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의 어려움과 요구에 관한 연구

        엄은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qualitative study analyzes in-depth interview on difficulty & request ex- perienced by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 stitution during the process of marriage, pregnancy & delivery.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difficulty of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o clarify relevant suggestion point by specifically ex- ploring what difficulty the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experienced and what support they request during the process of marriage, pregnancy & delivery. The study issu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of study is as follows. study issue1. What difficulty do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experience? study issue2. What support do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request?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2019 to May 8, 2020. The participants of study are 10 female teachers experiencing marriage, pregnancy & delivery while serving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They accepted to respond i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d phone interview to investigate difficulty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quest for support to improve the difficulty. Interview was led by participants of study mainly on exploring difficulty & request experi- enced by married female teacher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during the process of marriage, pregnancy & deliver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encoded & categorized for analysis by using repetiti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conclusion drawn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vestigating difficulty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subdivided into difficulty in workplace, difficulty at home and difficulty of self-realization. To begin with, difficulty in workplace is exhibited as ‘difficulty from service environment, lack of under- standing by colleagues, inconsistency of reality & system’ and difficulty at home is exhibited as ‘our own ethics of teaching profession which are incomprehensible even to family, divergence between mother & teacher’. Finally, difficulty of self-realization is exhibited as ‘My unattainable dream’ and ‘I who are diminishing gradually’. Second, investigating support requested by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subdivided into request to institution and request to government. Request to institution is exhibited as ‘request for prohibiting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teacher, request for regular service time, request for substitute manpower, request for maternity leave & guarantee of parental leave’. Request to government is exhibited as ‘request for child-rearing policy for married female teach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 stitution, legal request to institution which breaches maternity leave & parental leave, request for guarantee of reinstatement depending on acknowledgment of career.’ This study specifically shows difficulty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teach- ers in private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ir expectation for im- provement of difficulty. I expect that such result of study helps private pre- 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better understand difficulty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teachers on account of marriage, pregnancy & delivery and it can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national & social politic support pro- gram & searching solutions in order to improve difficulty 본 연구는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기혼 여교사가 결혼과 임신 및 출산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요구에 대한 심층면담을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사립유아교육기관에서 기혼 여교사가 결혼, 임신 및 출산을 경험하며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필요로 하는 요구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는 무엇인가?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2일부터 2020년 5월 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사립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며 결혼과 임신 및 출산을 경험한 여교사 10명이다. 참여자들은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면담과 전화 인터뷰에 응하였다. 면담은 연구 참여자가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가 결혼, 임신 및 출산을 경험하며 겪는 어려움과 필요 요구에 대한 탐색을 주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직장에서의 어려움, 가정에서의 어려움, 자아실현의 어려움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직장에서의 어려움에는 ‘근무환경에서 오는 어려움, 동료들의 이해 부족, 현실과 제도의 괴리’로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어려움에서는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우리만의 교직윤리, 엄마와 교사 사이에서의 갈림길’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실현의 어려움에서는 ‘꿈꾸지 못하는 나의 꿈’과 ‘점점 작아지는 나’로 나타났다. 둘째,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를 살펴본 결과, 기관에 대한 요구와 정부에 대한 요구로 구분되었다. 기관에 대한 요구로는 ‘기혼 여교사 차별 금지에 대한 요구, 규칙적인 근무시간에 대한 요구, 대체인력에 대한 요구,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보장에 대한 요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 대한 요구로는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를 위한 육아정책 요구,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미 이행 기관에 대한 법적 요구, 경력 인정에 따른 복직 보장 요구’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립 유아교육기관 기혼 여교사가 느끼는 어려움과,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그들의 기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립 유아교육기관에서 기혼 여교사들이 결혼, 임신 및 출산으로 인해 경험하는 어려움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적ㆍ사회적으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어려움의 매개효과

        장윤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 30대의 SNS 중독과 성격특성요인인 내현적 자기애, 사회 심리요인인 대인관계 어려움의 관계를 파악하고,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자기중심적이면서 수줍음이 많아 타인과의 관계에서 중심이 되는 것을 꺼리며,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고 타인의 평가에 예민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성격특성으로 인하여 SNS의 자기선택적 대인관계를 보상으로 이용할 것이며, 이는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이 매개효과로 작용하여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감소하는 짐이 되는 느낌과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혼자라는 느낌이 드는 좌절된 소속감으로 대인관계 어려움을 설정하였다. 타인의 반응에 예민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게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의 대인관계 어려움은 현실의 대인관계에 회피반응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 때에 사회보상 심리로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특성인 자기 선택적 대인관계가 가능하고 통제가 가능한 관계지향적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중독의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총 324명의 SNS 이용률이 높은 만19세에서 39세까지의 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는 Akhtar와 Thomson(1982)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강선희와 정남운(2002)이 개발 구성한 45문항의 내현적 자기애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 어려움은 Joiner(2005)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Van Orden, Witte, et al.