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탈리아 르네상스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

        최종희,김규연,최용원 한국전통조경학회 202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는 1451년에서 1457년 사이에 코지모의 아들 조반니를 위해 지어진 후 다수의사람이 소유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미켈로초가 설계를 하였으며, 알베르티의 전원 거주에 대한 개념이 잘 나타난 첫 번째 르네상스 신축 빌라 사례이다. 둘째, 입지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가장 큰 특성으로, 피에졸레 급경사지에 지어져 피렌체 일대 경관을한눈에 바라볼 수 있으며, 주변 경관을 빌라 및 정원으로 차경하고 있다. 셋째, 언덕 사면을 이용해 조성된 정원의 전체 구성은 각기다른 높이의 세 단 테라스에 기초하는데, 전체적인 공간 배치 형태는 빌라를 중심으로 종축과 횡축이 교차하는 직교축으로 조성되었다. 넷째, 식생 및 점경물의 경우, 가장 높은 곳의 첫 번째 테라스에는 세 개의 잔디 화단 위로 오래된 오동나무, 장미, 화분에 심긴 레몬나무가 배치되어 있으며. 분수와 벽감이 테라스의 중간과 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두 번째 테라스는 계단을 통해 도달할 수 없고 빌라 또는 문 밖의 경사로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으며, 특히 비밀의 화원으로 이어지는 등나무 퍼골라가 조성되어 있고, 퍼골라 중앙에는 세 번째 테라스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다. 비밀의 정원은 사분정원의 형태를 띠며, 타원형 연못과 회양목 화단 및 태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아래의 세 번째 테라스에는 원형 분수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기하학적인 형태의 회양목 화단이 펼쳐지며, 화단 중심에는 커다란 레몬나무와 분수 주변으로는 네 그루의 태산목이 심겨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ard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illa Medici a Fiesol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Italian Renaissance garden, and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Villa Medici a Fiesole was built between 1451 and 1457 for Giovanni, the son of Cosimo, and then owned by many people and came to the present. It was designed by Michelozzo and is the first newly built Renaissance villa to show Alberti's concept of rural residence. Second, the location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Villa, which was built on the steep slope of the Fiesole and offers a panoramic view of the landscape of Florence. Third,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garden created using the slope is based on three terraces of different heights, and the overall spatial arrangement is made up of an orthogonal axis at whic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xes intersect around the villa. Fourth, in the case of vegetation and objects, old paulownia, roses, and potted lemon trees are placed on the first terrace on the three lawn flower beds. Fountain and niche are located at the middle and east end of the terrace. The second terrace cannot be reached through stairs, but only through a villa or a ramp outside the door. The second terrace has a wisteria pergola that leads to a secret garden, and in the center of the pergola, there is a staircase that leads to the third terrace. The Secret Garden takes the form of a quarter garden and consists of an oval pond, a coniferous flowerbed, and magnolias. On the third terrace at the bottom, a symmetrically geometric flowerbed spreads out on both sides of a circular fountain, and large lemon trees are in the center of each flowerbed and four magnolias are planted around the fountain.

