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핵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평화체제 모색

        이반석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북아 정치지형의 판이 동요하고 있다. 바야흐로 20세기 냉전 질서가 해체되면서 비로소 21세기 동북아의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고 있는 중이다. 대결과 전쟁으로 얼룩졌던 냉전의 반세기를 넘어서 협력과 번영의 새로운 세기를 향해 큰 도약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아직도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170여만 군대가 상호 대치하고 있고 북한은 2005년 11월 이후 북핵 6자회담 참여를 거부하고 결국 2006년 10월 핵실험이라는 벼랑끝 초강수를 던지는 등 한반도의 전쟁 위협은 여전히 계속 되고 있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한반도에서 정전상태의 불안정한 상황을 종식시키고 전쟁발생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공존의 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전쟁의 유산으로 형성된 불안정한 정전상태와 군사적 대립구도를 청산하고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키는 것을 의미하므로 평화협정 체결 및 보장, 한반도 비핵화, 남북한 군비통제, 북미/북일 관계 정상화 등의 여러 가지 조치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평화체제 문제에 대한 관련국 간 논의는 아주 초보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북핵 6자회담 9.19 공동성명과 2.13 합의에는 직접 관련 당사국들이 별도 포럼을 만들어 한반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대체하기 위한 논의를 하기로 명시돼 있지만 아직 이 포럼의 출범시기는 불분명하다. 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급 인사들의 모임을 통해 평화체제 포럼을 출범시킬지조차 아직 당사국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일단 한국과 미국은 평화체제 논의를 핵 불능화 및 신고 단계가 실질적으로 진전이 된 시점에 4개 당사국 차원의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북․중의 입장은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2007년 11월 20일 한․중․일 정상회담시 중국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4자 정상선언에 대해 포괄적인 지지를 약속했으나 북측이 4자 포럼 구성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언제 논의를 개시하길 희망하는지 등은 전부 수면 아래에 잠겨있다. 평화체제 전환은 한반도 비핵화를 우선 완료하고 북한과 미국의 신뢰가 조성되어야 실질적으로 평화체제 조건이 성숙될 수 있다. 비핵화과정에서 남북군사회담에 의한 군사적 신뢰구축이나 한반도 평화포럼 구성 등이 가능하지만 평화체제 전환의 구체적 문제는 북핵 폐기가 완료된 후에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평화체제는 논의 과정에서 안보구도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될 수 있음으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외교․안보정책의 마스터플랜을 재구성 하여야 한다. 또한 유엔사의 해체에 따라 평화체제의 관리주체, 주한미군의 지위 등에 관한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야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先평화협정체결, 後실질적 평화체제 구축의 대안은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할 수 없다. 북한의 핵 영구적 불능화 여부가 한반도 평화체제의 가장 핵심이므로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해서는 한반도의 비핵화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 남자 중학생의 자율체육활동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반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자율체육활동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학교에서 운영되는 체육교과 수업 이외에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자율체육활동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생들이 건전한 여가 문화로서 체육을 인식시킬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2018학년도 현재 인천광역시 소재 4개의 남자 중학교 학생을 설정한 후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된 3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하였고, 그 중 50부를 제외한 300부를 SPSS Statistic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빈도분석을, 자율체육활동 참여 유무에 따른 차이는 독립 t-test를, 자율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학년별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one-way ANOVA), 자율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의 통계 기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한 설문지는 Marsh, Richards, Johnson, Roche와 Tremayne(1994)가 개발한 신체적 자기개념 설문지(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를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김병준(2001)의 한국판 PSDQ를 최선인(2005)이 보완하여 개발한 청소년용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심영배(2016)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참고하여 전문가의 지도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체육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외모, 체지방, 스포츠 자신감, 건강, 규칙적인 운동, 지구력, 유연성, 근력에 대해서 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보다 높다. 둘째, 자율체육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도를 구성하는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교칙준수, 학교행사에 대해서 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보다 높다. 셋째, 자율체육활동 참여 집단의 학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에는 차이가 없다. 넷째, 자율체육활동 참여 집단의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다. 다섯째, 자율체육활동 참여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학교생활 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보면 외모, 유연성, 규칙적인 운동은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규칙적인 운동과 스포츠 자신감은 교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성, 스포츠 자신감, 지구력은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은 교칙준수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자신감과 지구력은 학교행사에 영향을 미친다.

