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과 의약생활로 본 정약용의 일생

        신동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다산학 Vol.- No.22

        Present paper examines the life of Cheong Yagyong (1762-1836; pen names: Tasan, Sa’am, and Yeoyudang),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from the perspective of illness and medical and pharmaceutical life. His life hitherto has been illuminated mainly in terms of suffering and persecution due to his Roman Catholic faith and the practical, plebeian, and patriotic aspects of his works. More-over, research on Cheong’s life and scholarship often lack objectivity, thus failing to overview the life and academic accomplishments of this great scholar. This study, on the contrary, seeks to examine Cheong’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everyday life and sentiments, trace his illnesses and aging ―aspects universally experienced by humans ―and the paths of medicine and pharmaceutics. This examination is performed on three lev-els. First, this paper traces and illuminates the trajectory of illnesses suf-fered by Cheong from birth to death. Second, he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erms of the history of iconic figures by revealing the man as a physical and social being suffering from illnesses and aging. Third, light is shed on the position occupied by medicine and pharmaceutics in his life. Although Cheong did not suffer from serious illnesses after successfully overcom-ing the smallpox and the measles in childhood, he experienced chronic pa-ralysis in the shoulders and the hands from the age of approximately forty,which deteriorated in his old age to the point of experiencing discomfort even in the legs. Lamenting chronic ailments that would not heal naturally,he studied them and, in the process, said he had simultaneously become able to concentrate and be motivated about life. In addition, Cheong stud-ied medicine and pharmaceutics on his own, thus endeavoring to man-age his illnesses and to preserve his health through diverse means. His body was subject to illness and ag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asis that made his learning possible; management of his body and illnesses was a task that had to be performed every day. During his banishment, Cheong synthesized over 230 Confucian classics and his knowledge of medicine and pharmaceutics rose accordingly. With the passage of time, however,Cheong came to realize that even medicine and pharmaceutics could not cure his chronic ailments; he also considered it fate that he would not rise again politically. He held onto life solely because of his wish for his learn-ing to be acknowledged later. Contrary to his hope, however, his contem-poraries including the royal court and those around him sought him out for his practical medical skills rather than his scholarship. In conclusion,in Cheong’s life, medicine and pharmaceutics were factors that enabled him to control his illnesses and that which won him praise but, at the same time, were ineffective in treating his chronic ailments and brought him for his practical medical skills rather than his scholarship. In conclusion,in Cheong’s life, medicine and pharmaceutics were factors that enabled him to control his illnesses and that which won him praise but, at the same time, were ineffective in treating his chronic ailments and brought him undesired fame. 이 논문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학자인 정약용의 생애를 병과 의약 생활이라는 측면에서 관점에서 살핀다. 현재까지 그의 삶은 천주교신앙으로 인한 고난과 박해, 그의 저술에 나타나는 실용적, 민중적, 애국적 요소에 주로 관심을 보여 왔다. 그런 가운데 정약용의 삶과 학문에 대한 연구는 자주 냉철함을 잃어 객관성을 결여할 때가 많았고, 대학자의 인간적인 삶과 학문적 성과를 나란히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잦았다. 이와 달리 이 논문에서는 그의 일생을 일상과 정감이라는 관점에서살피고자 하며, 보편적 인간 누구나 겪는 병과 노쇠, 이에 대응하는 의약의 행적을 추적한다. 그것은 세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정약용의 출생에서 사망까지 일생 동안 앓은 병의 흔적을 더듬어 알린다. 둘째, 정약용에 대한 병고와 노쇠에 나타나는 신체적, 사회적 존재로서정약용을 드러냄으로써 그의 삶과 학문에 대한 인물사적 이해의 지평을 넓힌다. 셋째, 의약이 그의 삶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했는지를 밝힌다. 정약용이 어렸을 때 천연두와 홍역을 무사히 극복한 이후 이에 필적하는 병을 앓지는 않았으나, 40세 무렵부터 어깨와 손의 마비되는 고질이 나타나고, 늙어서는 다리까지 불편해지는 악화 과정을 겪는다. 정약용은 스스로 낫지 않는 고질을 푸념하면서 연구를 했고, 연구를 함으로써 정신 집중이 가능해진 동시에 삶의 의욕을 불태울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스스로 의약을 배워 자신의 병을 관리하고 여러 방법을 통해 건강을 지켜내려 했다. 몸은 병과 노쇠를 겪는 주체인 동시에 그의 학문을가능하게 한 토대였으며, 몸과 병을 관리하는 건 매일매일 실천해야 할일상이었다. 유배 기간 중 그는 230여 권이라는 유교 경전을 종합하는저술을 남겼고, 이에 못지않게 의약에 대한 수준도 높아졌다. 그렇지만늙어갈수록 그는 의약이 자신의 고질을 낫게 해주지 못함을 깨닫는 한편, 정치적으로도 재기하지 못함을 운명으로 여겼다. 오로지 자신의 학문이 훗날 인정받으리라는 염원으로 생을 지탱했는데, 그의 소망과 달리 당시 조정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그의 학문을 인정하기보다는 그의 실용적인 의술을 제공받고자 그를 찾았다. 결론적으로, 그의 인생에서 의약이란, 그것은 자신의 보통 병을 다스리고, 그를 칭송케 해준 존재인 동시에 자신의 고질을 고치지 못하는 무력한 존재였고, 그가 원치않는 명성을 덧 씌어준 존재였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전염병에 대한 정약용의 대응 방식