(2006)이 개발하여 조민호(2009)가 번안한 대인관계 어려움 척도를 사용하였다. SNS중독은 정소영, 김종남(2014)이 개발하고, 조성현, 서경현(2013)이 수정한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설문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어려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한 결과, 모든 결과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어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어려움 모두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68)의 4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어려움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어려움 모두 SNS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사람들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인관계의 보상으로 SNS를 더 자주 사용하고 중독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교육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곽정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elementary teachers' views and student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in geology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seventeen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serviced more than three years, and with sixteen elementary students located in Cheongju City.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Seidman's step to acquire a reliability in the interview data with triangulation, then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modified and completed through pre-interview after constructing the trustworthiness of interviewee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applying the analytic induction method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From the interviews, we found that elementary teacher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geology units; teachers' inner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lab activities, the problems of rock samples, the problems of curriculum in geology units, the difficulty of the geological feature, the problems of the cramming education, the lack of the opportunity for the speciality, and so on. And the students have the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geology units; the difficulty of the unit contents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learning by heart, the lack of the interest, the lack of materials, the problems of rock samples, the difficulty of the field learning, and so 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an interesting lab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geology units and taught in the geological field trip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fully comprehend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을 가르치면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요인과 그 원인, 둘째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을 학습하면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요인과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3년 이상 교육 경력을 가진 초등교사 17명과 충북 청주시에 재학 중인 5학년 6명, 6학년 10명 총 16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질문은 Seidman(1998)의 면담 단계에 맞추어 생성한 후, 5명의 예비 면담을 통해 면담 질문을 완성하였다. 심층면담은 Minichiello 등(1995)이 제시한 분석적 귀납법에 의하여 개별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 및 전사 기록하였다.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3명의 동료 연구자가 함께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면담 참여자에게 분석 내용을 확인하여 재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지질 단원에서 교사 내적인 어려움, 실험에 대한 어려움, 암석 표본의 문제점, 교육과정 상의 문제점, 지질학적 특성에 따른 어려움,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 야외현장학습 실천의 어려움, 자료 부족, 흥미 부족, 전문성 향상 기회 부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지질 단원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학습내용 이해의 어려움, 암기 위주의 학습, 흥미 부족, 교육과정 상의 문제점, 자료 부족, 암석 표본의 문제점, 야외 수업에서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지질 단원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들의 어려움 요인이 완전히 일치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어려움 요인이 교사에게도 역시 어려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교사와 학생들이 지질 단원에서 어려움 요인으로 작용하는 원인들이 지질 단원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런 어려움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쓰기태도, 쓰기어려움, 쓰기능력 관계 분석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최지연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6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쓰기태도와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쓰기 특성을 도출한다면 이제까지 논의된 바 없는 실증적인 근거 기반의 특성화고등학교의 쓰기교육 방향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전체적인 틀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면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쓰기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둘째,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쓰기태도와 쓰기어려움 검사 도구 및 쓰기능력 평가 도구를 제작할 것이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쓰기태도와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의 차이 분석 및 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넷째, 세부적인 논의를 위하여 수준별 쓰기태도에 따른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쓰기교육 방향 논의를 이끌어 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태도,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의 계열 간 차이에서는 쓰기태도와 쓰기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쓰기태도는 하위 구성요소 중 ‘쓰기반응’의 평균 점수가 공통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쓰기능력의 하위 구성요소 중에서는 ‘내용’ 영역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년 간 차이에서는 쓰기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2학년보다 3학년의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왔다. 성별 간 차이에서는 쓰기태도와 쓰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쓰기태도의 경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쓰기능력의 경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둘째, 쓰기태도,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의 상관성 및 영향력 분석 결과 A. 쓰기태도 × 쓰기능력, B. 쓰기태도 × 쓰기어려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는데 모두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수준별(상/하) 쓰기태도에 따른 쓰기능력과 쓰기어려움 분석 결과 쓰기태도 ‘상’ 수준 집단의 쓰기태도와 쓰기능력, 쓰기태도 ‘하’ 수준 집단의 쓰기태도와 쓰기어려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모두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90명과 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조사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쓰기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기초적인 글쓰기 능력이 매우 부족하여 쓰기 지도가 어려웠다고 응답하였고, 쓰기교육 실행의 어려움에 있어서는 정규 수업 진도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쓰기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허용적인 글쓰기 환경을 마련하고 ‘나’를 탐색하는 글쓰기를 위주로 꾸준하고 단계적인 쓰기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끌어 낸 교육적 논의는 교육 정책적 측면에서 쓰기 교과 개설 및 쓰기 수업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쓰기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여건과 수준에 맞는 내용을 담은 쓰기 교재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쓰기 방법적 측면으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쓰기 경험을 심어주기 위해 쓰기 워크숍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쓰기교육을 탐색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쓰기태도,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쓰기태도, 쓰기어려움, 쓰기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취약점을 분석하여 쓰기교육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는 점 등을 의의로 삼을 수 있다.

