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Sarcomatoid Carcinoma Arising from Mature Cystic Teratoma

        Ho-Chang Lee1, Seung-Myoung Son, Yong-Moon Lee, Ji Hae Koo, Song-Yi Choi, Ok-Jun Lee, Eun-Hwan Jeong 충북대학교 동물의학연구소 2012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Vol.13 No.2

        Malignant transformation of mature cystic teratoma (MCT) is rare. Sarcomatoid carcinoma is a neoplasm comprising malignant mesenchymal cells and a conventional carcinomatous area. Here, we report on a case of sarcomatoid carcinoma arising from an MCT in the left ovary of a 45-year-old female. A unilocular cyst consistent with MCT was observed; however, a nodule within the cyst was confirmed from the resected ovary. Microscopically, the nodule showed both squamous cell carcinoma and pleomorphic sarcomatous components admixing with each other. Lining epithelial cells at the periphery of the main tumor showed squamous metaplasia. When a sarcomatous component is observed in the ovary tumor, it is important to find a squamous cell component, either benign or malignant.

      • 혈액 투석 환자에서 중심정맥 협착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 : Wallstent Placement

        임대승,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정우,강정아,김정희,이민수,정준용,최시완,정진옥,성인환,이강욱,신영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1

        Stenosis of central vein is a common complication arising after percutaneous subclavian vein catheter insertion performed for temporary vascular access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re are several treatment methods for the condition like percutaneous angioplasty(PTA), stent insertion, and surgery, but recent trend is toward PTA and stents. Among th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from March 1993 to May 2002 and undergoing hemodialysis through AV fistula, the 14 Patients in whom central vein stenosis aros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total of 28 percutaneous interventions(5 PTA and 23 stent placement) were performed, and restenosis rate and the time taken till the restenosis in de novo lesions and instant lesions were compared. All 28 cases were operated successfully. The 14 cases that received both ani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initially. (de novo lesion : 14 cases), Among the 10 cases with de novo lesion that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3 cases are currently undergoing hemodialysis without restenosis, and the remaining 7 cases have recurred stenosis with the mean time to restenosis of 10.9 months. In the 7 cases in whom stenosis recurred, 11 interventions were done(instent lesion: 11 cases). 4 of these were using only ballon angioplasty with 100%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time of 3 months until restenosis. The remaining 7 cases were using both balloon angioplasty and stent placement, also with 100% restenosis rate but with the mean time of 12 months until restenosis, which was later than the group receiving only balloon angioplasty. In treating the patients with central vein stenosis, stent placement seems to be more advantageous over PTA in terms of restenosis rate and the mean duration of patency. In the case of instent lesion, inserting the stent for the second time after stenosis recurred lengthened the duration of patency compared to performing balloon angioplasty alone.

      • 20세기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발달에 관한 연구

        이승옥 우석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1 No.-

        Fashion Illustration is a kind of cultural penomena. Therefore it has its own history. In this paper 1 surveyed the historical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Fashion illustration was much influenced by fashion magazine. <Vogue>. In 50s and 60s it flourished when Vogue focused on fashion illustration. Now fashion illustration in fashion magazines is almost dead. In the eighties editorial illustrations experienced a "Renaissance". New high-level illustration magazines were found.

      • 1960년대 보그(Vogue)지에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이승옥 又石大學校 1994 論文集 Vol.16 No.-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872 fashion illustrations which appeared in Vogue from 1961 to 1970. From these illustrations I chose 15 ones which show the notable characters of that period. This 10-year period was divided in three parts: 1961-1963, 1964-1966, 1967-1970, In 1961-1963 the legendary fashion illstrator Bouche′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After the death of Bouche′ in 1963 the fashion illustration experienced retardation. But from 1967 the fashion illustration began vivid activity. From that year to 1970 some important change appeared in the fashion illustration. Pose became long, showed much variety and eroticism was introduced.

