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화법과 언어’ 과목의 화법 정체성 분석

        조재윤 한국화법학회 2024 화법연구 Vol.0 No.64

        In this study, the character and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Speech and Language” subject were categorized into ‘orality-centered, discourse type-centered’ with a strong speech identity and ‘competency-centered, communication purpose-centered’ with a weak speech identity. The analysis that it has a strong speech identity and many character and goals, content sys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shows that it has not lost its character as a general elective subject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learned in the common curriculum by maintaining the uniqueness of the ‘speech’ area; nevertheless, there are integrated areas that make it difficult to consider it appropriate as a subject. However, what was analyzed as an achievement standard with a weak speech identity was set to be integrated with the ‘grammar’ area,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suitable as an integrated subject,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newly established “Speech and Language” subject, provides insight into how to view the integration of the two areas when selecting textbooks in high school setting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academic uniqueness of each area in school classes. This serves as a reference for educational decisions on whether to focus on one area or integrate these two areas.

      • KCI등재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 탐색 -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조재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provide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thod in an e-learning system. A web-based learning system is called an 'e-learning system', learning modes of which include transaction, multiple literacy, temporal and spatial conquest, open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elf-direc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ories of literature went through Romanticism and New-criticism stages to develop into the Reader-response theory and found out response-based learning, reading discussion, and RDE as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to value social relations with other learners and contextual experiences and compose cooperative meanings.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has advantages that it enables literature education to meet learners' interest or needs, that it makes it easy to consider their literary level, and that it activates their expression(creation) activities. Discussion was also made to see if web-based communication could replace direct communication(listening & speaking activity), if transaction could be activated on the basis of spoken language to meet social constructivism, and how to guarantee learners' spontaneity in providi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in an e-learning system,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canons to diverse voices' and to change educational methods from 'delivery to transaction ba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탐색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체제를 ‘이러닝 체제’라고 하고, 이러닝 체제의 학습 양식으로는 상호 교섭, 다중 문식성, 시간과 공간의 극복, 지식과 정보의 개방, 자기 주도성 양식이 있다. 문학교육은 문학 이론이 낭만주의 단계, 신비평 단계, 독자 반응 이론으로 발전하였음을 알아보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사회적 관계와 문맥적 경험을 중요시하면서 협조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문학교육 방법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과 독서 토론, RDE 방법 등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장점은 문학교육을 학습자의 흥미나 요구에 맞게 진행할 수 있는 점, 학습자의 문학적 수준을 고려하기에 용이한 점, 학습자의 표현(창작) 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닝 체제에서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을 할 때 주의점으로, 웹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이 직접적인 소통(듣기․말하기 활동)을 대신할 수 있는지, 사회적 구성주의에 알맞게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상호 교섭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학습자의 자발성을 어떻게 담보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닝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은 ‘정전으로부터 다양한 목소리로’로 변해야 한다는 관점과 ‘전달에서 듣기․말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교섭으로’ 교육방법이 변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청틸라피아의 체조성과 생식소 중량 지수에 미치는 $17\alpha-Methyltestosterone$ 호르몬의 영향

        조재윤,알 오닐 스미들먼,더글러스 테이브,Jo Jae-Yoon,Smitherman R. Oneal,Tave Douglas 한국양식학회 1995 韓國養殖學會誌 Vol.8 No.3

