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Slide Session : OS-IFD-07 ; Infectious Disease :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Myung Jin Lee ),( Kye Hyung Kim ),( Jong Youn Yi ),( Su Jin Choi ),( Chung Jong Kim ),( Nak Hyun Kim ),( Kyoung Ho Song ),( Pyoeng Gyun Choi ),( Ji Hwan Bang ),( Wan Beom Park ),( Eu Suk Kim ),( San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Myung Jin LEE1, Kye-Hyung KIM1, Jongyoun YI2, SuJin CHOI1, Chung-Jong KIM1, Nak- Hyun KIM1, Kyoung-Ho SONG1, Pyoeng Gyun CHOI1, Ji-Hwan BANG1, Wan Beom PARK1, Eu Suk KIM1, Sang-Won PARK1, Hong Bin KIM1, Nam Joong KIM1, Myoung- Don OH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2 Background: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 novel Bunyaviru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No effective antiviral therapy is proven yet, but clinical use of ribavirin (RBV) has been tried.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effect of RBV against SFTSV in vitro. Methods: To test for cytotoxicity of RBV, Vero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BV (3.90 to 500 μg/mL, two-fold dilution) and analyzed by cell viability MTS assay 48h post-infection. To determine antiviral activity of RBV against SFTSV, Vero cells were infected with SFTSV strain Gangwon/Korea/2012 at 100 TCID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per well in a 96-well plate, and RBV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showing no or minimal cytotoxicity. Viral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s and quantifi ed using one-step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to amplify the partial large segment of SFTSV.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with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Cytotoxicity due to RBV was not observed at RBV concentration =31.3 μg/ mL. Viral RNAs at 24h post-RBV treatment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BV concentrations (1-32 μg/mL), compared with those of mock-treated cells (P <0.01, Figur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RBV was 3.69 μg/mL at 24h post-RBV treatment.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RBV has antiviral effect against SFTSV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effi cacy of RBV in SFTS.

      • 인체 간 Microsome에서의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의 Cytochrome P450 약물 대사효소에 대한 억제작용

        최지이,김수영,김경아,박지영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Sulfonylurea계 약물들은 제2형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장기간 투여로 인한 병용투여 약물과의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이 높고 또한 이들 약물들과 병용투여 약물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독작용이 보고된 예가 있으나 작용기전을 밝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대사 효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ytochrome P450(CYP)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에 의하여 억제 작용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체간 microxomes를 이용한 glibenclamide, glipizide, 및 gliclazide 등이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및 CYP3A4 동효소에 대한 억제정도를 각각의 CYP 동효소에 대한 지표약물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상대적 억제정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Glibenclamide의 경우 CYP2C9에 대한 강한 억제 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3μM), CYP3A4에 대해서도 중등도의 억제작용이 관찰되었다(IC_50, 5900μM). 또한, CYP1A2, CYP2C19, CYP2D6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관찰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IC_50s>112μM). Glipizide는 CYP3A4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강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2μM) 타 CYP 동 효소에 대해서는 거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였다(IC_50s>500μM). Gliclazide의 경우 CYP2C9에 대해서는 약한 억제작용이 관찰되었으며(IC_50, 276.1μM) 타 CYP 동효소에 대한 억제 작용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IC_50, >500μM). 결론: CYP 동효소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이 억제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sulfonylurea와 병용 투여 약물간의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Sulfonylurea계 약물과 타 약물의 병용 투여시 치료 영역이 좁은 약물이나 농도에 따른 독성이 큰 약물의 경우 적극적인 혈당 조절과 더불어 병용 투여 약물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monitoring)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ulfonylurea drugs have been used for many decades as one of the main families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ven though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medicate sulfonylurea drugs concomitantly with many other drugs, and furthermore there have been several case reports on drug interaction with sulfonylurea drugs, there has been no clear demonstration revealing the mechanisms that cause these interactions. We therefore evaluated inhibitory potential of sulfonylurea drugs, including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tochrome P450(CYP)-catalyzing enzymes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Methods: The inhibitory effects of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were evaluated for CYP1A2, CYP2C19, CYP2D6 and CYP3A4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and probe drugs for each. Results: Glibenclamide showed relativ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CYP2C9- and CYP3A4- catallyzed reaction (IC_50; 11.3(μM and 59.0 (μM).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showed only weak inhibitory effects by due to glibenclamide (IC_50>112(μM). Glipizide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 on CYP3A4-catalyzed reaction only (IC_50; 11.2 (μM), and weak, or no, inhibitory effects on each on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IC_50>276 (μM). Conclusion: The sulfonylurea drugs showed inhibitory potential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in human liver microsome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the drug interaction to ward drugs co-administered with sulfonylureas.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as well a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o reduced toxicities when sulfonylurea drugs are co-administered with drugs of a narrow therapeutic range, or with severe dose-dependent toxicities (J Kor Soc Endocrinol 17:544∼553, 2002).