      • 영․유아 그림 표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옥,최은영,임지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再活科學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er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during scribbling period by applying a task condition, to present basic data about effective symbolic painting by analyzing a process of a construct activity, and to examin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in the Korean infant. The one way anova is carried out to find out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of Age(4)X group and the two way anova to Group(2)×Age(4),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The followings were ostensive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tasks and ages(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Second, the NC performance would differ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age and painting type(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one - three years old infants (total of 80) who attend in an infant home in northern Daegu. They were divided in four groups. Each age group was presented two type of painting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take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paint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ed.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ainting symbol was different by task and age. The expressive ability in total score, constituent of object, pair symbolic in P task and DC task was increased as aging. Among the group of infants aged 1.5 - 2.5, P task was performed better than DC task, and the score of P task and DC task was equally heightened as they become age of 3. Second,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would be different (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older has shown more expressive ability in two type of painting. NC task was taken after pre- P task and -DC task, but the symbolic score of NC task differed from. NC task followed by P task represented the more constituents and pair symbols than by DC task.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c level in infant had close relationship with an age, the symbolic abilities in different painting tasks differed order of P task, DC task, and NC task, and symbolic painting was shown from infant age 1.5-2. 본 연구는 초기 그림 표상 출현과정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00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3세 유아 총80명을 무선선정하여 연령별로 4집단을 나누고 각 연령집단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유형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즉 한 그룹은 P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DC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실시 이후 각 과제에서 얻어진 표상그림을 채점하였다. 자료처리는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표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령(4)x집단간의 일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집단(2)×연령(4)에 대하여 2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별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은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P과제 또는 DC과제 모두가 총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의 표현능력은 연령이 높음에 따라 표상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5세-2.5세에서는 P과제가 DC과제보다 훨씬 잘 수행했으며 3세가 되면서 P과제와 DC과제 점수가 같이 높아졌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은 차이가 있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과제 제시유형에서 과제의 표상 능력도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라 P과제 선행 후 NC과제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의 표상의 점수는 다르다. P과제 선행 후 NC과제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에서 보다 더 많은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표상 수준의 발달은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과제에 따른 그리기 표상능력도 P과제, DC과제, NC과제 순으로 일어나며, 표상적 그리기가 1.5세와 2세경에 시작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 이행성 협심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이정우,박형서,박용규,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재환,최시완,정진옥,성인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목적 :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이형성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이형성 협심증으로 확진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내경이 50% 미만의 협착이 있고, 에르고노빈(ergonovine) 유발검사도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233명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83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의 판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전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5예)이나 하강(8예)이 있는 경우 EH한 T파의 역위(19예)가 있는 32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1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는 Marquette사의 case 15 답차를 이용하였고, Bruce protocol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최대로 실시하였으며 각 stage 및 운동후의 혈압을 측정하고 12 유도 심전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임상적 특성 - 내원시 임상 상은 안정형 협심증이 39예(25.8%), 불안정형 협심증이 103예(68.2%), 심근경색증이 9예(6.0%)이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 양성 군과 음성군간에 있어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 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연축의 수 등을 조사하였는 바 어떠한 인자들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51명의 환자중 음성인 경우는 134예(88.8%)이었고, 양성인 경우는 17예(11.2%)이었다.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들중 ST 분절의 상승이 4예(2.6%), ST 분절의 하강이 13예(8.6%)이었다. 3) 관상동맥조영술 -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혈관 경력 위치는 우관상동맥이 70예(46.1%), 좌전하동맥이 44예(28.9%), 좌회선동맥이 17예(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예중 Ⅱ, Ⅲ, aVF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 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V2-V4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2예중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전하행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난 예는 1예이었으며 다른 1예는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고, V5-V6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V5 또는 V6에서 ST 분절의 하강이 있엇던 13예중 6예(46.1%)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3예(23.1%)는 좌전하행동맥에서, 1예(7.7%)는 좌회선동맥에서, 나머지 3예(23.1%)는 2개의 혈관이나 기타 분지에서 경련이 발생하였다. 결론 : 1)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에서 11.2%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중 ST 분절의 상승은 2.6%이었고, ST 분절의 하강은 8.6%이었다. 2) 이형성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이형성 협심증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ST 분절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에 대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등 어떠한 인자들도 3그룹(ST 분절의 상승, ST 분절의 하강, 음성)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ST 분절의 상승 부위와 관상동맥조영술상 관상동맥의 연축이 일어나는 혈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No reports in the literature describe the results of exercise testings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pure variant angina(coronary stenosis <50%)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results of treadmil exercise testing in 151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151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spasm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ST-segment response to exercise were analyzed. Of 151 patients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negative result was seen in 134 patients(88.8%) and positive result was in 17 patients(11.2%). Of 17 patients saw positive result,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was present in 4 patients(2.6%) and ST segment depression was seen in 13 patients(8.6%).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 segment response to exercise and the clinical variables(diabetes, hypertension, obesity, total cholesterol, current smoking, effort angina, clinical diagnosis, and degree of stenosis) assessed. Of 4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treadmil exercise test, 1 patient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Ⅰ,Ⅲ,aVF had spasm in right coronary artery(100%) on coronary angiography, of 2 patients in V2-V4 had spasm 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1 patient(50%) and 1 patient in V5-V6 had spasm in left circumflex artery(100%). Positive treadmil exercise test was present in 11.2% of variant angina patient. If we have negative treadmil exercise result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may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If we have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th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artery involved is quite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