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漢功能動詞槪觀

        朴起賢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2 언어와 언어학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의 의미,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고 두 언어사이의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중 기능동사의 결합가 측면의 특징을 기준으로 그 범위를 정하고 기능동사의 기능과 기능동사의 목적어의 특징 등 방면에서 두 언어를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인지문법의 관점에서 기능동사구문과 대응하는 단일 동사간의 차이를 해석하려고 시도해 보았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결합가 측면에서 톡특한 통사적 성질을 갖는 구문들이 있는데 다른 대부분의 구문이 동사와 그 논항을 중심으로 문장이 형성되나 이런 구문에서는 동사의 논항이 아니지만 문장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성분이 존재한다. 이 성분은 동사와는 아무런 의미, 통사적인 관련이 없고 오히려 목적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데 이런 목적어는 의미적으로도 다른 목적어와는 다르게 동작의 의미를 나타낸다. 우리는 의미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고 통사적으로 자신의 논항을 요구하는 명사적 성분을 서술성 명사라고 부르고 이런 명사를 목적어로 거느리는 동사를 기능동사라고 불렀다. 기능동사는 대부분 단지 아주 추상적인 동작의 의미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동사구문은 의미상 별다른 변화없이 단일 동사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기능동사의 기능측면에서 1) 한국어의 '하다'와 순수한 명사적 성분을 목적어로 하는 중국어 기능동사의 경우 단일 동사로 바꿀 수 없으며 따라서 통사적인 필요에 의해 기능동사구문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2) 한국어에서 대응하는 단일 동사가 있는 기능동사구문과 대부분의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은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꼭 기능동사구문을 써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통사적인 필요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3)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능동사는 의미적으로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do' 혹은 'give'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4) 기능동사구문과 단일 동사의 대응에 있어서 한국어와 중국어에 있어서 모두 기능동사구문에서 부사구나 개사구로 나타나던 서술명사의 대상이 단일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직접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기능동사의 목적어 측면에서 1)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능동사의 목적어는 모두 의미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품사적으로 혹은 분포상으로 명사적인 성격을 갖는다. 2) 한중 기능동사의 목적어는 동작의 의미를 나타낼 뿐 아니라 통사적으로도 자신의 논항을 요구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기능동사구문에서는 동사의 논항과 명사의 논항이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3) 한국어에서 서술명사는 대부분 한자어인데 이들은 바로 중국어에서도 기능동사의 목적어로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두 언어의 기능동사 목적어가 의미, 통사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공유할 뿐 아니라 어휘자체가 같은 경우도 발생한다. 이전의 연구, 특히 생성문법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기능동사는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통사적으로도 불완전한 동사라고 여겨왔다. 하지만 어떤 단어의 의미는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구체적이냐 혹은 추상적이냐의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또 우리가 의미, 통사적으로 아무런 기능이 없는 언어단위를 발화한다는 것도 상상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기능동사구문에 대응하는 단일 동사가 있는 경우 동일한 개념화 상황에 대해 교체적인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의 특징과 두 언어간의 대비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있음도 밝혀두고 싶다. 먼저 기능동사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다루고 이를 기초로 범위를 정하기는 했지만 한국어든 중국어든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동사의 완전한 목록을 제공하기 보다는 기능동사구문의 공통점을 주로 다루고 차이점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다루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기능동사구문에 대한 인지문법적인 해석도 너무 간단하고 추상적이어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는 보인다.

      • KCI등재후보

        보들레르를 통해 본 본느프와의 시적 비평

        박기현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4 프랑스문화연구 Vol.29 No.-

        Notre étude consiste à suivre l’étape historique de “critique poétique” d’Yve Bonnefoy, qui a publié Sous le signe de Baudelaire en 2011. Quinze essais échelonnés de 1955 à 2009 sous le parrainage de Baudelaire et en dialogue constant avec lui sont réunis dans ce volume. Nous avons analysé “Baudelaire et la tentation de l’oubli”, publié en 2000, qui sont retranscrites deux conférences prononcées à la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en l'an 2000. Deux poèmes des Fleurs du Mal servent de point de départ à ce projet : “Je n'ai pas oublié, voisine de la ville…” et “La servante au grand coeur, dont vous étiez jalouse…”. Si leurs tonalités respectives s'opposent, de la lumière resplendissante d'une cérémonie luxueuse à la mélancolie froide d'une existence effacée, ces deux poèmes successifs partagent, outre leur forme non strophique et l'absence de titre, le motif du souvenir et de l'oubli. Et c'est bien un diptyque, et un mouvement dialectique, que forme cette suite presque continue d'alexandrins, disposée sur deux pages pour un face-à-face révélateur. Tous deux font allusion à des scènes concrètes de l'enfance de Baudelaire. Bonnefoy part alors dans la direction d'une anamnèse paradoxale, où c'est le critique qui va chercher dans la mémoire et dans la correspondance de Baudelaire les événements qui serviraient de trame biographique à ces évocations. Ils remontent à une période ancienne, particulière, où, à la mort de son père, Baudelaire enfant se retire seul avec sa mère dans une grande maison de Neuilly, à l'été 1827. Ces quelques mois de grand bonheur et de grande intimité semblent fondateurs pour l'éveil à la sensualité du petit Charles, bercé dans les fourrures et les parfums de sa mère, mais ils se voient également entachés de l'ombre de la trahison future de la mère, Caroline, prête à succomber à la chair et à épouser Jacques Aupick. L'accusation envers cette femme oublieuse et de son deuil et de son fils se change toutefois dans le deuxième poème en une faute commune, qui frappe un “nous”, et débouche sur l'évocation d'un risque pour le poète lui-même dans son activité d'écriture. La faute implicite de la mère et de l'enfant dans cette félicité des jours d'été à Neuilly que décrit le premier poème, cette faute n'est donnée à entendre que dans le second texte : c'est l'oubli de Mariette, “la servante au grand coeur”, et du père défunt. Dans ce deuxième poème se dit cette fois non plus une sensualité érotique qui vise à se sublimer dans l'expression poétique, mais un réel amour de l'être, dans sa contingence et son quotidien, une “compassion” qui semble devenir aussi la clé d'une vraie poésie, éloignée des mirages de l'éros pétrarquiste ou platonique. Les deux poèmes confrontent ainsi deux principes amoureux, “éros et compassion”, et reflètent la tension psychique qui déchire Baudelaire, tenaillé par une double aspiration à l'être et à l'Idéal, qui a rapport avec la poésie comme telle. Chez Baudelaire, le corps est plaisir, mais associé encore à une pensée de la transcendance, car le désir va au Bien, le Beau étant son épiphanie. Bonn

      • Matching Intra-functional Integration with Inter-firm IT Linkage to Facilitate Flexibility for Customers

        박기현,( Shu Wang ),( Jing Liu ),강민구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ddressing how internal integration interact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T) link with external customers to meet customer need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is study tests the proposed hypotheses by using 268 data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firms world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internal integr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omoting customer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by enhancing the ability to meet customers’ flexibility need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IT link with customers strengthens this indirect influencing relationship. By combining IT connectedness with external customers with internal capability,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how manufacturing firms apply internal integration more effectively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