      • 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김지영,성숙경,박종윤,최병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4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탐구실험 수업이 소집단의 구성방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수준이 동질인 집단과 이질인 집단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255명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 수업을 1년간 적용한 후 과학학업성취도, 과학탐구능력,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은 이끌어내기, 친숙해지기, 구성하기, 확장하기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찰 현상을 학습과 연관시키고 실험을 설계하며 결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통해 동료 및 교사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동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모든 인지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었으나 대분분의 인지 수준에서 학업성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업성취에 비해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정도가 낮았다. 소집단 구성에 따른 효과에서는 동질집단이 이질집단에 비해 성취도와 학습동기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탐구실험에서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성취도와 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ability for science inquiry a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studen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classe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way of organizing small groups, the effects of the group in homogeneous cognitive level and the group in heterogeneous cognitive level were compared. 255 7th-graders were grouped in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al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ssons for one year,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for scientific inquiry,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examined. These inquiry experiments were composed of four steps which are eliciting, familiarizing, constructing and bridging. And students can interact with peers and teachers through the process of relating observed phenomena to concept, constructing experiment procedure, and eliciting results. The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ability for scientific inquiry a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students. The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most of the cognitive levels, if not all, was found and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ability for scientific inquiry was lower than that in the academic achieve3ment. Concerning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way of organizing small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the group in homogeneous cognitive level compared to the group in heterogeneous cognitive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interaction in learning is important and it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ability for scientific inquiry of students.

      • KCI등재

        요로결석 환자에 대한 응급실에서의 진단방법

        유지영,최옥경,유진현,정구영 大韓應急醫學會 1997 대한응급의학회지 Vol.8 No.1

        Nephrolithiasis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se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cute abdominal pain, many people were suspected urolithiasis. Because of limitation of diagnostic method on Emergency Department we planned this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our accuracy of diagnosis and the possibility of misdiagnosis. During 5 months from April 1996 to August 1996, the 189 patients was suspected the urolithiasis. Among this patient, 51 cases was excluded due to incomplete study. After performing P/Ex, U/A, KUB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y were followed out patients department of Urology and perfomed Intravenous Pyelogram.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KUB were 84.5% and 94.0%,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93.8%, the nagative predictive value was 93.8%. Diagnostic accuracy of urolithiasis in our Emergency Department is 89.1%.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occult blood and KUB or IVP.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occult blood and diagnosis of urolithiasis.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urolithisis, emergency ultrasound and IVP will be available. So combination of this diagnostic methods will improve accuracy and safty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olithiasis.

      • KCI등재후보

        골수염으로 발현된 재발성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 1예

        백지현,박은영,정윤숙,홍재원,채윤태,진성준,최희경,신소연,한상훈,진범식,김창오,최준용,송영구,조남훈,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4

        Coccidioidomycosis is a fungal infection that results from inhaling the airborne arthroconidia of the Coccidioides species. It is an endemic disease in the southwest part of North America and rarely diagnosed in Korea. As tourism to endemic areas and the number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the incidence of this infection has increased in non-endemic areas. Treatment is usually successful with antifungal agents; however, recurrence is common. It is difficult to decide when to discontinue the antifungal treatment especially in non-endemic areas where doctors are not familiar with the disease.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coccidioidomycosis manifesting as osteomyelitis after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for disseminated coccidioidal infection. The complement fixation test was a useful tool for the assessment of patient response and to evaluate suspected recurrence.

