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소시효의 정지‧연장‧배제와 소급효

        강동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8

        공소시효는 실체법적 측면과 소송법적 측면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제도이지만 그 본질은 소송법설에 따라 이해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1) 형벌권과 형벌청구권은 다르며 공소시효는 절차법적 권리인 형벌청구권을 소멸시킬 뿐이라는 점, 2) 공소시효가 형사소송법에 규정되어 있고 공소시효가 완성된 때에는 면소판결을 선고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3) 소송법설에 의할 때 공소시효의 정지·연장·배제가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나아가 공소권은 국가의 소추권 행사 권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대한 적정한 형벌권을 발동하여 범죄로부터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해야 하는 의무의 성질도 가지므로, 법정형의 경중을 기준으로 국가에게 그 의무이행의 기간을 달리 정하는 것은 소송법설의 입장에서도 필요하고 또한 타당하다. 죄형법정주의의 내용인 소급효금지의 원칙은 범죄의 성립과 처벌을 직접 규정하지 않고 이미 발생한 형벌권을 실현하기 위한 절차·방법·기간 등을 규정한 법률에는 원칙적으로 적용되지 아니한다. 절차법에서는 오히려 절차진행 당시의 법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소급효금지의 원칙은 행위자에게 불리한 공소시효 기간의 정지·연장·배제 규정에는 적용되지 아니하므로, 이들 규정과 관련하여 진정소급입법은 허용되지 않지만 부진정소급입법은 허용된다. 즉 공소시효의 정지·연장·배제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할 때 시행당시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범죄에 대하여 이를 적용하는 입법은 헌법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또한 새로 제정·개정된 공소시효의 정지·연장·배제 규정의 소급적용에 대한 경과규정이 없는 경우 해석에 의하여 소급적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공소시효를 정지·연장·배제하는 규정이 신설되거나 개정되었음에도 이의 소급적용 여부에 대한 경과규정이 없을 경우 해석으로 소급적용을 할 수 있는가에 관한 대법원의 상반된 판결은 수사기관과 법원의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법원의 견해가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조속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국회에서 공소시효를 정지·연장·배제하는 규정을 입법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것의 소급적용 여부에 대한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공소시효에 관한 일반규정인 형사소송법 제249조에 제3항을 “법률의 변경에 의하여 공소시효가 정지·연장 또는 배제되는 때에는 당해 법률의 시행 당시 아직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범죄에 대하여도 변경된 법률을 적용한다. 단 당해 법률이 달리 정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는 내용으로 신설하는 것이다. 공소시효는 특정한 몇몇 범죄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범죄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개별 법률에서 그때그때 규정할 경우 체계적이고 통일적인 규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법적용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명문으로 진정소급효를 부정함으로써 형벌청구권의 재생을 통한 형벌권의 부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공소시효 기간의 불이익한 변경의 경우 진정소급효는 부정하되 부진정소급효를 인정하는 명시적인 규정을 형사소송법에 둠으로써, 소급효 인정 여부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고, 입법시 발생할 수 있는 흠결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preme Court Judgment(2015. 5. 28. 2015do1362) denied the retroactive effect of exclusion clause of prescription of public prosecution in applying §20 ③(§21 ③ of the existing law)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Enforcement Date 17. Nov, 2011., Act No.11088, 17. Nov, 2011.) to quasi-rap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Judgment(2016. 9. 28. 2016do7273) admitted the retroactive effect of suspension clause of limitation period for public prosecution against a crime of child abuse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Enforcement Date 29. Sep, 2014., Act No.12341, 28. Jan, 2014., New Enactment). Prescription of public prosecution has both aspects, those are, the substantial reason and the procedural reason. There are three theories concerning the nature of prescription of public prosecution: the substantial theory, the procedural theory and the combination theory. I think that the nature of limitation period for public prosecution has to be understood by the procedural theory in the following ways: 1) the right to claim punishment(the right to public prosecution) is different from the right to punish. namely the former is the right in criminal procedure act, the latter in criminal law. 2) the right to public prosecution has the property of duties as well as rights. 3) the time limit for prosecuting felonies is longer than that for misdemeanors, and little wonder the limitation period for public prosecution depends upon the legal penalty of the crime. The Supreme Court’s contradictory opinions causes confusion, so this issue must be settled by the Supreme Court en banc Judgment without delay. To avoid inconsistency in judgement as above, whenever the legislature adopts a law to suspend, extend or exclude limitation period, the clause that decides whether the revised limitation period has retroactive effect or not should be included. It is more desirable to establish the third clause on the Criminal Procedure Act §249, the general article concerning the prescription of a public prosecution, cleary regulating that when revised regulations result in suspension, extension or exclusion of limitation period, it automatically applies to crimes that don’t expire the statute of limitations yet, if there’s no exclusion clause to regulate it differently. The prescription of a public prosecution applies not only to certain special crimes but to all crimes generally, so that if the applicability of limitation period’s retroactive effect changes at times, the confusion will be thickening as there’s no systemic and consistent standards for its application. Providing for in the law prohibiting admitting the retroactive effect to crimes already statute-barred,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from restoring the right to prosecute which leads to restore the right to punish crimes by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confusion in accepting the retroactive effect could be solved by legislating the clause, expressly specified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at the disadvantageous revision in statutory limitation only applies to crimes which aren’t statute-barred yet not to crimes already statute-barred. It will also be the solution to the possible deficit on the statute of limitation in legislation.