      • ISO 45001:2018 도입에 따른 심사 발견사항 비교 분석으로 국내 기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이반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2018년 3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인 ISO 45001:2018 표준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제인정포럼(IAF)은 공식적으로 기존 OHSAS 18001의 표준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유지 해 온 기업에 대해 3년 이내인 2021년 3월초까지 ISO 45001 신규 표준으 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수립 및 유지하여 이전(Migration)하도록 요구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들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조직의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선하고는 있지만, 새로운 표준의 등장으로 좀 더 체 계적이고 적극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개선을 추구해야 되는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국내 기업은 일반적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첫 번째는 신규 표준인 ISO 45001:2018과 기존 OHSAS 18001:2007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새롭거나 강화된 요구사항을 기 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두 번째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실행하는 대부분 국내 기업은 환경경영시스템과 통 합하여 추진하고 있으므로 기존 환경경영시스템과 ISO 45001:2018과의 차 이를 분석하여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있다. 상기 두 가지 접근방 식은 국내 어느 조직이든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새로운 표준에 맞게 추진 하는데 필요한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을 통한 개선의 시점을 활용하여 기존 경영시스템의 발견사항 중심으로 취약점을 발굴하고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법은 Frank E. Bird 박사가 Loss Control Management 저서 에서1) 손실원인모델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부적 절한 시스템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 고 발견사항의 조사결과를 통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서 발견된 국내 기 업과 해당 시스템에서 발견사항을 발행하는 인증기관의 관점에서 개선의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A인증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난 3년간 지역별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국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 결과의 발견사항, 전 세계(Global)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 결과의 발견사항, 안전 선진국내 인증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심사결 과의 발견사항을 비교 및 분석하고 취약한 영역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견 사항은 전체적인 발견사항과 시정조치가 필요한 중대 발견사항으로 구분 하여 비교 및 분석함으로 이에 대한 차이점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취약한 영역 으로 위험성 평가와 이와 연관된 운영관리로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중 대 발견사항에서는 사건조사 및 부적합 관리에 대한 영역이 취약한 것으 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사기관의 관점에서는 국내 심사원의 역량 향상이 요구되는데 특히 법규에 대한 지식과 부적합에 대한 시정조치에 대한 효 과성 평가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험성 평가와 연계된 운영관 리를 일관성 있게 실행되고 있는 좀 더 심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약한 영역들이 개선이 된다면 국내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 템이 한층 더 진일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국내 사업장에 안전하고 건강 한 작업장이 정착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OHSMS)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use, namely, ISO 45001:2018 was issued on MAR 12th, 2018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Accreditation Forum(IAF) officially announced that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OHSAS 18001 shall be migrated into an OHSMS in accordance with new requirement, ISO 45001 standard by early March 2021. It means that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continue to improve OHSMS responded to change of the organization, but it is appropriate time for more systematic and active improvement of OHSMS with the advent of new standard. In general, There are two approaches for local companies in Korea to improve their OHSMSs. The first approach is to analyse the gaps between the new standard ISO 45001:2018 and OHSAS 18001: 2007 and thee to reflect the gaps into the existing OHSMS. Secondly since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are implementing OHSMS integrated wit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o called EHSMS), so, it is to analyse the gaps between the exis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ISO 45001:2018 and then to reflect additional requirements into the existing EHSMS. These two approaches are necessary for any local company in Korea to drive its OHSMS to adopt a new standard, ISO 45001:2018.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improve weak poi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 with tow approach mentioned abov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ory of Loss causation model shown by Dr. Frank E. Bird by his book, the Loss Control Management.1) It is also two opportunities to have improve both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the local company and the existing audit conducted by a local certification body through the survey of findings.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findings by each area through use of the database of A certification body, namely, local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in Korea, all global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and all safety advanced countries’s companies certified by A certification body. The findings are also two categories by all findings, and severe findings to survey and analyse gaps between them.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 was derived from risk assessment and the related operational controls as weak points for the OHSMS of most of local companies in Korea. In addition, another weak point is incident investigation and nonconformity control. in case of certification body, it is required to improve auditor’s competence for the knowledge of the regulations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corrective actions for nonconformities. And,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connection between risk assessment and the related operational controls. If these vulnerable areas are improved, the existing OHSM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ocal company will be further advanced and reinforced, and this can affect safe and healthy workplace in local workplace in Korea.