      • 시설보호아동이 지각하는 자립준비정도와 퇴소후 적응어려움과의 관계 탐색 : 보호기간 임박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종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current children care facility is the life place of children decided with the protective measure method through children deliberation committee after finding the children needing the protection of the head of a province, city, country or ward or receiving guardian's request. According to the related law, the children who enter the children facility and live before 18-year-olds must b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by the year when the children become 18-years-old. So, it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to need the time for the self-support preparation. Lots of research is the study not only for figuring out the decision points of understanding how self-support preparation is set up while children's living in the facility before the discharge, but also for identifying the life after the children's discharge. Therefore, the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children care facility can control the difficulties for the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elf-support preparation level at the time of the discharge with having last few protective period. The aim is to study if the adaptation difficulties is controlled with discharge preparation level after the discharge when the children care facility leave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end of protective period and later, for the facility to help to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 technical discharge preparation after find out the practical method and welfare policy with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survey was done with 139 participants being selected, who live in 10 children care facilities in Chung cheong buk-do province. Summariz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ho lives in the children facility, there are more male children than female children, overall the 63 % of the participants has the religions, 51.8% is middle school students, and 48.2% is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being more than the age of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when the self-support drill starts were selected because of the shortage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Through the entrance period in the children facility, 52,5% of the orphanages has the less ten-years resident period, and 47.5% of them has the more ten-years resident period. More than the sixteen-years-old, which means that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is within 3 years is 47.5%, and less than the fifteen-years-old meaning that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remains more than 3 years is 52.5%. Examin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the variables which show relevant difference of the gender and statistical figures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the hardship of adaptation and self-support will. The self-support will based on the academic background shows the lower the academic background is, the higher the problem solving skill is. It is shown that the high school student is higher problem solving skill and self-support will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 Taking a looking at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based on the life period in the participants, the less the life period in the children care facility is, the less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is. Second,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prepare the discharge for the the children care facility, the more the self-support preparation is arranged, the lower the hardship of adaptation after the discharge is.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variable which influences the factor is found because of the lack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the hardship of adaptation felt by the children care facility. Being organized into the self-support will, life task technique, interpersonal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ordinate of the self-support preparation should specifically be examined. If the self-support is decided not by someone's assistance but by only self-support will, it is seen that it is composed of self-esteem. 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the higher the self-support life skill is. Life task technique is known through the children care facility's life process. Female children are more dependent on the facility than male children. Such trend is accepted that when the discharged the children care facility face the raw society system, they suffer for less adaptation difficulty in case of not thinking of one of the barriers. Interpersonal skills are to solve various problems faced to the children care facility after the discharge. That is, interpersonal skills as the social factor of the self-support is to utilize local society resourc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the problem solving skill, the problem solving behavior is to avoid the damage caused in the life accidents,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 is used on the important life turnover.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public's awareness to the discharged from the children care facility gives them negative influences. It is true that the public have the social bias to all the children care facility as the sick who are on hospitalism in the social context. Such a social atmosphere let the children care facility do helplessness, so tend to low their self-support level. It is necessary to reduce such a negative bias. Third, it is shown that the more the time for the children care facility to leave after the protection period is impending, the more difficult it may be to adapt to society after discharge. The the children care facility have two time's separation experience: the first separ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to the facility that means the change of environment system, and the second separation from the facility to the society that means it need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The typical emotion, the fear to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after discharge, is what the children care facility at that time suff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 suggestion as a way to prevent the hardship of adaptation of the facility child is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or programs is tried to increase self-support will. Facility protection is considered a positive perspective rather than a negative perspectiv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become self-support around the will. Second, life task technique which must be included is the part of the self-support preparation process, and depending on how long the discharge period remains, the preparation can be changed. The life task technique should be provided within the capacity that children can accept. Third, the way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is generally developed as social skills training. The point of social skills training is to practice the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training courses. To actually connect with people who meet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meaningfully examine social support that can be an indicator of interpersonal skill and expand it that can get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important how our society recognizes the discharge of the children care facility. Fourth, the program is developed to enhance problem solving skill. In many studies for problem solving skill, problem solving skill which is developed directly helps improve the problem solving skill of children and alleviate the stress of the discharge. In addition, what the key point of this study shows is that the children who are near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have psychological pain for the life after the dischar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function of self-support living facility if children want,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essence of the children care facility where only children under 18 years old liv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function of facilities. And it is better if the children care facility has the function of providing self-support related customized services to the children care facility. 