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低年生 高麗人蔘 光合成能力의 季節的 變異

        원준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seasonal changes on som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hoto synthetic abilities and dark respiration of young ginseng plant due to the planting location under shading.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Seedling and 2-year old plants in the back rows appeared to have broader leaf area, and leaf weight increased geatly in September. Chlorophyll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September rather than in June and plants in the back rows had more chlorophyll content than plants in the front row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between the front and back rows in June, while in September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2-year old ginseng leaves was much lower in the back rows when compared with the front rows. A difference in the light saaturation point was not noticeable between the fornt and back rows in June adn September. But the light saturation point 2-year old ginseng leaves at 15℃ was high in June, while at 20℃ it was high in September. 3. Maximum photosynthetic ability was attained at 15℃ in June and at 20℃ in September. During Jun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otosynthetic ability was found between the front and back rows, in September maximum photosynthesis was attained in the back rows of seedlings as well as 2-year old plants. 4.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aximum photosynthesis of 2-year old plants ranged from 14.0℃ to 14.5℃ in June and from 19.5℃ to 20.5℃ in September. Howeve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aximun photosynthesis of the seedlings was 21.2℃ to 21.6℃ in September,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aximum photosynthesis of seedlings and 2-year old plants was not noticeable between the front and back rows. 5. The respiration rate was rather high in seedlings plants compared to the 2-year old plants. During september the respiration rate in seedlings was much lower in the back rows than in the front row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respiration of 2-year old plants was greater during September than June. The increase of resiration rate due to the increase of temperature was much higher for the seedlings than for the 2-year old plants. 6. The Q_10 in 2-year old plants during September was much lower than that in seedlings. When the temperature during June was from 15℃ to 25℃ and when the temperature during September was from 20℃ to 30℃, the Q_10 of 2-year old plants was low.

      • 우레탄폼을 적용한 단열갱폼의 콘크리트 양생성능에 관한 연구

        원준연 檀國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초고층 건물과 같은 현대 건축물인 경우는 건축물의 목적에 따라 준공시기에 따른 생산성, 사용성에 복합적인 문제가 연관이 되어있기에 콘크리트 품질에 대한 리스크와 추가적인 공사비가 투입되더라도 건설공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됨에 따라 동절기를 포함한 연중시공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점차 바뀌고 있다. 한중환경 하에서의 콘크리트 시공은 타설 초기 콘크리트의 동결에 따라 초기 동해가 발생하고, 응결·경화지연에 따라 강도 발현율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주요 구조체의 경우 초기동해 피해는 구조물의 강도 및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켜 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건설공사 현장에서는 관습적으로 내부에 갈탄이나 열풍기를 가동하는 공간가열양생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인력에 의한 재래식 작업으로 가설재 설치 및 해체시간에 따른 건설공기 지연과 함께, 인건비, 유류비 등이 다량으로 소비됨으로서 경제적인 공법으로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콘크리트의 결합재 역할을 하는 시멘트는 수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수화열이 부가적으로 발생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높은 수화열로 인한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화열을 저감시키는 연구는 많이 진행이 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수화열을 이용하여 동절기 콘크리트의 양생에 적극적인 역할을 위해 기존의 갱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법 및 적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한중콘크리트의 단열양생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을 외부에 도포한 갱폼과 기존방식의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과정의 온도분포 및 강도발현 검토에 1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후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폼을 대량생산화, 상용화 및 실용화를 위해 성형 우레탄폼을 조립한 단열갱폼을 개발, 겨울철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발현과 수화온도분포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일반 및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겨울철 유로폼, 일반갱폼, 단열갱폼 3종류의 부재를 대상으로 온도분포 및 압축강도 특성을 사전 파악하여 개발된 단열갱폼 Mock-up부재의 단열성능 및 수화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현장에 가장 적합한 단열갱폼부재 확인을 위해 일반적인 동절기현장에서 기존 일반갱폼과의 콘크리트 양생온도이력, 코어압축강도 및 에너지사용량을 상호 비교제안 하였으며, 주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반 갱폼을 사용한 경우의 수화온도 및 강도특성 실험결과 압축강도변화에 따른 온도이력 특성을 측정한 결과 단열갱폼이 천막 보양한 유로폼, 일반갱폼보다 우수한 양생온도 유지효과가 나타남으로써 동절기 공사에 매우 중요한 초기강도발현에 실질적인 도움이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 경우의 수화온도 및 강도특성 부재종류에 따른 3일, 7일, 28일 코어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유로폼과 일반갱폼을 사용한 경우보다 단열갱폼 사용 하였을 때 강도증진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우레탄폼을 부착 조립한 단열갱폼의 수화온도 및 강도특성 현장에서 우레탄폼을 도포한 단열갱폼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공사완료 후 가설재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함으로 차후 100% 재활용 및 공장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을 부착 조립하여 제작한 단열갱폼에 대한 검토로 부재종류에 따른 3일, 7일, 28일 코어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유로폼과 일반갱폼을 사용한 경우보다 우레탄폼을 부착조립한 단열갱폼 사용 하였을 때 강도증진이 크게 나타났다. 4. 실험실에서 실시한 Mock Up부재를 일반적인 동절기 현장조건하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단열갱폼과 기존의 공간가열양생으로 이루어진 일반갱폼과의 콘크리트 양생온도이력과 코어압축강도 시험 등에 대한 성과평가의 결과가 일반갱폼에 비하여 200%에 가까운 초기강도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절기 공사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안전관리, 전체 공기단축이 상당히 가능하였다. 5.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단열갱폼을 현장에 적용할 시 기존 일반갱폼 대비 16%이상의 원가가 절감되고, 에너지 및 탄소발생량은 50%정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레탄폼을 조립한 단열갱폼을 사용한 콘크리트에서 수화온도 특성 및 초기 강도발현에 따른 공기단축과 공사비 감소 등 단열갱폼의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활용이 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Clarinet」 제작 기술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독일식과 프랑스식 Clarinet 악기 및 작품을 중심으로