        청틸라피아 (Oreochromis aureus)의 자어에 0, 1, 10, 60 ppm의 $17\alpha-methyltestosterone$(MT)을 30 일간 사료에 섞어 먹인 후 다음 57 일간을 0 ppm을 먹인 그룹은 다시 세그룹으로 나누어 0 ppm MT (0-0), 10 ppm MT (0-10), 및 60 ppm MT (0-60)을 먹였고, 60 ppm 을 먹인 그룹은 다시 3 그룹으로 나누어 0 ppm MT (60-0), 10 ppm MT (60-10), 및 60 ppm MT (60-60)을 먹였으며, 초기 30 일간 1 ppm과 10 ppm MT를 먹인 것은 계속해서 1과 10 ppm을 먹여서 체조성과 생식소 중량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기 30 일간 어체의 조단백과 조지방은 MT 농도와 역상관 관계를 보였고, 수분 함량은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후기 57 일간에 먹인 MT는 초기 30 일간 먹인 MT 보다도 숫컷의 체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사료 중의 MT는 초기 30 일간이나 후기 57 일간 모두 숫컷의 생식소 중량지수에 나쁜 영향을 보인 반면에, 암컷의 경우에는 후기 57 일간에 사료 중의 MT 양이 생식소 중량지수에 나쁜 영향을 나타내었다. Blue tilapia, Oreochromis aureus swim-up fry were fed,0, 1, 10, or 60 ppm $17\alpha-methyltestosterone$(MT) for 30 days (sex reversal period). Fish that had been fed 0 ppm MT during the sex reversal period were subsequently fed 0 ppm MT (0-0), 10 ppm MT (0-10) or 60 ppm MT (0-60) for the next 57 days (post sex reversal period) ; fish that had been fed 60 ppm MT during the sex reversal period were subsequently fed 0 ppm MT (60-0), 10 ppm MT (60-10), or 60 ppm MT (60-60) during the post sex reversal period. One group was fed 1 ppm MT (1-1), while another group was fed 10 ppm MT (10-10) during the entire 87-day experiment.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MT and percentage body protein and percentage body fat at the end of the sex reversal period,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MT and percentage body moisture. MT treatment during the post sex reversal period had greater effects on body composition of males at the end of the post sex reversal period than did MT treatment during the sex reversal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T concentrations, during both the sex reversal and post sex reversal periods, and gonosomatic indices (GSI) in males. In females,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T concentrations during the post sex reversal period and GSI.

      • 나일틸라피아와 청틸라피아의 성전환과 초기 성장에 미치는 $17\alpha-Methyltestosterone$ 호르몬의 영향

        조재윤,알 오닐 스미들먼,더글러스 테이브,Jo Jae-Yoon,Smitherman R. Oneal,Tave Douglas 한국양식학회 1995 韓國養殖學會誌 Vol.8 No.2

        여섯 가지 농도(0, 5, 10, 15, 20, 30 ppm)의 $17\alpha-Methyltestosterone$ (MT)를 사료에 섞어서 청틸라피아 (Oreochromis aureus)와 나일틸라피아 (O. niloticus)에 30일간 먹여서 성전환율과 성장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종류 모두 15 pprn의 MT는 $100\%$ 숫컷이 생산되었다. MT를 먹인 것이나 먹이지 않은 나일틸라피아는 청틸라피아보다 빨리 성장하였다(P<0.05) The effects of six levels (0, 5, 10, 15, 20, and 25 ppm) of dietary $17\alpha-Methyltestosterone$ (MT) on sex reversal and growth of Oreochromis aureus (Steindachner) and O. niloticus (L.) were evaluated. Fifteen ppm MT produced $100\%$ male populations in both species. Both MT-treated and untreated O. niloticus grew significantly faster than their O. aureus counterparts (P<0.05).

      • KCI등재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조재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9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and alternative planned the content syste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listening․speaking domai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and notified in 2012. As for the content system, it critically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6 items such as the reuse of ‘practice’ category, the establishment in ‘a word of expressing friendship and emotion’ out of practice category, the establishment of ‘media’ in the practice category, and the content in ‘skills’ category, the establishment of ‘attitude’ category, and the use of line in the content system table. As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it critically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5 items such as the realities of reductio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listening․speak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school year group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domain, the relationship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balance in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nowledge/skills/attitude category, the balance in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listening․speaking domain, the consistency in a method of suggesting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이 연구에서는 2012 개정 고시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대안을 논의하였다. 우선 내용 체계는 ‘(언어) 자료 및 활동’을 통어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실제’라는 범주명을 그대로 사용할 것, ‘친교 및 정서 표현’에서 ‘친교’ 목적의 성취 기준이 많이 삭제되어 친교적인 언어 사용의 약화 문제를 해결할 것, ‘매체’는 ‘듣기․말하기의 매체’로 설정한 후에 하위 항목으로 ‘매체의 사용’을 설정할 것, 태도 범주의 하위 항목으로 ‘화자와 청자 고려’를 설정할 것, 각 범주 간의 유기적 통합을 나타내도록 체계표를 점선으로 할 것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성취 기준은 듣기․말하기 성취 기준 수의 감축 비율을 낮출 것, 성취 기준을 삼원화하여 제시한 목적이나 이유, 논리적인 설명을 제시할 것, 듣기․말하기 영역 내용 체계의 지식, 기능, 태도 범주에 해당하는 내용을 내용 성취 기준으로 적절하게 안배할 것, 듣기와 말하기의 성취 기준 수가 균형을 이루도록 통합할 것, 내용 성취 기준은 ‘실제’에 있는 언어 사용 목적이 골고루 반영되도록 할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 탐색

