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도덕 교육의 재 개념화 : 신화에서 벗어나기

        오채선(Oh Chaisun),염지숙(Yeom J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지역적 상황(도시ㆍ농촌)과 학급 편성(단일 연령, 혼합 연령)이 다른 두 유치원을 선정하여 이러한 유치원 현장에서 도덕 교육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유아들이 겪는 도덕경향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에서의 도덕교육 실제를 드러내주고 C1를 통해 기존에 우리가 갖고 있던 도덕교육에 대한 관념들을 성찰해 봄으로써 유아 도덕교육을 재 개념화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충청북도 도ㆍ농 복합도시의 면단위에 위치한 유치원 유아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06년 2월 8일부터 2006년 10월 31일까지 약 9개월에 걸쳐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유치원 교실에서 도덕교육은 가르침으로, 생활에서, 관계에서 나타났다. 또한 두 교실에서 도덕교육 경험을 알아본 결과, 도시의 단일 연령 학급인 사랑 반에서 도덕교육 경험 주제는 서로 다른 힘의 세기, 자신만 생각하기: 개인주의, 자율적으로 행동하기로 드러났다. 농촌의 혼합 연령 학급인 나비 반에서 도덕교육 경험은 힘의 사용: 형의 특권과 양보, 개인주의와 돌봄의 공존, 규칙 지키기의 허와 실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도덕교육의 신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도덕교육을 재 개념화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는데, C는 첫째, 정의적 관점에서 관계적 관점으로, 둘째, 덕목위주의 일방적 관점에서 구성과정으로, 개인의 자율성에서 공동체성으로 재 개념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lass of moral educ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experience, and to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by examing two kindergartens In different regional situations and class organization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eachers and children of kindergartens in Daejeon and Chungcheongbuk-do,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from February until October, 2006. From the result, 'degree of different power', 'thinking of oneself-individualism', and 'acting in autonomy' were major moral themes described by students in an urban classroom. In an rural classroom, 'use of power', 'privilege of older children', 'coexistence of individualism and caring', and 'keeping the rules' were major moral issues described b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reconceptualizing the moral education to change the perspectives 'from justice to relational aspect', 'from one-side transmission to constuctivism, and 'from autonomy to community'. We suggest that moral education is constructed among the members of kindergarten classrooms and includes the constructional view of morality.

      • KCI등재

        공동육아 교육담론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오채선(Oh, Chaisun),이부미(Lee, Boo-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회보에 나타난 권두언 글을 통해 공동육아 교육 담론의 형성과 실천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동육아 교육담론의 지향점을 교육적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공동육아 회보(56호~124호)의 권두언 글 총68편이며, 분석방법으로는 페어클 로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육아 교육담론의 형성 및 실천 시기를“지역에 기반한 공동육아 교육 대중화 시기(2001-2003)”,“공동육아 교육 성찰의 시기(2004-2007)”,“공동육아 교육 상상의 시기(2008-2010)”,“삶의 방식으로서 공동육아 교육 시기(2011-2017)”의 4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그 실천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In this study, the formation and practice period of the educational discourse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First, the educational discourse emphasized the change from the child-care center community to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period of popularization of cooperative child care and education discourse (2001-2003).In this perio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ooperative childcare center was achieved, but the cooperative childcare education based on community was not popularized. Second, in the period of:Reflection on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2004-2007), the educational discourse focused on the identity 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and child care for low-income families and emphasized the changing of culture withinSocial Child Care. Nevertheless, during this period,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childcare problems of low-income families was not activated due to joint childcare education. Third, educational discourse was emphasized in terms of learning and practicing a new way of life in the time of imagining the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2008-2010).This period was a time of dreaming of co-education for children as a new possibility. Fourth, educational discourse emphasized the way of sharing life centered on villages in the period of cooperative care and education (2011-2017) as a way of life. In addition, it emphasiz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who develops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grows and collaborates with the crisis of changes of overall child care policies, and insists to learn the ability to help the young children through relationships and caring.

      • KCI등재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오채선 ( Oh Chai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문서상에 나타난 자율권의 내용을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추후 자율성이 발휘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재설계하기 위한 쟁점과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유아교육 정책 문서 등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분석법으로 문서 상 나타난 자율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자율권은 4가지 내용 범주(교육과정 편성, 교육활동, 교수·학습방법, 평가)와 3가지 수준(자체개발, 수정·보완, 선택)으로 구분하여 유치원과 교사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타율인 ‘유치원 평가’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자율권’을 발휘하기 위한 조건 및 제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자율권 내용 범주 중, 교육과정 편성과 교육활동 내용 범주에서는 ‘수정·보완’수준의 자율권이, 교수·학습방법 내용 범주에서는 자체개발과 ‘수정·보완’ 수준의 자율권이, 평가 내용 범주에서는 ‘자체개발’ 수준의 자율권이 나타났다. 또한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나타난 자율권 내용 범주에서 전반적으로 유치원 평가는 유아교육과정에서 자율권 발휘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자율성 측면에서 유아교육과정을 재설계하고자 할 때 쟁점과 과제가 무엇인지를 자율성의 목적, 범위, 주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children’s autonomy, as shown in research documents and policy materials published at national level, on the subject of curriculum for children. This study searched issues and alternatives to redesign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cusing on autonomy. Data for the study consisted of documents and material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s at national level. They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element of autonomy presented in the collected data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rganization of curriculum, curriculum activit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then into three levels: self-development,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nd select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at kindergarten’s and teacher’s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autonomy content with the assessment contents of kindergartens and investigated the conditions and limiting factors of autonom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autonomy content categorie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utonomy of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level appeared in curriculum composi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ctivity contents. In the contents categor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utonomy of own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level appeared, and own development level appeared in evaluation contents category. Overall, kindergarten evaluation showed difficulty in exercising autonom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s conclusion, the study examined the issues and alternatives in redesigning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in terms of autonomy from the viewpoint of purpose, scope, and subject of autonomy.