        원준연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I studied the Changing processes in the manufacture and playing technique of the Clarinet in this treatise. 1. The Clarinet Originated from the primitive "Chalumeau", which had only three finger holes. About in the late 17th or early 18th century, it was called "CLARINET" by the Denner family. 2. Since then, several keys have been added to the clarinet and it has developed a wide musical range. Also, the clarinet has developed into two distinct forms. 3. The two forms are the German clarinet and the French clarinet. The German clarinet has a grave and generous tone color and requires a complicated style of playing. The French Clarinet has a bright sound and splendour tone color and requires a smooth style of playing. [표2]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German and French clarinet classification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More recently, a new type of clarinet, called the Boehm clarinet, has been developed, which is composed of the merits of both of the above two ciarinets. Nowadays this system is used in most countries, but it has not been perfected to digest all kinds of pieces with this system. Music that was composed with the German clarinet has its own distinct features, as does music composed with the French clarinet. To make effective use of such features, when the clarinetist play German pieces they have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reed and breathing and use a tightening Ligature. For French pieces, the players must be able to play very smoothly for high-pitched tone and get a mastery of the clarinet. Bohem clarinets also have a few problems such as special tones and tremolo that can't be played smoothly. I have tried to solve such problems in this treatise. We will have to study continually for the addition of special keys and proper style of playing. We will try our best to improve the function of clarinets reasonably and scientifically.

      • 高麗人蔘種子의 發芽特性에 關한 硏究

        원준연 忠南大學校 198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mbryo growth during seed stratification and for breaking dormancy as well as seed germination of stratified ginseng seeds. The experiments were also carried out to detect some materials which were expected to induce seed dormancy in the ginseng seeds.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growth of embryo during seed stratific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existence of endocarp. The fastest embryo growth was resulted at 15℃ and an estimated optimal temperature for embryo growth was about 18℃.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ratio of ginseng seeds which were sown in seed bed at Aug. 5 without seed stratification and that of artificial seed stratification. 3.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ratio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high temperatrue treatment at 30℃ for 24 hours or respiration stress by immersing seeds in water for 10 days or more. 4. When the seed stratification was started at 10℃, growth of embryo in the ginseng seeds were almost stopped. But, when the seeds were stratified first at 20℃ for 50 days and next at 10℃ for 50 days, the embryo growth was significantly promoted compared with the embryo growth in the seed which were stratified at 20℃ for 100 days. 5. The successive embryo growth after seed stratification was significantly accelerated at 10℃ but the seeds chilled at 5℃ for days were resulted in the highest germination ratio as well as the shortest days for germination. 6. The successive embryo growth during chilling treatment and seed germinatio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immersing seeds in water just before chilling treatment or during chilling treatment and by interruption of chilling treatment with raising temperature to 20℃ for 20days during chilling treatment. 7. The germination ratio of ginseng seeds which finished chilling treatment was highest at 10℃ and 62.5% was the estimated soil moisture for the best germination of ginseng seeds. The ginseng seeds were found to require high amount of oxygen for germination. 8. Only water soluble material in homogenized ginseng seeds showed a significant inhibiting effect on the seed germination of sesame, millet and soybean. Water soluble material dissolved from undehisced ginseng seeds showed stronger inhibiting effect on the seedling growth of sesame than material from dehisced ginseng seeds. Extraction temperature did not influence the inhibiting effect of the material dissolved from ginseng seeds on the seedling growth of sesame. 9. Water soluble materials dissolved from the berry pulps, leaves, fresh roots and dried root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hibiting effect on the seedling growth of sesame. 10. Water soluble materials dissolved from the ginseng seeds, leaves and fresh roots showed a significant inhibiting effect on the germination of true fungi and the growth of spawn but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bacteria was not. 11. Among the water soluble materials dissolved from ginseng seeds, the materials of low molecular weight less than 3,000 were resulted a significant inhibiting effect on the seedling growth of sesame and the materials of high molecular weight also showed an inhibiting effect.