      • 건설기계 관계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한 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이반석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studies and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on safety work of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lifts, tower cranes, and mobile cranes, institutional and manageri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ccidents are still not decreasing.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viewpoints of supervisors, safety managers, and construction machinery operators and to obtain survey data on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related safety education. In conclusion, accidents would be reduced when workers received effective training on accurate work methods, safety rules, and recognition and removal of risk factors. 국내에서는 건설용 리프트, 타워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등에 대한 안전작업, 제도적·관리적 문제점, 개선대책에 관한 여러 연구 및 정책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건설기계 재해는 줄어들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건설기계운전원의 관점 차이를 확인하고 관련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장 작업자들이 작업에 투입되기 작업 방법, 안전수칙, 현장 위험요인의 인지 및 제거 등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받았을 때 재해가 줄어들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The roles of ZnT86D, a Drosophila zinc transporter 7 ortholog, in brain development and neuroprotection against amyloid beta toxicity

        이반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Zinc is a fundamental trace element in the body, and zinc homeostasis is regulated by ZnT and ZIP family. Among these, ZnT7 is localized in Golgi apparatus, carrying zinc into it. When ZnT86D, an ortholog of ZnT7 in Drosophila, was silenced in neurons, the RNAi flies showed reduced survival rate and locomotor activity. In addition, abnormal neurogenesis was induced, and cell death was elevated.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poly-ubiquitinated protein levels. In addition, reduced expression of ZnT86D in the Drosophila model of Alzheimer’s disease (AD) le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to neurotoxicity, apoptosis and neurodegeneration, but there was no change in Aβ deposition. Taken together, my data suggest that ZnT86D plays an important role in neurogenesis and is involved in AD pathology. 아연은 300 개 이상의 효소와 1000 개의 전사 인자의 활성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며 아연 항상성은 두 가지 주요 아연 수송체 계열인 아연 수송체 계열 및 Zrt-/Irt-유사 단백질 계열에 의해 조절된다. 이 중 ZnT7은 골지체에 위치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ZnT7은 소포체에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ZnT7은 포도당과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ZnT7가 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파리를 이용하여 뇌 발달과 알츠하이머 병 발병에서 ZnT7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초파리에서 ZnT7의 병렬상동 유전자인 ZnT86D의 발현이 뉴런에서 억제되었을 때, 배아에서 성체로 우화하는 파리의 비율과 성체 파리의 수명 및 운동 능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Zn86D의 하향 조절에 의해 비정상적인 신경 발생이 일어났고, 세포 사멸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비퀴틴화된 단백질 양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ZnT86D 발현 억제에 의한 치명적인 효과가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에 의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알츠하이머병 초파리 모델에서 ZnT86D의 발현 감소는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 독성, 세포 사멸 및 신경 퇴행을 증가시켰지만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에는 변화가 없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ZnT86D이 신경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하며,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ZnT86D가 뇌 발달과 알츠하이머병 병인에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향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Risk factors for cholangiocarcinoma : synergism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nd diabetes mellitus

        이반석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Purpose: Recent investigations have identified several risk factors, including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nd diabetes mellitus (DM), for cholangiocarcinoma. However, the synergisms between these risk factors are not well know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cholangiocarcinoma and possible synergism between these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in which we included 276 cholangiocarcinoma patients (193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ECC] and 83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CC]), diagnosed between 2007 and 2013, and 552 healthy controls matched 2:1 for age, sex, and date of diagnosis. Risk factors for cholangiocarcinoma and possible synergism between those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ynergism index estimation, respectively. Results: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cholangiocarcinoma and HBV infection, DM, cholecystolithiasis, choledocholithiasis, and hepatolithiasis, with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of 4.1, 2.6, 1.7, 12.4, and 39.9, respectively. Synergistic interaction on the additive model was investigated between HBV infection and DM (aOR 12.2; 95% CI: 1.9?80.1). In the subgroup analyses, cholecystolithiasis, choledocholithiasis, hepatolithiasis, and DM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ECC (aOR 2.0, 18.1, 14.9, and 2.0, respectively), whereas choledocholithiasis, hepatolithiasis, HBV infection, and DM were risk factors for ICC (aOR 8.6, 157.4, 5.3, and 4.9, respectively). Synergistic interac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HBV infection and DM (aOR 22.7; 95% CI: 2.4?214.1). However, there was no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cholangiocarcinoma. Conclusion: HBV infection and DM were found to exert independent and synergistic effects on the risk for cholangiocarcinoma, including ICC. Explor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for such synergy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cholangiocarcinoma prevention strategies in high-risk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