현재 아동양육시설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발견하거나 보호자의 의뢰를 받고 아동복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호조치 방법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온 아동들이 생활하는 시설이다. 아동양육시설에 입소 후 아동은 아동에서 벗어나는 만 18세가 되는 해 전까지 시설에서 생활하며 관련법에 따라 만 18세가 되는 해에 퇴소해야한다. 그래서 아동은 퇴소 전까지 스스로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지금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에 대한 삶의 방향과 꿈과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해야한다. 따라서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향해 자립을 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퇴소 전에 시설에 거주하면서 자립준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결정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들이거나 퇴소후의 생활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시설아동이 퇴소에 즈음해서 개인적인 자립준비정도는 앞으로 보호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가에 따라 퇴소후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을 조절할 수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시설아동이 보호기간 종료에 따라 퇴소할 때, 그 전까지의 퇴소준비정도와 퇴소 후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관계에서 보호기간의 종료에 임박한 정도가 가까워도 적응의 어려움을 조절하는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실천적인 방법과 정책적 대책을 찾아내어, 향후 시설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실천과 전문적인 자립준비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충북에 소재한 10개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한 시설아동 13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해 살펴보면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많았고 종교는 전체적으로 63%정도가 갖고 있으며 학력은 중학교 재학 51.8%, 고등학교 재학 이상이 48.2%로 나타났다. 연구초기에는 연구대상자를 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이상을 생각했었지만 조사대상자가 너무 적어 자립훈련을 시작하는 나이인 중학교 1학년 이상으로 하였다. 입소기간을 살펴보면 10년 미만이 52.5%, 10년 이상이 47.5%이고 보호기간 종료 3년 이내인 16세 이상이 47.5%, 3년 이상인 15세 이하가 52.5%이다. 이러한 연구참여자로부터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양육시설 시설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퇴소 후 적응어려움과 자립의지이다. 성별에 따라 퇴소 후 적응어려움은 남자아동이 여자아동보다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아동은 여자아동보다 자립의지를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자립의지는 학력이 낮을수록 자립의지와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게 나타나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문제해결기술도 높고 자립의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기간에 따른 퇴소 후 적응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입소기간이 적을수록 퇴소 후의 어려움도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둘째, 시설아동은 퇴소에 대비하여 자립준비를 많이 할수록 퇴소 후 적응어려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동안 아동양육시설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퇴소 후 적응어려움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이를 토대로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자립준비의 하위변수는 자립의지, 생활과업기술, 대인관계기술, 문제해결기술로 구성하였으므로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자립의지는 타인으로부터의 조력을 지원받지 않고 자신의 의지에 의해서만 모든 것을 결정하고 행동한다고 할 때, 이는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립생활기술도 높아진다는 의미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생활과업기술은 시설아동의 생활과정을 파악하면 알 수 있다. 여자아동들은 남자아동보다 시설에 더 의존도가 높다. 이러한 경향은 퇴소아동이 사회라는 환경체계로 전환할 때 하나의 장벽 또는 장애로 여기지 않을 경우에 적응어려움이 적을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기술은 시설아동들이 퇴소 후에 자신에게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 자립에는 경제적인 요소와 심리적인 요소와 같이 시회적인 요소를 가져야 한다. 즉, 자립의 사회적 요소로 대인관계기술은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문제해결기술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은 생활사건에서 발생하는 손해를 피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고, 중요한 생활의 변화와 전환할 때 문제해결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시설아동이 퇴소했을 때, 사회가 시설출신 아동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회구성원은 사회적 맥락에서 시설아동들은 모두 동일하게 시설병적인 특성을 지닌 문제를 소지하고 있다고 보는 사회적 편견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시설청소년들에게 정말로 그렇게 행동하도록 침투하여 무기력하게 만드는 요소가 있어서 자립준비정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배제시키는 분위기를 갖추어 나가야할 것이다. 셋째, 시설청소년이 보호기간을 마치고 퇴소할 시점이 임박할수록 퇴소 후 사회에 적응하려할 때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나타났다. 시설아동은 일반적으로 원가정에서 아동양육시설로의 가정으로 환경체계의 변화를 한번 겪었고, 두 번째로는 시설에서의 보호기간 종료에 따라 시설에서의 퇴소에 따른 변화로써의 사회로의 적응일 것이다. 이렇게 퇴소 후 사회에 적응하는 것에 대해 보통 퇴소시기에 시설아동들이 겪는 대표적 감정은 막연한 두려움일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시설아동의 적응어려움을 예방하는 방안으로써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의지를 높이는 훈련이나 프로그램을 시도해야할 것이다. 시설보호를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시각에서 봐야할 것이고 의지를 중심으로 자립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둘째, 생활과업기술은 자립준비과정에서 반드시 포함되는 부분으로 퇴소기간이 얼마나 남아있느냐에 따라 생활과업의 준비는 달라질 수 있고 아동이 받아들일 수 있는 역량 내에서 생활과업기술에 대한 프로그램과 훈련이 제공되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사회기술훈련으로 개발하고 있다. 사회기술훈련의 초점은 대인관계기술의 부족을 훈련과정을 통해 연습하고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실제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대인관계기술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를 의미있게 보고,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대인관계기술을 확대시켜야할 것이다. 한편, 시설아동의 퇴소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해서도 중요하다. 넷째, 문제해결기술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문제해결기술을 위해서 많은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개발하여 문제해결기술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해결기술을 향상시키고 퇴소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도움을 주게 된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핵심으로 드러난 점은 시설아동은 보호기간 종료시점에 가까운 아동들일수록 아동들이 겪는 퇴소 후 적응어려움은 심리적 고통이다. 따라서 아동양육시설은 시설의 다 기능화에 맞춰 만 18세 미만의 아동들만 생활했던 아동양육시설의 본질의 기능 뿐 아니라, 아동들이 원한다면 자립생활시설로서의 기능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동양육시설이 시설아동에게 자립관련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다면 더 할 나위 없다고 본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자녀양육의 어려움 탐색

        Thu, Thuy Hong Nhun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이민자로 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어떠한 고민, 어려움과 갈등을 겪었는지, 찾아내고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1: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9명의 대상으로 심층 면담 자료수집 기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이 지금까지 자녀 양육 전체 과정에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결과는 어머니들은 교육기관, 자녀의 발달 그리고 어머니의 심리적 이슈에 관한 공동의 어려움을 겪는다. 각 어려운 점에 대한 특징, 원인, 영향 및 어머니의 생각과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가 설정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육기관에 관한 주제에서 어머니가 교육기관과 답답한 의사소통, 교육기관 지원 과정 그리고 자녀를 교육기관에 보내는 의도에 대한 가족 갈등의 어려움을 보인다. 어머니들은 교육기관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우므로 상호작용 과정에서 오해, 갈등, 어색함을 느끼고 결국 마음과 정보를 전달하지 못해서 답답하다. 이는 의사소통에서 단어 정의를 이해의 문제보다는 이문화 의사소통 때문이다. 또는 어머니가 교사와 좋은 관계를 세우고 싶지만, 교류 문제와 문화 차이로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에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나 흔히 기진하여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어머니가 여러 동기로 자녀를 교육기관에 보내고 싶으나 가족과 관점 차이로 가족과 갈등을 발생하였다. 또는 교육기관을 지원 과정이 한국 교육체계, 지원 방법에 대한 무지, 언어의 제한으로 교육기관을 정보를 찾기와 단독 지원에 어렵다. 둘째, 어머니들은 자녀의 건강과 발달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다. 어머니가 편식한 자녀의 식생활 지도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가족 갈등도 생겼다. 또한 한국식 양육정보를 접근의 불편함으로 인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어 자료,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취득한다. 자녀의 언어 발달 영역에서, 어머니가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나 언어 발달 지연, 한국어 능력 떨어지기를 걱정, 가족과 의견 차이, 이중언어 교육 방법에 대한 애매 및 교육 환경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느낀다. 어머니가 자신 사회관계의 제한으로 자녀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한 사회환경을 만들기에 어려움을 느낀다. 셋째, 어머니는 부모 되기 후 삶의 변화로 심리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했다. 사회생활은 어머니에게 경제적, 의미가 있으나 돌봄 양육 시간을 균형을 잡기, 취직의 어려움 및 가족의 반대로 인해 혼란스럽다. 또는 모국과 한국의 산후조리 문화의 다름, 친정 가족이 쉽게 만날 수 없기 때문에 외롭고 우울이다. 