      • 비갑개절제술 전후의 음향비강통기도검사

        원준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향비강통기도검사(acoustic rhinometry)는 비강에서 반사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비강의 단면적과 부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1989년 Hilberg 등이 비강에서 임상적 유용성을 보고한 이후, 비강점막의 변화, 구조이상 및 생리학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임상적 적용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음향비강통기도검사는 검사에 전문적 기술을 요하지 않고, 단시간에 측정가능하며, 비침습적이고, 검사의 재현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된 결과의 정확성에 관하여 아직 논란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향비강통기도검사가 비강의 부피변화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지, 혹은 일정한 함수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코막힘 증상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여 만성비후성비염(chronic hypertrophic rhinitis)으로 진단 받고 단일 술자에 의해 비갑개절제술을 받은 18명이였다. 13명은 양측 비갑개절제술 (bilateral conchotomy), 5명은 일측 비갑개절제술(unilateral conchotomy)을 받아서 모두 31쪽의 비갑개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들 31쪽의 비강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절제된 하비갑개의 부피를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하려면, 비갑개절제술 후에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한 비강부피에서 비갑개절제술 전에 측정한 비강부피를 빼면 그 차이가 바로 비강부피의 변화, 즉 절제된 하비갑개의 부피가 된다. 절제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는 용액치환법으로 측정하였다. 수술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10 ml짜리 주사기의 plunger를 제거하고 주사바늘 끝을 구부려 물이 새지 않게 한 다음 5 ml의 증류수 (distilled water)로 채우고 절제된 하비갑개(conchotomy specimen)를 집어넣으면 수위가 올라가게 되고 변화된 수위가 바로 절제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가 된다.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계산한 비강부피의 변화와 용액치환법으로 측정한 절제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est를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구하고 p-value < 0.05 수준에서 유의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검사기기의 정확성과 검사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질환의 증상이 없는 성인 남자 10명, 20쪽의 비강에 대하여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한 비공으로부터 후방 7 cm까지의 비강부피는 1차 검사에서 평균 10.5 cm³ (5.7∼16.9 cm³)였으며 5분 후 측정한 2차 검사에서는 평균 10.5 cm³ (5.2∼17.4 cm³)였다. 비강부피에서 test-retest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8, p < 0.0001).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한 비공에서 후방 7 cm까지의 비강부피는 비갑개절제술 전 평균 9.66 cm³ (5.89∼12.51 cm3)에서 비갑개절제술 후 평균 11.5 cm³ (7.84∼18.2 cm³)로 비갑개절제술로 평균 1.49 cm³ (range : -0.46∼5.38 cm³, SD : 1.48 cm³)만큼 넓어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용액치환법으로 측정한 절제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는 0.4∼2.8 cm³로 환자에 따라서 변화가 많았으며 평균 1.40 cm³ (SD, 0.63 cm³)였다. 비갑개절제술 전후에 시행한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계산한 비강부피 변화와 용액치환법으로 측정한 절제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를 비교하였을 때 1.49 cm³ vs 1.40 cm³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부피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55, p < 0.01). 14쪽의 비강에서는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측정한 부피가 컸고 16쪽의 비강에서는 용액치환법으로 측정한 부피가 커서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부피사이에 일정한 함수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용액치환법으로 절제한 하비갑개의 실제부피를 구하고 비갑개절제술 전후에 시행한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비강의 부피변화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두 측정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음향비강통기도검사는 비갑개절제술 수술로 인한 비강부피의 변화를 일관성 있게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Acoustic rhinometry (AR) measures nasal cavity geometry by analysis of reflected acoustic impulses. Author aimed to know whether AR could reflect the volume change of the nasal cavity after conchotomy. Materials and methods: AR of 20 normal nasal cavities were performed twice to establish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AR before main study. The real volumes of the 31 conchotomy specimens were measured with water displacement method (WDM). The nasal volume changes due to conchotomy operations were measured with AR, and the paired values were compared. Results: AR revealed so consistent results a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st and retest values (r=0.98, p<0.0001). The volume of the conchotomy specimens measured with WDM was 1.40 cm³±0.63 cm³ (mean±SD) and the volume change measured with AR was 1.49 cm3±1.48 cm³ (mean±S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lues (r=0.55, p < 0.01 ), however, they were not so consistent. Conclusion: The volume change of nasal cavity after conchotomy measured with AR statistically correlates with the real volume of conchotomy specimen, though the two values are irregularly different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