        신동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0

        이 논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지식인인 정약용(1762~1836)의 방역 활동과 이를 뒷받침한 사상을 탐구한다. 정약용은 자신과 가족의 개인적 차원, 더 나아가 그의 시대가 부딪친 끔찍한 전염병에 대해 맞섰다. 이런 여러 개인사가 관료로서, 지식인으로서, 의학자로서 역병에 대처한 정약용의 행적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모든 조선 사람이 똑같은 역병의 위협 속에 살았으므로 꼭 정약용만이 역병에 대해 남다른 특별한 행적을 보였으리라 기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약용이 조선 후기 가장 대단한 인물이었으므로 혹시 방역 분야까지도미쳤을지 모를 그의 미덕을 일부러 찾아 칭송하려는 연구가 아니라면, 그의 행적은 질병과 의료의 일상생활사적인 측면을 짚는 사례의 제시로서 만족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방역과 관련된 정약용의 행적과사상이 단순한 일상생활사 차원을 넘어 존재했기에 그것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정약용은 자기 또는 그의 시대가 부딪친 방역에 대한 실천과 구상을, 때로는 의학자로서 수준 높게, 때로는관료로서 체계적으로, 궁극적으로는 경세가로서 자신의 전체 사상과연관 지어 극복하고자 했음을 보이고자 한다. 정약용이 『여유당전서』 에 남긴 방대한 내용 전체를 보면, 방역, 의학, 기술 등에 관한 조각 내용과 이를 아우른 사상적 편린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타난다. 또 그것은 20대부터 70세 임종 때까지 지속된 특징을 보인다. 또 그것은 나이가 들면서 수정, 발전, 종합하는 모습을 띤다. 역사적 접근을 취하는 이 글은 그가 남긴 여러 저작에 편재하는 전염병 의학과 방역 관련 기록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핀다. 그것은 첫째, 1800년 유배 이전 『마과회통麻科會通』(1797)에 결집된 마진麻疹(홍역과 유사 질병) 연구, 둘째, 1789년 이후 임종 무렵까지 지속된 종두법에 대한 관심, 셋째, 1797~1798년 곡산부의 수령으로서 펼친 방역 활동과 이를 바탕으로 한 『목민심서』·『경세유표』에서의 제도화 구상, 넷째, 그의 전염병 의학과 방역 활동의 유교 사상적 체계화 등과 같다.

      • 공통선 신호망 설계시스템의 개발

        신동원,김현준,윤문길,이영희 한국통신학회 1990 정보와 통신 Vol.7 No.2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기존의 공중전기통신망(PSIN) 과 비음성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줄 수 있는 종합정보통신망(ISDN)으로 진화되고 있다. CCITT에서는 ISDN의 기본신호방식으로 No.7 신호방식을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2000년대 통신망의 기본 신호방식으로 No.7 신호방식을 채택하기로 확정하였다. No.7 신호방식에 따른 공통선 신호망이 구성되면 기존의 통신망은 ISDN으로의 진화가 가능하게 되고, 다양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능망으로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통선 신호망의 구성은 각종 뉴미디어의 출현으로 구성되는 부가가치 통신망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공통선신호망 구성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KAIST와 ETRI에서 공통으로 개발된 신호망 설계지원시스템(SINEPS)을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당대인의 관점으로 세종시대 과학 읽기―‘천하 속의 동국, 동국 속의 천하’ 선언

        신동원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40

        The 32 years of King Sejong’s reign are regarded as the heyday in the history of world science. In this process, it is understood that the ‘autonomy’ of Joseon science was achieved. This almost becomes orthodoxy. Studies that look at this critically appear one after another, deepening our understanding. These are the universality and nationality of Confucian science, the Governance based on rites for completing the foundatio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theory that the climate of Joseon is not the same as that of China. Is it still necessary to re-read the science of Sejong’s era? First of all, there is a problem with the use of the modern term ‘science’, which most researchers have taken for granted. The category of “science” today was not the same as the category back then. Moreover, as a result of the use of today’s concept of ‘science’, which contains the notion of past-present-future progress, distortion of the history of that time is inevitable. Another problem is the lack of efforts to capture the evaluation of contemporary people on the achievements of King Sejong. Could it be that they were obsessed with ‘autonomy’ or pursued a different goal? By resolving these two problems, this thesis is expected to correct the prejudice or error caused by the projection of the current perspective, and to reveal the historical reality that the people of the time aimed for. 세종 치세 32년간은 세계과학사 최전성기로 평가된다. 이 과정에서 조선 과학의 ‘자주화’가 이루어졌다고 파악된다. 이는 거의 정설로 굳어진다. 이를 비판적으로 보는 연구가 잇달아 등장해 이해가 심화된다. 유교적 과학의 보편과 민족화, 조선 창업 이후 수성(守成)을 위한 예치(禮治)와 중국과의 풍토부동론 등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세종시대의 과학을 다시 읽을 필요가 있을까. 우선 대부분의 연구자가 당연한 듯 채택한, ‘과학’이라는 현대 용어 사용에 문제점이 있다. 오늘날 ‘과학’ 범주와 당시의 범주가 같지 않았다. 게다가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진보의 관념을 담고 있는 오늘날 ‘과학’ 개념을 사용한 결과, 당시의 역사상의 왜곡이 불가피하다. 세종 대 치적에 대한 당대인의 평가를 포착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도 문제점이다. 과연 그들은 ‘자주성’에 집착했는가, 다른 목표를 지향했던 것은 아닐까. 이 논문은 이 두 문제점을 해소하여 현재적 시각의 투영으로 인해 생긴 편견이나 착오를 바로잡기를, 당대인들이 지향했던 역사적 실체를 드러내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