그리고 시집과 어근버근하는 사이로 혼란스러운 상황의 어려움을 겪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anxieties, difficulties, and conflic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n performing the role of caregivers as immigrant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challenges fa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whole proces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ion techniques for 9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who had children in their infancy. The result is that mothers face common difficulties concern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nd mothers' psychological issues. The research questionnaire is set according to the study scope and its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topic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thers show obscurity in communication with schools, the process of support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mily conflicts over the intention of sending their children to kindergardern. Because it is difficult for mothers to communicate well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they may feel misunderstanding, conflict, and awkwardness in the interaction process, and it is frustrating that they cannot communicate their feelings and information correctly. This is becaus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ather than a problem of understanding word definitions in communication. Moreover, the mother wants to establish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but it is difficult to form a desirable connection due to exchange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a conflict with the family occurred due to a difference in viewpoint. This is due to the ignorance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application methods, and language restrictions. Secondly, mothers encounter challenges in the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 family conflict arose as the mother became stressed over her children's unbalanced diet guidance. They also find Korean-style parenting methods difficult to access. To compensate, they would rather use resources through Vietnamese communities for references. Furthermore, they recognize the need for their child bilingual education, nonetheless suffer from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fears of declin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lack of bilingual teaching techniques. These may create dissimilarities to parenting methods with her family. In order to create a communal environment to support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offsprings, it is limited to the narrow social relations of the mother. Last but not least, the mother experienced worries due to psychological problems by the changes in their life after becoming a parent. Social life has an important role for mothers, and after becoming a parent, they felt confused by the problem of balancing the time to care for and rearing children, difficulties in finding a job, and opposition from their family. Or, it is the loneliness and depression caused by the transformation between the postpartum care, and the senses of the diaspora. Besides, it is difficult and confusing in family life and raising children. Prejudice against a foreign-born daughter-in-law and cultural clash caused the conflict.

      •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임유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ABSTRACT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Difficulties and Restora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im Yu-mi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Cha Gi-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ey've got for themselves throug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overcoming, as well as to identify the suppor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neede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In order to carry out these study purpose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depth inter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study question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ategory of experience in parent-teacher rel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parent-teacher experience for child car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key category of experience in teacher-parent rela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13 times,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from October 18, 2019 to April 24, 2020. The interview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using a portable recorder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recorded data was transferred to the PC through repeated listening after recording once.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repeatedly unt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terview had reached a theoretical saturation point.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Corbin (1998; 2001) was applied in analyzing the difficulties and the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proce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a total of 116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of the analyzed categories, caus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he "parent-teacher perceptions difference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teacher expectations difference",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nega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ositive parent-teacher relationship factor felt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central phenomenon,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excessive demands from parents', 'changes and difficulties of upbringer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uncooperative nurture attitude'. The condition for arbitration was 'distrust of parents due to CCTV and the media' and 'distrust against teachers' expertise', whil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sulted in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utilization of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 suppor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child teacher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growth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requests for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econd, the process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showed that ‘stag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stage for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experiences of negative and positive outcomes in relationships’, and ‘stage of changes in perception through relationship experience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made efforts personally and using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nd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with parents,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s’ expertise was formed through the process with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Third, the key category of overcoming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was identified as 'parent-teacher coop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outline, with this core category at the center, we could see what factors affect the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and what mediation strategies were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Each category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ased on the situation analysis of matrix on a context level of 'parent efforts', 'support from childcare institutions', and 'cooperative support of regional systems'. Each level presented its experience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was not only possible with the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orts of parents but also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Taken togeth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relations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e cooperation through teachers’ efforts and growth and parents’ efforts must be made, and support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regional cooperative systems are also important. If these conditions can be achieved with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in the formation of parent-teacher relations, they will not only achieve positive results in parent-teacher relations but also implement strong cooperative systems from the home, institutions, and region. 