        조재윤,김지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2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 비교 연구를 위하여 두 교육과정의 내용 체재를 바탕으로 공통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다섯 가지 - 목표, 내용 체계, 성취 기준, 의사소통기능, 언어 재료(소재) - 를 비교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비교 결과, 목표 진술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경우, 인지적 영역에서 정의적 영역의 추구로 나아가는 것 달리, 영어과 교육 목표는 정의적 영역에서 인지적 영역으로 전개되고 있다. 내용 체계는 한국어교육과정의 경우, 영어과 교육과정보다는 제2외국어과의 ‘생활 외국어’의 내용 체계와 유사한 면이 많았다. 성취 기준은 수준급을 중심으로기술되어 있는 한국어와는 달리, 영어과는 학년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학교급별 수준 차이를 좀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의사소통 기능은 영어과가 더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있고, 예시도 풍부하였다. 언어 재료의 경우, 한국어는 부록에 텍스트 유형(총 50개)을 제시 하였으나 영어과는 제시하지 않았다.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정하기 위한 시사점으로 ‘기능 또는 태도를 우선으로 하는 목표 설정, 내용 체계에 있는 문화 의식과 태도의 하위범주에 대한 위계화와 구체화, 한국어 수준의 단계에 중점을 둔 성취기준 기술, 각 기능 항목별로 세분화한 의사소통 기능 제시, 언어 재료(소재)는 텍스트 유형의 구체적 제시’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 for revision KSL curriculum. This is Centered a comparative study of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Five kinds which are described as common to both curriculum - aims,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communication features, language material - were compared. As a result, Looking at the educational aim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pursue a more cognitive than affective. on the other hands, English Department knew that it considered affective as priority than cognitive. In the case of KSL, it heavily influenc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irst language curriculum. But Content is influenced the second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t achievement standard, KSL is deferent from English. KSL is organised grade bands. so more flexible. but English curriculum separate grade. so It can be seen the grade achievement clear. At communication feature, There are more many detailed examples in English. At language material, KSL give 50 statement. In order to revise the Korean courses, we have set up a function or attitude as the primary goal, setting a hierarchy of cultures and attitudes contained in the content system, and proposes that it be materialized. It should also describe the achievement standards around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to present a communication features segmentation by category for each function and language materials will be specifically presented a text type

      • KCI등재후보

        학습 듣기ㆍ말하기: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실천

        조재윤 한국화법학회 2008 화법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nd examine whether listening & speaking have a role as a tool of higher thinking and are practice to meaning making of learners. This paper has defined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s “listening & speaking performed for learning not only in the subject,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in other subjects” taking the point that in the teaching & learning process, listening & speaking play an important role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this paper recognizes that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carry significance in terms of a tool of improving ability in higher thinking and also practice to meaning making of learners. In the future studies of listening & speaking should be continued focusing on examining patterns of listening & speaking to learn and ascertaining their value as a tool and practice to of learners as suggested in this paper. 이 글의 목적은 학습 듣기ㆍ말하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듣기․말하기가 고등 사고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실천임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교수ㆍ학습 과정에서 듣기ㆍ말하기가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듣기ㆍ말하기’를 “국어 교과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의 학습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듣기ㆍ말하기”라는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학습 듣기ㆍ말하기가 고등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도구로서 의미를 가지고, 학습자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실천으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앞으로 듣기ㆍ말하기 연구는 이 글에서 제안한 ‘학습 듣기ㆍ말하기’ 개념에 알맞은 양상을 살피고 학습자의 의미 구성을 위한 도구이자 실천의 실제를 밝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