      • KCI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Pre- and Post-Korean (L1) Summary on CBI

        강동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9 현대영어영문학 Vol.53 No.1

        This article reports on an exploratory study on 24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of content knowledge in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Previous studies on CBI have exclusively focused on whether to use CBI or not, rather than on how to teach CB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s of pre- and post-Korean (L1) summary on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CBI preceded by Korean summary was positively related to low level students, while CBI followed by Korean summary, to high level students.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especially, high level students, paid more attention to the CBI instruction when followed rather than preceded by Korean summary. The educational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하시모토 갑상선염 유무에 따른 갑상선 유두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강동,한선욱,허성모,우희두,김성용,Dong Hyun Kang,Sun Wook Han,Sung Mo Hur,Hee Doo Woo,Sung Yong Kim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3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3 No.4

        Purpose: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Hashimoto’s thyroiditis (HT) and papillary thyroid cancer (PTC) remains controversial.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clinicopath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HT and PTC, and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former has on the latt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73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 surgery with PTC.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existent HT group and PTC alone group, and the clinicopathologic data were analyzed. Results: Out of 773 patients, the coexistent HT group included 269/773 (34.8%)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d 504/773 (65.2%) patients. In comparison of thes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xtent of surgery, serum T3, Free T4, number of tumors, multifocality, tumor size, extrathyroidal extension, and lymph node metastasis. In sex, women were at the higher rate in coexistent H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08). Serum TSH level was higher in the coexistent HT group (P<0.001). In addition, using the AMES scoring system, the coexistent H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low risk than the control group (P=0.048).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T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81, odds ratio= 1.335; 95% CI, 0.965∼1.847). Conclusion: The rate of women and serum TSH level were higher in the coexistent HT group. In addition, the low-risk group showed the higher rate in the case of accompanying HT, and though the HT does not affect the lymph node metastasis but much more researches would be needed on that.