      • KCI등재

        조선왕릉 선릉·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와 관리 방안

        최종희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조선왕릉 선릉·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림 현황의 경우 식생은 갈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갈참나무군락 21.22%, 소나무군락 21.22%, 소나무 식재림 3.69%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이다. 둘째, 8개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결과 주요 수종은 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최고 분포범위는 소나무 20-25cm, 갈참나무 25-30cm, 오리나무 25-30cm로 나타났다. 셋째, 선릉에는 능의 형식에 맞지 않게 왕릉과왕비릉 사이에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릉에는 능역이 좁아 소나무림이 조성되기에 불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으며, 제향공간 좌우의 소나무림이 높이차가 심해 시각적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으로 외래종인 스트로브잣나무를 제거하고능선을 따라 소나무림을 조성한다. 선릉의 왕릉과 왕비릉 사이의 숲 제거 후 잔디밭을 조성하고, 정릉 좌우의 소나무림 높이를 조정하고곡장 가까이에 있는 소나무들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시각적으로 이질감을 보이는 수목들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경계부는 주변의 낙엽활엽수와 조화되도록 조정하고 10m내외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상황이 유사한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에는 개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eolleung and Jeongneung historical cultural landscape forests of Joseon Royal Tombs and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vegetation is dominated by Quercus aliena and Pinus densiflora, and it is distributed as Quercus aliena community 21.22%, Pinus densiflora community 21.22% and 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3.69%.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are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and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Second, in the measuring of Diameter of Basal Height in eight quadrat, the main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and Alnus japonica and the maximum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asal Height was 20-25cm of Pinus densiflora, 25-30cm of Quercus aliena, and 25-30cm of Alnus japonica. Third, the forest is located between King and Queen's royal tombs in Seolleung,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form of the tombs. In Jeongneung, the narrow space of the ceremony area shows an un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formation of pine forests, and the pine forests on the left and right have a different heights that hinders the visual landscape. Fourth, as a management plan for the forests, stray pine trees, which are exotic species, are removed and pine forests are formed along the ridges. After removing the forest between the King and Queen's royal tombs of Seolleung, grass is formed, and the height of the pine forest on the left and right of Jeongneung is adjusted, and pines near the Gokjang are continuously monitored. Visually heterogeneous trees are arranged boldly, the boundary is adjusted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deciduous trees and maintains a buffer space of about 10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Joseon Royal Tombs and in the future, the actual conditions of each Joseon Royal Tombs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opriate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연산 돈암서원(豚巖書院) 구지(舊址) 및 현지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최종희,노재현,오현경,한윤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2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연산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던 기호학파 사림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연산 돈암서원의 구지와 현지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돈암서원의 구지의 입지 및 경관성과 장소성 그리고 서원 일원의 입지및 공간구성을 검토함으로써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에 따른 돈암서원의 진정성을 고양할 수 있는 자료 추출을 목표로시도되었다. 구지에 존재하는 돈암 각자바위를 비롯하여 고지도 및 양성당십영에서 언급되는 조망경관상과 풍물요소는 구지의장소정체성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양성당 주변에 조성되었던 쌍연지(雙蓮池)는 현지에서도 복원이 요망된다. 한편현지의 공간구성은 전학후묘로 응도당인 강당이 수직축 상에 있었지만 건물은 현 위치로 이건시 이미 양성당이 강당의위치로 이건되어 부득이 응도당은 좌측으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현 공간구성은 진입공간-강학공간-제향공간그리고 관리공간으로 구분된다. 현 부지내 식재된 수목 중 향나무 노거수를 비롯하여 배롱나무, 소나무 등은 보존적가치가 높게 파악되며 입덕문 기단과 꽃담에 표현된 상징미학적 메시지도 파악할 수 있었다.현 부지의 지속적인 보존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현 위치에서 가까운 돈암서원의 구지 또한근 250여 년간 서원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 곳으로서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돈암서원의 진정성을 강화한다는측면에서도 구지의 보존 및 경관 형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current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Former and the existing site of Donamseowon, which was the base of Salim(士林) developed mainly in Yeonsan area during mid-Chosun period. By studying the current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Former and the site of Yeonsan Donamseowon, it extracted data for the enhancement of authenticity of Donamseowon as it w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Including Donam Gakja rock in Former, distant landscape and scenery elements mentioned in the old map and Yangseongdangsimyoung imply the locational identity of the Former. Especially, Ssanyeonji, which was constructed around Yangseongdang is required to be restored on site. Meanwhil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ite is the school in front and the court in the back arrangement that the assembly hall, Eungdodang, was on the vertical axis, but it seems when the building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because Yangseongdang was already moved to the location of the assembly hall, Eungdodang was placed on the left. Current spatial organization is classified as entrance, studying area, rite area, and management area. Among plants in current site, old Juniperus chinensis, Lagerstroemia indica and Pinus densiflora are considered for high preservative values, and symbolically aesthetic messages on the stylobate of Ipdeokmun as well as flower wall. Continuous preservation of current site is important above all. However, the Fomer in Donamseowon close to the current area, which was to perform roles and functions of a lecture hall for past 250 years, must also be preserved and the landscape should be formed to reinforce the authenticity of Donamseowon, which is registered in the tentative list of World Cultual Heritage.

      • KCI등재

        A Study on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Dodong Seowon, Unesco World Heritage

        최종희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7 N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more comprehensiv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considering land ownership, designation of protected zone, means of implementing protection measures, and monitoring of Dodong-Seow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cted area was proposed by analyzing and evaluating cultural context, visibility analysis and land use statu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area and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of Dodong Seowon. Second, Suwollu is a medium that connects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and is the starting point for viewing the landscape. In order to preserve the landscape view of Dodong Seowon, the view of Doksan mountain and Nakdonggang River located in front of Suwollu should be secured. Third, checklist for the monitoring of Dodong-Seowon have been developed by modifying the existing monitoring indicators for Historic Sites as place, sense of view, skyline, context and stunt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issues based on factors affecting conservation status and heritage and factor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heritage. This study focuses on Dodong Seowon among the nine seowon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 other seowon and to prepare a landscape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suitable for each seo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