      • Analysis of Trends in Qualitative Research on ‘Children’s Crisis Experience’

        ( Seonhwa Kim ),( Chaisun 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

        Our lives are in crisis for personal or super personal reasons. A sudden and coercive event that interferes with the continuous process of life while creating anxiety is called a crisis. Then, what is this crisis in children's lives? What are some events or situations in which children feel anxious or frightened and stop the continuous process of life? Since most of the sites of children's lives ar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way they appear as crisis experiences is different, but the concept of crisis itself does not change. How the crisis appears in children's lives and in the meantim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what terms and definitions are expressed.

      • A Study on the Qualitative Research Trend of Play Records

        ( Hyeryeong Kim ),( Hyeju Lim ),( Jin-nan Song ),( Chaisun 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terms of ‘play record’ research to help establish future play record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endency in usage of terms in the play record studies that record free play? Second,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on play rec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eight papers on play records that record free pla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the field were found to use four categories of terms to record free play: record, play record, observation record, and documentation. Second, the study of play records was conducted with the study of teachers’ experience in play records and the sharing of play records in the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유아의 자유놀이 다시 바라보기

        박선영 ( Park Sun Young ),오채선 ( Oh Chai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자유놀이가 유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유아의 시각에서 재조명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푸른초병설유치원 열매반 유아들의 일과 중, 자유놀이와 바깥놀이를 참여관찰하였고, 참여관찰 일지, 연구자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이 경험하는 자유놀이는 첫째, 계속해서 반복되며, 둘째, 끊어지고 이어지고 변화하며, 셋째, 우연한 발견과 사건으로 인해 생성되었다. 유아들은 자유놀이를 통해 끊임없는 차이생성을 경험하며 자연스러운 성장과 배움의 과정으로 나아가고, 놀이 안에서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충만한 힘을 발현하며, 다양한 기호와 우연히 마주치며 새로운 의미생성을 통해 배움의 길을 추구해 나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현장에서의 유아의 놀이를 바라보는 시선과 그 의미에 대한 유아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xplore the meaning of free play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young childr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data, daily free play and outdoor play were observed in the Fruit Class of Green Elementary School’s Kindergarten. Participation-observation diary and researcher's journ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ee play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is continuously repeated. Second, it is broken, connected and changed. Third, it is created by accidental discoveries and events. It was shown that through free play, young children experienced a constant differentiation and moved toward natural growth and learning. They expressed abundant strength of dynamic movement in play, and pursued their own path of learning through the creation of new meanings, coincidentally discovering various symb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viewpoint of young children’s play in the field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시간 연장 보육교사의 ‘일’과 보육전문성 탐색

        송정원(Song, Jung-Won),오채선(Oh, Chai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 연장 보육교사의 ‘일’과 그 ‘일’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들여다보고, 시간 연장 반 일과에서 보육교사들의 보육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시간 연장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보육 전문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푸른 나무 어린이집에서 시간 연장 반을 담당하고 있는 4명의 보육교사이다. 자료 수집은 2011년 3월 25일부터 2011년 8월 31일까지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시간 연장 보육교사가 일하는 시간은 ‘야간이 시작인 일과시간’과 ‘보이지 않는 일과시간’으로 드러났으며,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에서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 연장 보육 교사는 소리의 침묵, 시각적 침묵, 생각의 침묵의 방식으로 일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시간 연장 보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으로 교사 자신에 대한 민감성(자신을 돌보기), 돌봄 행동의 민감성(침묵에서 벗어나기), 일상생활 문화에 대한 민감성(자신의 문화적 특성 돌아보기)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tended teachers work and to understand the care professionalism of extended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4 time-extended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conducted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interviews from March 2011 to August 2011.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extended teacher’s work time is described as the abnormal routine and invisible routine. The time-extended teachers work space is described as not existing, but psychological space. Second, the work style of the time-extended teachers were described as a silence of sound, a silence of sight, and a silence of thinking. Third, we interpreted the care professionalism of time-extended teacher according to 3 topics, the teacher’s self sensibility, the care action sensibility, and the culture sensibility in their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