국문초록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고찰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임유미 지도교수 차기주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의 과정 및 그 결과를 통해 스스로 얻은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부모-보육교사 관계상의 어려움을 잘 해결할 수 있기 위해 보육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이론에 기반 하여 보육교사들을 심층면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에 대한 경험의 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관계 경험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은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관계 경험에서 나타나는 핵심범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직에 있는 5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8일부터 2020년 4월24일까지 예비설문 포함 총 13회에 걸쳐 교사개인과 연구자의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절차는 반구조화 면담의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동의하에 모든 면담을 휴대용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고, 녹취한 자료는 1회 녹음 후 반복 청취를 통해 PC에 전사하였다. 면담 내용이 이론적 포화점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추가적 면담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부모-보육교사 관계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Strauss& Corbin(1998; 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부모관계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분석한 결과, 총 116개의 개념, 27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분석된 범주의 패러다임 모형에 따르면 인과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경험한 부모-교사의 인식차이’와 ‘부모-보육교사의 기대차이’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부정적 관계 요인‘, ’보육교사가 느낀 부모-교사 긍정적 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로 인한 어려움’, ‘사회변화에 따른 양육자의 변화와 어려움’, 부모의 비양육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중재조건으로 ‘CCTV와 매스컴으로 인한 부모의 불신’,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부모-교사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 체제 지원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정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성장‘,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기관 및 지역협력체제의 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과정분석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단계’, ‘보육교사의 노력 단계’, ‘관계의 부정적, 긍정적 결과 경험단계’, ‘관계 경험을 통한 인식변화 단계’로 나타났다. 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보육교사는 개인적 노력과 기관 및 지역의 협력체제 지원 활용을 통한 노력을 하였으며, 그 결과 부모와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경험하게 되었고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과정을 통해 교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 극복에 관한 핵심범주는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으로 파악되었다. 이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보육교사와 부모관계 어려움 극복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중재전략은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각 범주들은 상황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보육교사와 부모관계의 어려움 경험이 ‘부모의 노력’, ‘보육기관의 지원’, ‘지역체제 협력지원’의 맥락 차원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은 ‘부모-보육교사의 협력’ 경험이 제시되었으며, 그 결과 부모-보육교사의 협력은 보육교사의 노력과 부모의 노력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육기관과 지역협력 체제지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부모-보육교사 관계의 어려움 극복과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의 노력과 성장 및 부모의 노력을 통한 협력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보육기관과 지역 협력체제의 지원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들이 부모-보육교사 관계 형성에 있어 긍정적 지원과 협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부모-교사 관계의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과 기관, 지역의 강력한 협력 체제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김지혜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여러 경험들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의 극복 및 대처 과정을 탐색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핵심적인 생활지도 경험은 무엇인가? 2)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은 무엇인가? 3) 초등 고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대응하고 해결하는가? 이며 연구의 수행 방법은 Strauss와 Cobin(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도권 소재 공립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4년 이상 ~ 경력 30년 이하의 초등교사 12명이며 이들은 최근 5년 이내에 5~6학년 지도 경험 및 담임 이력을 지니고 있고 현재 적응적으로 근무하는 교사이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 선정의 준거 내에서 ‘이론적 표본 추출 방법(theoretical sampling)’방법을 통해 연구 참여자를 추출해나갔으며, 이론적 표본 추출은 모든 범주가 포화 되었다고 판단할 때까지 지속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한 심층 면접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약 세 달여간에 걸쳐 시행되었고 각 면접은 약 40분 ~ 7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참여자가 희망하는 장소에 직접 방문 후 진행하였다. 면접 시작 전, 면접 내용 녹음에 관한 동의를 구했으며 면접의 전 과정을 녹음한 뒤 전사하여 활용하였다. 이후 근거이론의 절차에 의거하여 자료 수집과 동시에 분석작업을 시행하였다. Strauss와 Cobin(1998)이 제안한 자료분석 방법에 따라 첫 과정으로 개방코딩을, 이후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야기 개요(story line)짜기를 통해 전체 연구결과를 한편의 이야기로 서술해본 후,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중재적 조건을 형성하는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관계를 정형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후 각 범주 간에 유사한 패턴과 관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파악하여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방 코딩 과정에서 총 165개의 개념, 52개의 하위 범주, 19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코딩의 결과로서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어려움을 통한 극복 및 대처 과정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다양한 생활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해 참여자들이 겪은 여러 심리적 증상 및 고통으로 드러났다. 중심현상의 하위 범주로는 ‘심리적 소진 상태가 됨, 내 탓이라는 생각으로 괴로움, 타인의 평가가 걱정됨, 상처를 받음, 학생 훈육방식의 혼란과 불안, 온기로 남아있는 학생에 대한 애정, 오랜 신념이 흔들림’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증상은 추후 변화와 발전을 위해 필히 겪을 수밖에 없는 통증으로 비유하여 ‘성장통을 앓음’으로 명명하였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초등 고학년 지도 교사들이 겪은 생활지도 어려움의 다양한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 활동 침해 행위에 대응하기, 위기 학생 개입하기, 이상행동을 보이는 학생 다루기, 학교폭력 사안 처리하기, 고학년의 특수성 받아들이기’와 같은 하위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학생과 관련된 가정요인, 학교요인, 교육제도 및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열악한 가정환경, 학교 현실의 벽, 답답한 교육 현실’이라는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 및 방해를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긍정의 힘이 일으켜 세움, 지지적 관계에서 힘을 얻음, 고립과 갈등 속에 갇힌 관계’라는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조건들은 함께 어우러져 참여자들의 경험과 어려움 극복, 성장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중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다음의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고학년 생활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현실과 마주하기’,‘성찰하기’,‘ 학생을 마음으로 품어주기’,‘학생 가정 테두리 안으로 이해의 마음을 넓히기’,‘효과적인 학생지도 전략 사용하기’,‘도움받기’,‘개인 내적 치유를 위해 노력하기’라는 의도적 행위 및 전략을 통해 중심현상을 해결하고자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을 수행한 결과, 이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교육의 본질에 집중하는 등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였으나 여러 한계를 절감하거나 심리적 상흔(傷痕)이 남는 등 정체 및 퇴행의 현상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는 ‘교육의 본질에 다가섬’,‘학생에 대한 인간 존중의 관점을 성찰함’,‘미해결된 감정 과제가 남음’의 3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직면하여 이를 극복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행한 노력 전반과 발전적인 변화 전체를 ‘교사의 성장’이라고 정의하였다. 과정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대처 과정은 ‘쓰라림 단계’, ‘돌아봄 단계’, ‘애씀 단계’, ‘깨달음 단계’, ‘내딛음 단계’의 총 5단계로 나타났다. <쓰라림 단계>는‘성장통을 앓음’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면서 이를 현실로 직면하는 단계이다. <돌아봄 단계>는 심한 성장통을 앓고,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위태롭게 버티다가 내적 성찰을 경험하는 단계이다. <애씀 단계>는 중심현상에서 벗어나고 상황을 개선 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전략과 노력의 행위들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단계이다. <깨달음 단계>는 애씀 단계에서의 수많은 노력과 개선 시도 끝에, 학교와 관련한 삶 전반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이 이뤄지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내딛음의 단계>는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 과정을 겪어낸 이후, 보다 숙련되고 원숙한 모습으로 나아가기 위한 착수(着手)의 과정을 지칭한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한 성장통을 앓다가, 성찰과 깨달음을 통해 교사 성장의 길로 들어섬’으로 나타났으며, 각 범주 간에 유사한 패턴과 관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파악하여 유형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적응적 실천형’, ‘긍정적 성찰형’, ‘제한적 성찰형’, ‘소극적 대처형’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겪는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생생한’ 현장 속 진술을 담아 파악하여 실증적 방법을 통해 체계화하고 이를 이론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중심현상 대응에 관한 대처 및 전략적 정보는 학생 생활 지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현장의 많은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생활지도로 지친 교사들을 위한 심리 상담학적 개입과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에 실증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해주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넷째, 생활지도와 소진의 단선적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에서 ‘어려움 대처 과정과 성장’으로 관점을 확대하여 탐색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생활지도 어려움에 관한 교사의 대처 과정과 관련하여 교사 및 상담자, 후속 연구 및 정책지원에 도움이 되는 사항을 교육 상담학적 개입 방안과 관련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the guidanc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by explor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iculties during the guidance process and teacher's growing.