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Role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to Predict Surface Water Elevation at the Watershed Scale in Korea

        박현진,최민하,전종안 대한토목학회 2011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5 No.5

        Soil mois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physical parameters in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cesses. During the past decade, remote sensing measurements have been widely used to provide mean surface soil moisture on a large spatial scale because conventional ground based measurements are not always available and require more time and cos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to correlate with hydrological process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data,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E (AMSR-E), had a reasonable relationship with surface water elevation after statistical scaling. Simple regression models as a function of soil moisture were developed to predict surface water elev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potential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to better understand hydrological processes.

      • KCI등재

        Value of a Probabilistic Atlas in Medical Image Segmentation Regarding Non-rigid Registration of Abdominal CT Scans

        박현진,Charles R. Meyer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7

        A probabilistic atla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help segmentation and registration applications in medical image analysis. We construct a probabilistic atlas by picking a target geometry and mapping other training scans onto that target and then summing the results into one probabilistic atlas. By choosing an atlas space close to the desired target, we construct an atlas that represents the population well. Image registration used to map one image geometry onto another is a primary task in atlas building. One of the main parameters of registration is the choice of degrees of freedom (DOFs) of the geometric transform. Herein, we measure the effect of the registration’s DOFs on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probabilistic atlas. Twenty-three normal abdominal CT scans were used, and four organs (liver, spinal cord, left and right kidneys) were segmented for each scan. A well-known manifold learning method, ISOMAP, was used to find the best target space to build an atlas. In summary, segmentation performance was high for high DOF registrations regardless of the chosen target space, while segmentation performance was lowered for low DOF registrations if a target space was far from the best target space. At the 0.05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high DOF registration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low DOF registrations when choosing different targets.

      • KCI등재

        The Development of TiO_2 Nanotubes Drug Delivery Devic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Drug Elution

        박현진,유지용,배지명,오승한 대한치과재료학회 2011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38 No.1

        a 본 연구는 TiO_2 나노튜브의 원격제어형 약물전달장치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3가지의 길이를 가지는동일한 직경의 TiO_2 나노튜브를 제조하여 tetracycline을 단독 또는 poly lactic acid(PLA)와 혼합하여 나노튜브 내에담지하였다. 각 실험군의 약물용출 거동에 대한 평가는 특정한 담지시간 후 물 속에 담지되었던 각 시편으로부터 용출된 tetracycli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원격제어 시험은 약물이 담지된 TiO_2 나노튜브 표면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자외선이 방사되지 않았을 경우와 용출된 약물의 농도를 비교평가하였다. 약물용출 시험결과, tetracycline와 PLA가 혼합된 시험군에서는 지속적인 용출 거동을 나타낸 반면, tetracycline만 담지된 시험군에서는 초기 대방출(initial burst)이 관찰되었다. 원격제어시험결과에서는 자외선이 조사된 시험군에서 용출된 약물의 농도가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시험군에서 용출된 약물의 농도보다 유의차있게 높았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TiO2 나노튜브의 원격제어형 약물전달장치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원격수업 음악과 프로그램 개발

        박현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With cultural changes due to dramatic development of ICT in future society, in order to prepare for instrumental tools for school education in unpredictable situations such as the current COVID-19, this study tries to develop distance class program for music curriculum. In Korea, school education requires cooperation and social development among learners, and the same purpose is applied to distance classes. Music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 way to solve learning problems by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between learners, this study propose to develop distance education programs using music cooperative learning models. Advance research and the understanding on distance classes, its management criteria and guideline in Korea were explored, and exploring the meaning of cooperative learning in distance classes. music program and evaluation for one semester of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were planned, and the detailed study plan based on ICT was developed. As a result, In a small meeting room where only members can communicate, music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interest, and data can be shared and remote control can be provided to help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conference room, all the classes may communicate, present, evaluate, and refl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ethodical tool for future social music learning and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music subject. 미래사회의 급진적인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인한 문화적 변화와 현재 COVID-19와 같이 예측불가피한 문제 상황에서 요구되는 방법적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원격수업 음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서는 학습자간의 협력과 사회성 발달을 요구하고 있으며, 원격수업에서도 이와 같은 목적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음악과 협동학습 모형은 학습자간 소통하고 협력하여 학습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는 음악과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원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와 우리나라에서 제시한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 및 가이드라인을 살펴보고, 원격수업에서의 협동학습의 의미를 탐색하여 협동학습을 적용한 원격수업 프로그램 및 평가안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중학교 3학년의 한 학기 원격 수업 프로그램과 평가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 제시한 운영 방안 중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에서는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협동학습은 의미있는 교육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모둠원들간만 소통할 수 있는 소회의실에서 주제와 관심에 따른 음악을 선택할 수 있고, 자료의 공유와 원격제어도 가능하여 서로 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대회의실에서는 반전체가 소통을 하여 발표하고 평가 및 반성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미래사회 음악학습에 대비한 방법적 도구로 활용되어 음악 교과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근린공원의 이미지 확립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BI) 디자인 개발 - 진주시 진양호공원을 중심으로 -

        박현진,최경옥,윤재성,정가람솔,당혜령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3

        Background Neighborhood parks are transforming into vehicles for public welfare. Jinju City, located in Gyeongsangnam-do, is also striving to be reborn as a public welfare hub and a tourist attraction through the 'Jinyangho Renaissance' project.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inyangho Park' and undertake BI development. Methods Suggestions are derived by taking into account design-related plans and laws in Gyeongsangnam-do and Jinju city. Following that, we will analyze similar BI cases and investigate the image of Jinyangho Park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e will then proceed with BI development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Result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analysis, the first candidate received the highest prefere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eferences based on gender, but some variations were observed based on ag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evelopment of Jinyangho Park BI has been completed, and BS and AS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Conclu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Jinyangho Park BI, we have acquired various communication tools. Additionally, we have been abl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inyangho Park, enabling effective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anticipate enhanced economic and cultural value-creation activities in Jinju City. 연구배경 근린공원은 공공복지화 수단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상남도 진주시 또한 ‘진양호 르네상스’ 사업을 통하여 시민들의 공공복지 및 안녕과 관광명소로 거듭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진양호공원’의 이미지 확립이 필요한 상황이며 BI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경상남도와 진주시의 디자인 관련 계획 및 법령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후 BI 유사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진양호공원의 이미지를 조사한다. 조사한 의견을 근거로 BI 개발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시안 선호도 분석 결과, 1번 시안이 최다 선호도를 기록하였다.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연령대에 따른 선호도 차이는 일부 존재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진양호공원 BI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BS, AS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결론 진양호공원 BI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소통 도구를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진양호공원의 이미지 확립이 가능해졌으며 대내외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진주시의 경제적, 문화적 가치 창출 활동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