      • 갑상선 기능항진증에 병발된 주기성 마비 3예

        최지훈,최경숙,김기훈,박병현,조정구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1 圓光醫科學 Vol.16 No.1-2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is characterized by intermittent flaccid paralysis of skeletal muscle, lasting several hours.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the syndrome is not yet to be well characterized and remains controversal, but reflects altered potassium and calcium dynamics as well as certai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within the muscle unit itself. It occurs primarily in Asian populations with an overwhelming male preponderance and a higher association of specific HLA antigens. Precipitating factors include high carbohydrate ingestion, exercise, trauma, infection, alcohol ingestion, administration of epinephrine, thyroid hormone, or corticosteroid. If hypokalemia is present, potassium administration may help abort the attack, but the only definitive treatment is formation of euthyroid state. We discribed two patients with hypokalemic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and one patient with normokalemic thyrotoxic periodic paralysis.

      • KCI등재

        Apolipoprotein E 다형성에 따른 사업장 근로자의 혈중 지질농도, 영양소 섭취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

        박유경,조상운,강지연,백윤미,성숙희,최태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mong nutrient intake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ed by blood lipid profile according to Apolipoprotein E genotypes. Middle-aged industrial male workers who had completed their annual medical examination were recruited and data of 675 subjects who finished the nutrient survey were used in the analysis. Anthropometric parameters, dietary assessment (FFQ),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blood profi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Apo E genotyp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genotypes: Apo E2 group (including E2/E2, E2/E3, E2/E4), Apo E3 group (including E3/E3), Apo E4 group (including E3/E4, E4/E4). The frequency of Apo E2, E3, and E4 allele were 13.3%, 75.0% and 11.7%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hropometric parameters depending on different Apo E genotype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trient intak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genotype groups. The nutrient intakes of all subjects were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level of 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for intakes of calcium (67.44% of KDRIs), vitamin A (73.83% of KDRIs) and vitamin B2 (78.02% of KDRI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related lifestyles according to Apo E genotype groups. As for the lipid profiles, Apo E4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than the Apo E2 group (p < 0.05). We confirmed that plasma tota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greatly influenced by Apo E genotypes. However, nutrient intake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were not associated with Apo E genotypes.

      • KCI등재

        도시지역 응급센터를 내원한 약물중독 환자

        유지영,최옥경,김무수,정구영 대한응급의학회 1995 대한응급의학회지 Vol.6 No.2

        Acute drug intoxication is a important part of emergency medicine. The outcome of intoxicated patients depends upon a kind of drug, a dose of drug, the time of initial management and the knowledge of variable drugs. Our study was made on 249cases of acute drug intoxication, who visited to emergency department of Ehwa Wonam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uring 15months from June 1994 to August 1995. The patients of early 10 months period were treated in department in IM and patients of late 5 months period treated in department of 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nember of patients was 249 which is 0.59% fo total ED patien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2 (81pts : 168 pts) The age distribution showed the highest incidences in 2nd (35%) and 3rd (23%) decades. 2) The most patients (78%) were visited to ED within 4 hour after drug ingestion. 3) The most common drug which activated charcoal was indicated was sedatives and hynotics (63%) The most common drug which activated charcoal was contraindicated was strong acid-alkali (4%) 4) The total mortality of intoxicated patients was 8%. 5) The outcomes of the patients( early 10 months vs. late 5 months) : the percentage of admission was 20% vs 24%, discharge against admission was 36% vs 46% discharge was 21% vs 22%, transfer to other hospital was 22% vs 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