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1) What is the core guidance experienc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he conditions that affect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life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3) How d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spond to and solve the difficulties and crises of guidance? The method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bin (1998). The participants were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ed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than 30 years of experience). They had experience in teaching and as a homeroom teacher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within the last 5 years and are currently working adaptively. The participa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ithin the criteria of selecting participants, and the theoretical sampling continued until all categories were saturated. In-depth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May to July 2020. Each interview took about 40 to 70 minutes and were conducted after visiting the place where the participants wanted to visit. Before the interview, I asked for consent to the interview recording, and recorded the entire process of the interview and then transcribed it. After tha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ork were performed based on the procedures of the grounded theory. The first step was open coding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bin (1998), and then category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by paradigm were performed in the axial coding stage. Next,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the whole research result was described as a story through story line, and then the core category was derived. Finally, the study performed the work of formaliz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each category form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centered on the core category, and then the typ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grasping the tendency of the similar patterns and relationships repeatedly appearing between each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165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during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the growth process through the difficul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ance was shown to be 5 steps in total: 'Painfulness', 'Reflection', 'Struggle', ‘Enlightenment', and ’Entering the path of growth'. In the selection coding, the key category was ‘After suffering from the growth pain caused by the difficulty of guidance, entering the path of teacher growth through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e analysis of the types by grasping the tendency of repeated patterns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category was derived into four types: ‘adaptive practice type’, ‘positive reflection type’, ‘limited reflection type’, and ‘passive coping 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rganized and theorized the difficulties of guidanc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empirical methods by identifying the statements in the field of 'live'.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coping and strategic information on the response to the central phenomenon will be a practical help and guideline for many teachers in the field that play a role in student guidance. Thir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 and establishment of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teachers who are tired of guidance. Four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existing study on the single-line relationship between guidance and burnout expanded the perspective to 'teacher's growth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teachers and counselors,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support in relation to the growth process of teachers through difficulties in guidance were suggest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plans.

      • 스쿼시 심판이 경험하는 판정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접근

        이병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6

        이 연구는 스쿼시심판이 경험하는 판정어려움을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심판이 처해 있는 상황과 판정 결정의 어려움에 대한 근원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력 10년 이상의 스쿼시 전문가 중 2016년 대한스쿼시연맹 등록되어 있는 2급 이상의 자격 보유 심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회 참여관찰 및 비구조적 심층면담과 반구조적 심층 면담을 병행하였으며, 관련 문헌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 자료를 포화시켰다.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 4단계에 따라 의미를 도출하여 3개의 구성요소로 통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쿼시 심판이 경험하는 판정 어려움의 해당 구성요소는 3개로 ‘개인적(個人的)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 ‘사회적(社會的)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 ‘환경적(環境的)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 그것이다. 첫째, ‘개인적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은 심판의 생리적인 불편함이나 심리적 고통이 판정에 영향을 주어 판정어려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자기관리(自己管理)’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은 경기장에서 선수, 지도자, 관중들로부터 독립해 있는 심판의 어려움과 양질의 교육을 받지 못해 판정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행정개선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셋째, ‘환경적 상황에서 오는 어려움’은 주로 심판에게 주어지는 부족한 처우에 대한 어려움으로 모든 연구 참여자가 공감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어려움이었으며, 처우개선(處遇改善)을 통해 극복 할 수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심판제도에 대한 인식은 ‘단순명료(單順明料)’의 1심제, ‘비승비속(非僧非俗)’의 2심제, ‘다다익선(多多益善)’의 3심제와 ‘일이관지(一以貫之)’의 비디오 분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심판제도 중에서 3심제가 가장 공정하고 합리적인 심판제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디오분석에 대해선 아직 시기상조이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스쿼시심판의 판정에 대한 어려움들은 ‘외화내빈(外華內貧)’의 의미로 함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심판들에게 공정하고 객관화된 판정을 기대하기 위해 판정주체자인 심판들의 처우개선과 심판들의 지속화, 전문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주요어: 전문심판, 판정어려움, 현상학적 접근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squash referee’s decision by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Amedeo Giorgi. With such approach,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difficultie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referee, and then argues the needs for eliminating such causes. Five referees were recrui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among the experienced referees with more than 10-year experience and 2nd grade certification, issued by the Korea Squash Feder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15 and July 2016. Participatory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were used as the major methodology of the research. Following Giorgian four-step phenomenological analysis, all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1) problems from the individual situation, 2) problems from the social situation, and 3) problems from the circumstantial situation. First, problems from the individual situation were attributed to the physiological inconveniency or psychological agony. Such problems can be resolved by the self-management. Second, problems from the social situation were derived from the isolated positionality of the referees, who are detached from players, coaches, and audienc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Third, problems from the circumstantial situation were mainly originated from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referees. Such problem was the common concerns of all research participant, and it can be solved by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s. Although the referees are one of major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game, their working condition is far from the ideal, as observed in the problems above.