      • KCI등재
      • KCI등재

        르네상스 철학의 명상과 신비적 합일에 대한 연구

        강동수(Kang, Dong-So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이 연구는 N. 쿠자누스의 『루도 글로비에 관하여』(De Ludo Globi) 와 M. 피치노의 『플라톤 신학』 (Theologia Platonica)을 중심으로 명상과 신비적 합일을 고찰하였다. 쿠자누스는 ‘글로부스 놀이’를 통해서 명상을 설명하였다. 그의 설명에서 세계가 놀이판에, 영혼이 공에, 신은 중점에 비유된다. 그리고 중점을 향한 공의 운동이 신에로 상승하는 영혼의 여행으로 비유된다. 영혼의 상승운동이 사유 활동이므로 명상은 영혼여행을 뜻한다. 세계와 영혼은 양자 모두에 생기를 주는 빛, 즉 신 안에 배치되어 있고, 세계는 신을 향한 영혼 여행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이에 따르면 영혼은 신으로부터 사유하도록 추동되고, 명상은 신의 인식에 도달하는 것이 궁극 목적이다. 피치노는 명상의 목적을 “신비적 합일”로 생각한다. 그는 『플라톤 신학』에서 영혼의 불멸성을 논구하여 영혼이 신과 신비적 합일에 도달해야 할 근거와 이유를 고찰하였다. 그는 영혼의 성격을 인식과 의지로 구별하고, 신과 신비적 합일에로 상승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해명한다. 이러한 의지는 신의 사랑에서 동기화되어 신을 향한 눈먼 사랑으로 귀결된다. 그는 일자에로 지향하는 영혼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사랑으로 파악한다. 사랑은 우주의 존재 위계들 사이를 순환하면서 우주의 생성을 도모하는 활력소로 신비로운 힘이다. 쿠자누스와 피치노는 모두 명상이 영혼의 자기정화 방법으로, 신을 향해 상승하는 운동으로 파악한다. 그들의 명상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모순에서 생겨나는 고통과 불안 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유 활동이다. 명상은 물질적 삶으로부터 정신적 삶에로 가는 ‘영혼여행’으로 “지혜놀이”이다. 그들은 명상을 통해서 영혼이 순화되고, 궁극적으로 평안과 휴식을 얻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해명은 심리 치료를 위한 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quired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in N. Cusanus’s De Ludo Globi and M. Ficino’s Theologia Platonica. As a clue for an investigation of their concepts we examined the same character of play and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Cusanus explained the character of world and soul with symbols of play. For him the world is the starting point of soul-journey toward the God. He explained contemplation as a soul-journey. The movement of soul is a thinking. The soul was motived from God, and the soul contemplated divine Being of God. And further we inquired into the condition and end of soul-journey in De Ludo Globi. According to Cusanus, man learns the ways and self-control in soul-journey for God. He discharges his difficulties and adventures for life. In the process man attains joys of divine life. Ficino was explained for the aim and process and ground of mystical union in his Theologia Platonica. His ‘mystical union’ was constituted with many stages and a motive. The necessity of purification of soul is served as a stepping-stone for mystical union. He thinks as a link with the relation between world and soul and the One. The link has many stages, but it is continual relation. All things in the universe have his form and place of movement. Specially soul has two wings of a desire and a cognition. The harmony of them is necessary to a rising soul toward God. Human desires in a sensory body disturbs soul in his ascension. Since it is so, the purification of soul was necessary claimed. For Ficino mystical union is soul-movement that solves a contradiction of actual world and intention. It appears as soul-purification and self-satisfaction. In an jubilation of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soul ascends to divine sphere. This ascent of soul brings about an effect of healing. Because the contemplation is soul-journey that travel from a world life to the eternal and supreme bliss. For that reason contemplation and mystical union must be considered as a philosophical therapy.

      • SEU 감소 기법을 적용한 나로과학위성 탑재컴퓨터 개발

        강동,오대수,강경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논문은 나로과학위성 탑재컴퓨터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LEON3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나로과학위성 탑재컴퓨터는 FPGA 상에서 동작하며, 우주 방사능 환경으로 발생하는 SEU로 인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Triple Modular Redundancy (TMR) 기법을 사용하였다. TMR 기법은 널리 알려진 에러감쇄 기법 중 하나로 다중화에 기반한 기법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TMR 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TMR 기법을 적용한 경우 FPGA의 자원 사용률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TMR 기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LUT와 F/F 사용률이 각각 약 3.5배, 약 3배 정도 증가함을 보였다. 최대 동작 클럭 속도 또한 약 7%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board computer for Naro science satellite. The on-board computer using LEON3 processor runs on the FPGA. To mitigate SEU effect, we apply a Triple Modular Redundancy (TMR) scheme to the on-board computer. The tmr scheme is a well-known fault tolerant approach, based on modular redundancy. We observed a variation of FPGA resource utilization between non-TMRed on-board computer and TMRed on-board computer. TMRed on-board computer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LUT and F/F are 3.5 and 3.0 times more,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non-TMRed on-board computer. The available maximum clock speed is about 7% reduced than the non-TMRed on-board compu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