regulations have in it by using to compare and analyze of facts th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regulations are included.<BR>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school regulation, the next points of similarity were showed. These are that the school regulations contents didn"t show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analysis countries and that the human"s rights infringement elements that was result by regulating of the student"s hair and dress appear not only our country but also another countries. But another country"s school regulations reflected of their political, social, cultural characters and elements, and it more detail than our country"s school regulations. For the guarantee of student"s human rights" many elements they are a standard of punishment, an explanation process in punishment, the details of the school regulation, a prohibition of punishment, the school regulations" self-imposed control plan should have been realiz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Jo, Mirae),이현진(Lee, Hyunjin),신유진(Shin, Yujin),김수현(Kim Soo-hyun),김서영(Kim Seo-young),금주(Jo, Geum-joo),장수현(Jang Soo-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BTI personality type,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5 nursing students who were 1-4 graders attending one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5, 2021 to Nov. 18, 2021. For data analysis,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In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learning strateg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major satisfaction,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ffected academic stress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1.6% of academic stress. Conclusions To reduce academic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major satisfaction,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nd seek various solutions. 목적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간호대학생 125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0월 5일부터 11월 18일까지이며,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이 실시되었다. 결과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습전략과, 사회적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전략은 사회적지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성별, 전공만족도,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학업스트레스를 31.6% 설명하였다. 결론 COVID-19 상황에서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학습전략,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학생인권조례 분석 및 학생인권 조사 개발 방향

        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2

        This thesis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seek the task for accomplish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o check if these contents are realized properly or not. For this, first, we drew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in four regions where they are legislated. Second, we grasped the degree of increase by analyzing the progress of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s investigation result that is enforced in the region of the human right ordinance. Third, we saw through how are the student human rights index and index development's present condition which is needed fo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udent human rights. Fourth, we groped what is the improvement theme that is need to be accomplished by comparing the student human rights' actual condition of the places where is enforced annually. These problems are important not only the legal clear statements but also the grasp how the student human rights are obeyed actually. There are needed some issues to last the student human rights guarantee system and to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sustainingly. First, we should compensate the defects that are shown in researching on actual condition about the management of the human rights ordinance. Second, we should planed unity of the survey form and content in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the student human rights. Third, we developed the index of the human rights to compare the realities of human rights actually and objectively and to analyze the time sequential progress. Forth, we need development of the human rights indexes and quotients that were used mutually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alities of human rights on areas that was created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본 논문은 학생인권조례들의 내용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내용들이 제대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시계열적 실태조사를 이루기 위한 과제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어 있는 네개 지역의 학생인권조례의 특징들은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둘째, 학생인권조례 지역에서 실시된 학생인권실태 조사 결과 추이를 분석하므로써 학생인권의 증진정도는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인권 실태 조사를 위해 필요한 학생인권지표 및 지수 개발 현황들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넷째, 해마다 실시되는 학생인권조례 지역의 학생인권 실태를 비교선상에서 이루기 위해 필요한 개선 과제들은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인권보장체계를 안정화하고 지속가능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이루기 위해서는 첫째, 매해 시행되는 인권조례의 운영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타난 문제점들의 보완, 둘째, 학생인권 실태 조사시 설문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통일성 도모, 셋째, 인권실태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시계열상의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인권지표 개발, 넷째, 학생인권 조례가 마련된 지역들의 인권 실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권지표와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의 베트남 청소년 다문화 인권교육의 현황 및 개선점

        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1980년대 이주 노동자들에 이어 1990년대 국제결혼자들의 증가로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에 접어들자, 이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다문화구성원의 인권 신장과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여전히 학교에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문화 인권교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증가에 따라 이들 자녀의 수도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차별이 지속되고 언어소통 등 학교교육의 어려움으로 중도탈락률이 높고, 상급학교로의 진학률이 낮은데다 취업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따른 이들의 사회적 불만도 커질 수 있어, 이에 대비한 다문화교육의 시행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가운데 가장 비율이 높은 베트남 다문화가정 청소년 및 부모들의 면담을 통해 다문화 인권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들을 모색하였다. As following the migrant workers increased in 1980's and our country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1990's, several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have been made to protect their human rights. Nevertheless our various efforts to spread a social understanding of the extension of human rights in multicultural members and human rights, the school revealed still that there was no systematic and sustainable environment for multicultural human rights and education. With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increasingly, a discrimination against them is continued and their dropout rate is higher and the rate of enrollment in higher education is lower due to difficulties in school education such as language communication. And they are also hard time finding employment. We need to implemen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social complaints due to these difficulties of social adaptation. Therefore, this paper grasp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searched for improvement through the interviews with Vietnamese youth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arents who are the highest rate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 KCI등재

        제주도 예멘 난민 청소년 교육권 실현을 위한 과제

        금주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As the number of refugees worldwide increases, the country refugee applicants in our country also increases year after year, refugee youth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development rights of refugee youths through education should be guaranteed. However, refugee youths have weakness such as migrant, unregistered and youth, and their education rights are not being realized properly. Althoug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compulsory education stage, are enrolled in school, but they are likely to be dropped out due to problems with language and adaptability, and youth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can’t receive a school education because of language problems. As a result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expe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for the refugee youths of Yemen who applied for the most refugees in single country in 2018, they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languag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relations. Therefore, this paper searched for the necessary tasks for realizing their rights to education. 세계적으로 난민이 증가하는 추세속에서 우리나라의 난민신청자도 해마다 늘어남에 따라 난민 청소년들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외 관련법을 통해 볼 때 난민 청소년들의 교육을 통한 발달권은 마땅히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난민 청소년은 이주민, 미등록, 청소년이라는 취약성을 지니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교육권은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의무교육 단계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입학해 학교생활을 하고 있으나 언어와 적응력의 문제로 중도 탈락할 가능성이 높고, 청소년은 언어문제로 학교교육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2018년 단일 국가로는 가장 많은 난민을 신청한 제주 예멘 난민 청소년들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입국 후 지금까지 이들의 생활 및 취학을 비롯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실제 이들은 언어 문제, 교육 문제, 심리적 측면과 사회성 측면에서 관계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교육권 실현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