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judgement, it is most important to reward the referees, who are the subject of the decision, with better economic treatment. Such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referees is also highly related with the reproduc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the referees. Various recognitions on several judging system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cognition category of the single-referee system is ‘simple is the best.’ Second of all, recognition category of the double-referee system is ‘betwixt and between.’ Third of all, recognition category of the triple-referee system is ‘the more, the better.’ Lastly, recognition category of the video review is ‘all-purpose tool.’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triple-referee system as the most rational system, and video review as the problematic, thus should be improved. Key words: a professional referee ,the problems of referee’s decision,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research has its own value as the basic research to be used for the reproduction and rationalization of the referee system, by deriving the recognitions of referees on the fundamental causes of problems in the game and the judging systems. Keywords: a professional referee ,the problems of referee’s decision, Phenomenological approach

      • 양육 어려움이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유수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나라 한부모가족 중 여성 한부모가족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집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의 결과이다. 한편 여성 한부모의 취업률은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들은 취업모로서 일과 양육을 홀로 부담해야 하여 일·가정 갈등을 겪을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양육 어려움을 겪을 위험이 더욱 크다. 또한 여성 한부모는 심리사회적인 요인과 이혼이라는 생애 사건 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 취약성을 가진다. 특히,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 중 불안정한 고용형태를 가진 집단은 고용불안정성으로 인한 추가적인 스트레스 취약성을 가지게 된다.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가 가진 스트레스 취약성은 양육 어려움을 겪을 때 우울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므로 이들이 가진 취약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중심으로 양육 어려움을 살펴보고 있는데, 학령기 자녀를 둔 경우 양육자는 이전과는 다른 양육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여성 한부모의 어려움을 가정과 일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 이론에 근거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양육 어려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18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 2,500명 중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 988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독립변수인 양육 어려움은 4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8개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우울은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척도로 측정하였다. 조절변수인 고용형태는 상용근로자를 기준집단으로 더미변수 처리하여 투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개인, 가구,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고용형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26.0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라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월 평균 가구소득, 양육비 지원 유무, 사회적 지지와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연령, 학력, 월 평균 가구소득에 따른 우울 수준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양육 어려움 수준이 높을수록, 고용형태가 상용직보다 임시일용직일 때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 어려움과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부모가족 지원 정책을 점검하고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학령기 자녀 양육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맞춤형 돌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여성 한부모 임시일용근로자의 우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공공서비스 확충과 실효성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 취약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불안정한 고용 환경의 개선 및 지원 정책의 확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여성 한부모 임금근로자의 양육 어려움 및 우울 완화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지지 체계의 마련을 위하여 실효성 있는 자조모임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Female-headed single parent famili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Korea, which is the result of Intensive Mothering Ideology. Since many single mothers are employed,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as they are responsible for work and nurture alone, leading to parenting difficulties. Furthermore, single mothers have stress vulnerability due to psychosocial factors and life events such as divorce. Among employed single mothers, those with unstable jobs are more vulnerable to stress due to their employment instability. Therefore, appropriate intervention is needed to alleviate the effects of stress vulnerability upon employed single mothers which increase the chance of depression when suffering from parenting difficulti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difficulties of nurturing preschool children, but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experience different parenting difficulties due to their addition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re was little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difficulties of single mothers in terms of family and work.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difficulties and employment status of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A Survey on the Status of Single-Parent Families in 2018, which was condu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for analysis. Among 2,500 participants in the survey, 988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were selected. Parenting difficultie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the sum of eight questions composed of a four-point Likert scale, and depression,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he employment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was processed into a dummy variable by setting regular workers as a reference group. The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Moreover, it verified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26.0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self-reported health, household income, availability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employed single mother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levels of employed single mothers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were verified. Third, higher levels of parenting difficulties and temporary employment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Fourth,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difficulties and depression of employed single mothers. Lastly, age, self-reported health,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employed single moth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ossible.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single parent support policies and expand support policies for better work-life balance. Second, customized ca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relieve the parenting burden of employed single mothers with school-age childre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service and strengthen its effectiveness to prevent and treat temporarily employed single mothers’ depression based on continuous monitoring for health inequality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Fourth, th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un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 expansion of support policies to alleviate the stress vulnerability of employed single mothers are needed. Lastly, the self-help group which provides social support to employed single mothers is required for alleviating their parenting difficulties and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